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닥터들이 추천하는 '사카커피 믹스'

'제로' 열풍에 발맞춰 달달한 믹스커피도 제로당으로 먹는 시대다.     이 가운데 '제로 혈당' '제로 콜레스테롤' '제로 당' 칼로리의 커피 믹스가 중앙일보 '핫딜'에서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어 화제다.   타이거 사카린의 '사카 커피 믹스(Saccha Coffee Mix)'는 당뇨나 비만 환자들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믹스커피다. 설탕의 300배나 되는 단맛을 내지만 인체에 무해한 설탕 대체제 사카린을 함유해 믹스커피를 건강하고 날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덕분이다. 사카린은 무설탕 성분으로 당질 반응이 전혀 없고 체내에서 흡수나 대사작용 없이 모두 배출돼 당뇨 환자들에게 유용하다.     더욱이 사카 커피 믹스는 식물성 프림이 아닌, 1등급 한국산 원유로 만들었으며 베트남의 풍부한 햇볕을 받고 자란 원두를 엄선해 한층 부드러운 맛과 풍미를 자랑한다.   마시는 방법도 일반 믹스커피와 다르지 않다. 컵에 사카 커피 믹스 1스틱과 뜨거운 물 80~100ml을 넣고 녹이기만 하면 된다. 특히나 요즘같이 더울 때는 아이스로 시원하게 마시면 일품이다. 뜨거운 물 조금에 믹스를 녹인 후 얼음을 가득 넣어 마시면 시원하면서도 달달한 행복감을 느끼게 해준다.     당, 혈당, 콜레스테롤 걱정 없이 즐길 수 있는 사카 커피 믹스는 미주 최대 한인 쇼핑몰 '핫딜'에 입점돼 있다. 1박스 30개입이 20달러에 판매되고 있고 3박스 구입 시 무료 배송으로 60달러에 구입이 가능하다.   ▶상품 살펴보기:hotdeal.koreadaily.com핫딜 닥터 추천

2024-07-24

[하지정맥혈관 전문의 닥터 로버트 아지지] 환절기 심해지는 '하지정맥류' 각별히 주의해야

겨울을 지나 봄으로 들어가는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일교차가 커 건강 적신호가 켜지게 되는데 특히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관질환은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요구된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정맥 혈액 순환에 이상이 생겨 정맥이 늘어지고, 이후 다리에 푸르거나 검붉은색 혈관이 꽈리처럼 부풀어 피부 겉으로 튀어나오는 질환이다.     '하지정맥혈관 전문의 닥터 로버트 아지지'는 "정맥 내부의 느슨해진 판막으로 인해 혈관을 통해 운행하는 혈액이 심장 반대 방향으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기에 초음파 검사를 거쳐 혈액의 역류를 진단해야 한다"라며 "겉보기에 증상이 없더라도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병을 키울 수 있는 만큼 반드시 혈관 초음파 검사를 받아볼 것을 권장한다"라고 전했다.     하지정맥류 시술 시간은 정맥류의 경우 5분~30분, 동맥시술의 경우 3시간~4시간 정도로 일상생활에 큰 부담이 없다.   하지정맥류 검사는 최첨단 시술 장비와 5만 회 이상의 임상 성공 경험을 보유한 '하지정맥혈관 전문병원'을 통해 한국어 상담 및 예약이 가능하다. LA 한인타운과 부에나파크, 다우니 지역에 진료센터가 위치하며, 하지정맥류 증세가 의심될 경우 초음파와 차량 서비스, 상담을 무료로 제공한다.     ▶문의: (310)567-6753(한국어)   ▶주소: 903 Crenshaw Blvd #104, Los Angeles,   6131 Orangethorpe Ave 150A, Buena Park,   8218 Garfield Ave, Bell Garden알뜰탑 하지정맥혈관 로버트 하지정맥혈관 전문 닥터 로버트

2024-03-25

[하지정맥혈관 전문의 닥터 로버트 아지지] '울퉁불퉁' 하지정맥류…안 아프다고 방치 금물!

밤마다 다리가 붓고 무겁다. 다리에 쥐가 나는 바람에 잠을 설치기도 한다. 혈관이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오는 증상까지 관찰된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해야 한다. 생활에 큰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병을 키울 수 있다.   심장에 판막이 있듯 정맥 내에도 수많은 판막이 존재한다. 정맥의 판막이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혈관 탄력이 줄어 정맥이 넓어지고 판막이 약해지면 혈액 역류가 일어나고 정맥 내 압력이 상승하며 혈관이 확장되는 하지정맥류가 발생한다.   하지정맥류는 가족 병력이나, 오래 서있거나 오래 앉아있는 직업, 남성보다 여성에게 2~ 3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환자들은 다리 부종 및 피로, 쥐, 저림, 발바닥 통증, 발이 차가운 증상 등을 경험한다. 이 같은 증상을 방치하면 발목 부위가 착색되거나 궤양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하지정맥혈관 전문의 닥터 로버트 아지지'는 하지정맥류가 여러 가지 증상들 중 하나일 뿐이고, 초기에는 정상적인 다리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정확한 진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하지정맥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하지정맥 전문의와의 상담 및 초음파 검사가 병행되어야 한다. 정맥 내부의 느슨해진 판막으로 인해 혈관을 통해 운행하는 혈액이 심장 반대 방향으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기에 초음파 검사를 거쳐 혈액의 역류를 진단해야 한다"라고 설명하며 "겉보기에 증상이 없더라도 반드시 혈관 초음파 검사를 받아볼 것을 권장한다"라고 전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는 것을 삼가고,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는 것이 도움 된다. 그러나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약물치료나 시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정맥류 시술 시간은 정맥류의 경우 5분~30분, 동맥시술의 경우 3시간~4시간 정도로 일상생활에 큰 부담이 없다.   하지정맥류 검사는 최첨단 시술 장비와 5만 회 이상의 임상 성공 경험을 보유한 '하지정맥혈관 전문병원'을 통해 한국어 상담 및 예약이 가능하다. LA 한인타운과 부에나파크, 다우니 지역에 진료센터가 위치하며, 하지정맥류 증세가 의심될 경우 초음파와 차량 서비스, 상담을 무료로 제공한다.     ▶문의: (310)567-6753(한국어)   ▶주소: 903 Crenshaw Blvd,    #104, Los Angeles,      6131 Orangethorpe Ave suite,      150A, Buena Park,     8218 Garfield Ave, Bell Garden업계 하지정맥혈관 로버트 하지정맥혈관 전문 닥터 로버트

2024-02-15

씹다 버릴 껌 취급…영화사 최대의 핵무기 조롱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그리고 3일 뒤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된다. 제2차 세계대전에 종말을 고하는 순간이다. 그러나 이후 역사의 주도권은 더 이상 인류가 아닌, 핵으로 넘어간다. 그들은 신무기가 전쟁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할 줄 알았다. 그러나 원자폭탄은 점차 인류를 위협했고, 세상은 지금까지 멸망의 기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역사에서 전쟁이 중단된 적은 한번도 없다.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젊은이들이 전쟁터에서 피를 흘리는 동안, 원로들은 협상 테이블에 앉아 각자의 방식대로 자신들의 안위와 이익을 우선적으로 챙긴다. 그들에게 원자폭탄은 껌과 같은 존재이다.     올해로 개봉 60주년을 맞은 스탠리 큐브릭의 매스터피스 ‘닥터 스트레인지러브’(Dr. Strangelove, or: How I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the Bomb)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연신 껌을 씹고 있다. 껌의 역할은 불안을 완화하는 일이다. 단물이 빠지면 뱉어 버리면 그만이다. 껌은 일회성이라는 본질에 반해 사라지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 원자폭탄이 일본에 투하되고 있을 때, 핵무기를 껌 정도의 하찮은 것으로 여기고 있던 늙은이들이 모여 앉아 인류 평화를 논한 결과다.   큐브릭 감독은 단물을 다 빨아먹고 나면 뱉어 버리는 책임감 없는 정치인들에 대한 풍자의 도구로 껌을 사용했다. 영화의 부제 ‘Or: how I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the bomb’(걱정할 필요 없어. 폭탄 하나만 있으면 돼)은 큐브릭 감독이 인류사에 던진, 영화사상 최대의 조롱이다.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는 허무주의, 절망과 광기에 대한 심화된 고찰이며 전쟁과 정쟁을 유머로 승화한 최고의 영화로 평가해도 지나침이 없다.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는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개발로 위기감이 고조되던 냉전 시대에 발표됐다. 그러나 핵에 관한 인류의 우려는 60년이 지났어도 본질적으로 변한 게 하나도 없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은 영화에 담겨 있는 메시지와 많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영화의 모든 설정은 큐브릭의 우스꽝스러운 상상에서 시작한다. 일본에 투하된 원자폭탄에 기반하지만 그 설정을 완전히 뒤틀어 버린다.     인류는 언제부터인가 폭격만능주의에 빠져 있다. 냉전시대 미 공군 참모총장을 지낸 커티스 르메이는 “We're going to bomb them into the Stone Age”(폭격으로 석기시대로 되돌려 보내겠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미사일과 폭탄이 눈앞에 당면한 문제 해결의 최선책이라고 믿는 사람은 르메이 뿐만이 아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반공주의자 잭 D. 리퍼 장군은 전형적인 폭격 만능주의자다. 그는 성기능 장애의 원인이 소련의 공산주의자들이 불소로 미국 남성들의 힘을 빼고 있기 때문이라 믿는다. 리퍼 장군이 난사하는 기관총은 남성의 성기를 의미한다. 증류수와 빗물만 받아 마시는 그는 마침내 소련을 응징하기 위해 핵폭탄을 실은 폭격기를 발진한다.   리퍼 장군의 망상은 아이러니하게도 나치의 게르만 우월주의와 연결되어 있다. 마지막에 가서야 등장하는 나치 독일의 망명 과학자 스트레인지러브 박사는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성을 중심으로 국가를 세우고 남녀 비율은 1 대 10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트레인지러브 박사의 이러한 제안은 나치의 '히틀러 유겐트'를 연상케 한다. 나치는 제1제국을 신성로마, 제2제국을 독일제국으로 보고, 나치 지배의 제3제국 수립을 선포했다. 유소년과 청소년들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훈련시켜 엘리트들을 양성한다는 '인류 계획'이었다.     큐브릭은 영화를 통해 결과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미국이 본질적으로 나치, 소련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시사한다. 기득권 정치인들은 사람들이 전쟁에서 얼마나 희생되는지에 관심이 없다. 그저 껌처럼 씹고 뱉으면 그만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정치인들은 대화를 시도하지만 종국에는 실패로 돌아간다. 각자의 이익을 추구하는 이기심으로는 절대 타협점을 찾을 수 없다. 머플리미 대통령이 전쟁 상황실에서도 서로 싸우는 참모들에게 “Gentlemen, you can’t fight in here. This is the War Room!”이라는 대사를 던지는 장면은 상징하는 바 크다.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는 전쟁에서 아이러니를 찾고 비참한 코미디로 마무리된다. 영화가 최고의 정치 풍자극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피터 셀러스라는 위대한 천재 배우의 연기 때문이다. 출세작 ‘핑크 팬더’와 1인 다역으로 유명한 그는 3명의 중심 캐릭터 라이오넬 맨드레이크 영국군 장교, 머킨 머플리 미국 대통령 그리고 스트레인지 박사를, 돌아가면서 시니컬한 익살과 씁쓸함으로 연기해낸다.     영화는 핵이 폭발하는 몽타주와 함께 노래 ‘We’ll meet again'으로 끝이 난다. 자신들의 기득권과 안위를 우선시하는 자들이 전쟁 상황실에 모여 앉아 있는 한 전쟁은 반복될 것이다. 3차대전 이후 인류는 더 이상 지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60년 전큐브릭이 경고한 인류의 섬뜩한 미래에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김정 영화평론가 ckkim22@gmail.com핵무기 영화사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영화사상 최대 핵무기 개발

2024-02-02

‘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롱아일랜드에 오픈

“상경추 카이로프랙틱(Upper Cervical Chiropractic)이 제 삶을 바꾼 것처럼 저도 많은 사람들이 건강한 삶을 살도록 돕고 싶습니다.”     뉴욕주 롱아일랜드 그레잇넥에 있는 상경추 건강 전문 클리닉 ‘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New York Upper Cervical Chiropractic)’의 닥터 리는 뉴욕 유일의 한인 상경추 전문의로서 환자를 치료하는 소명감을 이같이 밝혔다.   닥터 리는 어렸을 때 몸이 약하고 다양한 질병을 많이 앓았다. 오랜 기간 고통을 겪은 닥터 리는 약이나 수술 없이 건강해질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카이로프랙틱을 알게 됐고, 이를 공부하기 위해 미국에 왔다.     학업과 생활에 많은 영향을 받을 만큼 편두통에 시달리던 닥터 리는 학교 교수의 권유로 상경추 전문 케어를 받게 됐다. 그 때 만난 닥터는 “편두통을 포함한 많은 건강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우리 목 상부에 위치한 ‘뇌간(brain stem)’에 있을 수 있다”는 매우 중요한 이야기를 했다.     닥터 리는 상경추 케어를 받기 시작한 이후 편두통의 빈도와 심도가 점차 줄어들었고, 4개월 후부터 지금까지 그토록 고통스럽던 편두통을 한 번도 앓지 않았다. 닥터 리는 이에 감명받아 여러 상경추 닥터들을 찾아다니며 대화를 나눴고, 이는 상경추 케어를 더 깊이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닥터 리는 주로 근골격계의 문제를 다루는 일반 카이로프랙틱과 달리,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간’에 초점을 두고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정신질환, 소화기계 문제, 심혈관계 문제 등 인체 내 다양한 문제와 증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이를 바로 잡아줄 수 있는 상경추 케어에 매료됐다.   물론 닥터 리가 이같은 상경추 카이로프랙틱을 깊이 공부하는 건 쉽지 않았다. 우리 인체의 상경추 부분은 해부학적, 신경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부분이기 때문에 더 많은 공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는 4년간의 학부 과정과 4년간의 카이로프랙틱 과정에 더해 2년간의 상경추 전문 추가 교육을 받았다. 닥터 리는 이 과정에서 미국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분야에서 최고의 명성을 갖고 있는 닥터 태빅을 만났고, 뉴욕시 브루클린 오피스에서 1년간 함께 일하며 실제적인 진단과 임상치료를 수행했다.     이러한 전문적인 교육과 임상치료를 바탕으로 닥터 리는 뉴욕 일원의 한인들에게 상경추 이상으로 인한 각종 고통과 질환을 치료하는 데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뉴욕주 롱아일랜드 그레잇넥에 전문 오피스를 오픈했다.   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에서 제공하는 상경추 치료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증상들은 ▶만성두통 ▶편두통 ▶현기증 ▶턱관절 ▶손·발·다리 저림 ▶좌골 신경통 ▶목 통증 ▶허리 통증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관절염·관절통 ▶퇴행성 추간판 협착증 ▶주의력 결핍증 ▶과잉 행동장애 ▶우울증 ▶불면증 ▶불안장애 ▶고혈압 ▶소화불량 ▶변비 ▶호르몬 불균형 ▶알러지 ▶부인병은 물론 그 외 다양한 건강문제들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직접 상담 필요.   현재 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에서는 클리닉을 찾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과거 및 현재의 병력 상담, 신경 스캔 검사, 신체 기능검사, 특정 상경추 엑스레이 진단 등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찾고, 특정한 교정법으로 문제의 원인을 바로잡아 건강 회복에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병원 방문과 약품 주사 등 다양한 시도를 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한 많은 난치병 환자들이 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을 찾아와 좋은 결과를 보고 있는데, 그레잇넥 오피스에서는 한인들을 위해 건강문제 상담, 신경 스캔 검사, 신체 기능검사가 포함된 첫 방문은 비용 부담 없이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닥터 리는 “상경추 케어는 현재 뉴욕·뉴저지는 물론이고 미국 전역과 유럽·이스라엘·남아메리카 등 세계 각국의 환자들이 찾고 있지만, 한국과 한인 커뮤니티에는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아,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한국인들에게도 널리 알리고 싶다”며 “특히 내가 상경추 케어를 통해 편두통뿐 아니라 여러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삶이 바뀐 것처럼 내가 가진 지식과 상경추 케어 기술을 이용해 많은 사람들을 돕고 싶다”는 의료인으로서의 소회를 밝혔다.   ◆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New York Upper Cervical Chiropractic) ▶전화: 516-969-3330 ▶진료시간: 월~금 9am~6pm(한국어/영어 모두 가능) ▶웹사이트: www.newyorkucc.com 박종원 기자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닥터 리 닥터 태빅 Upper Cervical Chiropractic 상경추 건강 전문 클리닉 그레잇넥 뉴욕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한인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전문의

2024-01-11

[이 아침에] 그 날을 위한 선택

병원에 갔다. 닥터가 혈액검사 결과를 조목조목 알려주고는 이어서 말했다. 물건 이름을 말할 테니 잘 기억했다가 나중에 답 하세요. 책상, 창문, 마차, 안경. 몇 개의 단어를 들먹이고는 다른 이슈로 말머리를 돌려버린다. 어떤 운동을 하느냐, 잠은 몇 시간 자느냐? 등, 뜬금없는 질문이다.     5분 정도 어지럽게 내 일상을 들먹이며 현혹(?)하더니 아까 들은 물건을 기억해보란다. 잊어버릴까 봐 머릿속에 빳빳이 세워두었던 물건 이름을 똑똑하게 말했다. 책상, 창문, 마차, 안경. 닥터는 고개를 끄덕였다. 치매는 아닌가 보다. 속으로 생각했다.     검사를 통과한 것 같아 기분이 살짝 좋아지려는데 그는 컴퓨터에서 몸을 돌리더니 책상 서랍에서 서류를 하나 꺼낸다. 분홍색 마분지다.     “만약에 의식이 없어서 심폐소생술을 해야 할 순간이 되면 어떻게 할까요?” 갑자기 머리가 띵해진다. TV에서 보던 장면이 떠오른다. 환자의 가슴을 급박하게 누르는 닥터 모습과 둘러선 간호사의 당황하는 얼굴이. “상태를 보고 인공호흡 후 정상적인 생활을 할 정도가 되면 살리고, 그렇지 않으면 살리지 마세요.”     닥터가 분홍색 종이에 내 말을 받아 적더니 또 묻는다. 만약에 인공호흡기를 꽂고 연명 치료를 해야 할 상황이 되면 어떻게 할 거냐고. 머리가 또 멍해진다. 내가 이제 그런 경우까지 염두에 두어야 할 나이인가? 양로병원 병상에 누워있는 할머니들의 모습이 떠올라 나도 모르게 눈물이 왈칵 난다.     대답도 못 하고 흐르는 눈물을 닦는 나를 본 닥터 눈이 갑자기 커진다. “이 질문을 하면 뭘 이런 걸 묻느냐고 화를 내는 사람은 봤어도 우는 사람은 처음 봅니다. 허허허.” 닥터가 어린아이를 놀리듯 앉은 의자를 빙글빙글 돌리며 크리넥스를 한장 쑥 뽑아준다. “연명 치료는 하지 마세요. 그냥 보내주세요.” 닥터가 분홍색 종이에 내 말을 슥슥 적는 모습을 보며 남편을, 딸을, 아들의 얼굴을 떠올린다. 눈물은 닦아도 닦아도 계속 흐른다.     ‘두 번은 없다./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무런 연습 없이 태어나서/ 아무런 훈련 없이 죽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의 시가 생각난다. 연습 없이 살다가 훈련 없이 죽는다? 태어나는 것도 내 의지가 아니었듯이 죽는 것 또한 내 뜻하고는 전혀 상관이 없다.     어느 날 느닷없이 인생 무대에 올려졌고 뭐가 뭔지 더듬거리며 걸어왔더니 어느새 다 왔다며 무대에서 내리라고 한다. 분명 내 생명이고 내 삶인데. 생사(生死)의 중요한 두 결정에는 나라는 존재가 관여하지 못할 뿐 아니라 내 능력과 사고(思考)도 아무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이 기가 막힌다.     그런데 오늘. 정신과 육체가 ‘나’라는 존재와의 연결 지점에서 달랑달랑 위태로울 때. 그때를 위해 이쪽인가 저쪽인가를 미리 선택해두라고 한다. 이것이라도 할 수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자식들을 죄책감 없이 편안하게 해주는 방법이랍니다. 남은 사람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닥터가 목소리의 톤을 낮춰서 심각하게 나를 달랜다. “그래도. 슬퍼요.” 나는 크리넥스 한장을 더 받아들고 오피스를 나온다.   성민희 / 수필가이 아침에 선택 분홍색 종이 닥터 모습 책상 창문

2023-07-10

뉴저지 한인사회 앨리스 주 구명운동

외국인 직원의 잘못된 거짓 고발로 누명을 쓰고 형사소송서 유죄선고를 받은 한인 의사(닥터) 엘리스 주 구명운동이 뉴저지주 주요 단체와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닥터 엘리스 주 구명운동 캠페인은 지난달 29일 레오니아 가야가든에서 한인사회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뉴저지한인상록회 차영자 회장 ▶민족화해협력 범국민 뉴욕협의회 임마철 대표 상임의장 ▶뉴저지한인회 배광수 이사장 ▶팰팍한인회 오대석 회장 ▶소송 담당 최재은 변호사 등이 참석했다.   사법뉴스(Justice News)에 따르면 닥터 엘리스 주는 지난 2010년부터 2019년 사이 메디케어 등 의료보험과 약값 청구 과정에서의 잘못으로 수백 만 달러의 부당한 이득을 얻은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러나 최재은 변호사는 “닥터 엘리스 주는 20 년이상 매니저로 있던 외국인 직원이 거짓 고발해 누명을 썼고, 잘못된 혐의로 열린 형사 소송에서 불합리한 진행으로 억울한 유죄선고를 받고 재심 청구도 기각됐다”며 “잘못된 혐의로 판결을 받은 닥터 주를 보호하고 억울한 유죄혐의가 벗어지도록 법원과 판사에게 청원하기 위해 구명운동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닥터 엘리스 주는 ‘아프리카를 돌본 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리며 존경을 받는 한림대 의대 주인호 명예교수의  3남 4녀 자녀 중 여섯째다.  김은별 기자엘리스 주 닥터 엘리스 주 엘리스 주 구명운동 최재은 변호사 차영자 회장 임마철 대표 오대석 회장 배광수 이사장

2023-01-01

[수필] 고마워요, 닥터 컬러

“상태와 증상에 따라   선호하는 색깔을   가까이하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색깔요법을 적용하면   신체와 마음이   치료가 된다고 한다”   밝고 연한 연두색 일색이다. 큰 오라버니가 입원 치료 받던 그해 B병원 인테리어 색깔이다. 천장, 벽지, 카펫, 유리창 창살이며 커튼, 창문 셔터, 또 간호사와  테크니션 유니폼까지도 연두색이 주된 색깔이다. 독일과 자매결연한 이 병원에 들어서면 유리창이 높고 많아 환한 내부부터가 온통 일류 호텔 같다는 느낌이 든다. 처음 와 보는 환자 방문객까지도 마음이 안정되고 편안해진다고들 한다.     이런 실내 분위기에 뛰어난 의료진과 친절한 직원들의 태도가 환우의 고통을 완화시키고 회복을 분명 앞당겨 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제 세상이 변하여 편리한 차만 타고 다녀서인지 성인병 또한 많은 세상이 되었다. 대응하는 테라피도 그만큼 많고 다양해졌다.     컬러테라피(Color Therapy)라는 다소 생소하지만 이와 관련된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지친 몸을 회복시키고 면역력, 저항력을 증강시켜 노화 방지에도 효과를 내는 새로운 의료 분야이다. 병원 실내를 안정감과 쉼을 주는 색깔로 꾸민 공간이 치유 개념과 무관하지는 않는 것 같다. 흔히 초록과 연두 등 생명 색에 포함시키는 그 부류의 컬러를 선택한 것만 봐도 그렇다. B병원은 분명 앞서가고 있는 최첨단 차원이었다.     한 달 넘게 서울 체류 병간호 기간을 끝낼 즈음 연두 색상에 온통 마음과 몸이 젖어 있었다. 매일 방문한 그 병실 실내 색깔에 물들어, 짜면 연두 물감이 내 몸에서 주룩 흘러 내릴 것 같았다. 병세가 호전의 기미를 보이자 나는 LA로 돌아왔다. 마침 5월 말이라 남가주 LA는 초록 바람이 너풀너풀 불어댔다.   가까운 학교 선배 한 분이 극도의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딸이 소식을 전해주었다. 혼자된 후라 그 선배는 심리적으로 외로움을 견뎌내며 자주 울기도 했다. 딸의 말을 빌리면 수면부족으로 접시를 놓쳐 떨어뜨리고 넘어지면서 이마도 박아 찢긴 적이 있다 했다. 응급상황도 여러 번 있었다고 했다.     동부 직장으로 돌아간 딸의 부탁으로 선배를 모시고 나는 병원으로 갔다. 담당 의사 소개를 거쳐 신경과 의사와 상담을 하게 되었던 날이었다. 진정제 약처방과 간병인 사람 처방을 받았다. 천경자 그림을 좋아하는 선배는 색깔 테라피를 소개 받았다. 서울의 B병원이 떠올랐다. 의논 후 그 후 하나하나 부엌 가제 도구를 연두색깔로 바꾸어 안정감을 시도해 드렸다. 부엌 벽에 거울을 달아 환함과 트인 넓은 효과를 시도 했다. 시간이 흘렀다. 그 온실 같은 아늑한 부엌에서 이제는 커피도 내리고 토스트도 손수 해 드신다. 커피 머그잔이며 또 키친타월까지 연두색으로 바꿔 드렸다.     이곳 코리아타운 상점에는 치료에 맞는 각가지 색깔의 가정용품, 부엌 도구들이 많았다. 집주인 선배는 연두색을 갈아입은 부엌에서 이제는 간단한 음식을 쉽게 만들 만큼 호전되었다. 옆에서 자주 소식 듣고 지켜도 보는 나 역시 무척 기뻤다. 베란다에도 초록 식물가족 화초들을 배치해 놓았다고 한다. 구석구석 생명 기운이 뿜어나오는 듯 컬러 치료라는 게 바로 이런 건가, 심리적으로 이렇게 한 몫을 감당할 줄은 기대 이상이었다.   컬러 요법은 말 그대로 색깔을 이용하는 전문치료법이다. 색깔에 있는 각각의 강력한 고유 파장과 에너지를 이용해 신체와 마음을 치료하는 원리란다. 고개가 끄덕여진다. 시각의 인식을 통해 뇌 호르몬을 유도해서 힐링에 이르게 하는 색깔요법이라는 것이다. 내가 봐도 이 요법 기능이 적중한 게 바로 선배의 경우 같다.     서울의 B병원 인테리어나 선배의 공포증 해소 케이스만 봐도 그렇다. 색깔요법은 신체, 정신, 감정이 조화를 이루게 하여 통합 치유에 다가가게 하는 새로운 시도라는 것이다. 그 효과가 참으로 신기했다. 내가 외출할 때 밝은 옷을 입으면 스스로 기분이 좋아지는 자가치유 이치와 다를 바가 없다. 자신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선호하는 색깔을 가까이하는 등 일상생활 속에서 색깔요법을 적용하다보면 다운되는 사람의 하루하루도 업될 수 있다는 결론이 선다. 곱고 밝은 색깔의 옷을 입고 어울리는 스카프 액센트로 외출을 허거나 어울리는 색채의 가방이나 신발을 착용하면 도움이 된다는 것. 모두가 색깔 테라피를 바탕으로 컬러 힐링 접근이 아닐 수 없다.   힐링이란 말은 듣기에도 참 좋다. 힐링의 효과를 극대화해서 생명 체험에 이르게 해서 일까? 음악을 통하면 음악 치료, 시를 통하면 시 치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많이 보급 적용되고 있는 이 컬러 치료야말로 일상에 적용하기 아주 쉬운 처방이다. 대박이다. 의식주 안에 있는 조화있는 색깔의 기능에 접근, 조절 적응하는 게 힐링의 지름길이다.     비 온 후 하늘에는 무지개, 지상에는 사계절 꽃, 채소, 과일 등 자연은 절묘한 색깔 공동체의 아름다운 파장을 보내온다. 다양한 색깔로 생명 경이에 참여하도록 인간에게 접근 방법을 사계절 이렇게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빛이 있어 세상을 밝혀 반사하고 꺾기고 분산하여 또 세상을 품어 흡수하기도 한다. 빛은 생명이다. 빛은 에너지다. 빛의 직진으로 다 내뱉고 또 다 흡수한다. 모체 색깔로 자연 안에는 자연 치유가 숨어 있어 힐링의 근원을 이루는 원리가 쉽게 파악되었다. 우리 인간 몸 안에 자연치유력을 입력, 내재시켜 놓은 게 창조주의 본래 의도인 것이다. 지금 선배는 생명 색깔 사이를 춤추듯 오가며 회복기를 살고 있다. 햇빛 받으며 공원을 산책할 정도로 선배는 건강해졌다. 고마워요, 닥터 컬러! 김영교 / 수필가수필 닥터 연한 연두색 병원 실내 학교 선배

2022-04-14

“상경추 상태가 건강을 좌우합니다”

뉴욕 일원 유일의 한인 상경추 전문의 닥터 리   세계적인 명성 닥터 태빅과 함께 환자 치료 명성   뉴욕시 브루클린에 있는 상경추 건강 전문 클리닉 '태빅 스페시픽 카이로프랙틱(Tabick Specific Chiropractic)'이 최근 뉴욕 일원은 물론 미국과 세계 각국에서 온 환자들을 상대로 성공적인 의료 성과를 거두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태빅 스페시픽 카이로프랙틱은 미국에서 상경추 카이로프랙틱 분야에서 최고 명성을 갖고 있는 닥터 태빅과 한인 전문의 닥터 리가 환자를 돌보고 있는데 특히 닥터 리는 한인 환자들을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있다. 닥터 리는 최근의 치료 과정을 바탕으로 무엇보다 거의 모든 사람들의 건강에서 상경추의 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점을 강조한다.      "우리 몸의 모든 기관, 장기, 시스템은 모두 신경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 몸의 모든 움직임을 제어하는 근골격계부터, 심혈관계, 호흡계, 소화계, 면역계, 호르몬계 등 우리 몸의 모든 기능은 신경으로 조절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닥터 리는 "이러한 기능들의 조절은 뇌로부터 시작되는데, 뇌에서 지시를 내리게 되면 신경을 통해 우리 몸으로 전달된다"며 "이 뇌로부터 빠져나오는 신경 메시지가 처음 지나가는 곳이 우리 뇌간으로, 뇌간은 두개골 아랫부분에서 상부 경추에 위치하여 우리 뇌와 척수를 이어주며, 뇌에서 우리 몸으로 가는 모든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이 지나가는 인체 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한다.    한편 뇌간은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이 뇌간이 위치한 우리 상부 경추는 아이러니하게도 우리 척추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이 상경추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며 소아부터 노인까지 누구에게도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모든 사람들은 누구든지 머리 혹은 목 부상, 자동차 사고, 넘어짐, 생활 패턴, 그리고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출생과정에서 또한 상부 경추에 경미한 부상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상경추의 문제는 우리 뇌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닥터 리는 "'건강'이란 단순히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넘어 우리 몸이 뇌로부터의 신경 메시지를 제대로 전달받아 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약 30조 개의 세포 및 조직, 그리고 장기로 이루어진 우리 몸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중추 신경(뇌와 척수)의 원활한 기능이 매우 중요한데, 이 상부 경추의 문제로 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뇌간에 압박이 생길 때, 뇌와 우리 몸 사이의 신경 메시지 전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신경 흐름에 왜곡이나 감소를 유발할 수 있게 되어 이와 관련된 여러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학적인 내용을 쉽게 설명하면 상경추 케어는 뇌간에 압박을 가하는 틀어진 상경추를 정확하고 정교한 신경 조정으로 바로잡아 우리 뇌와 우리 몸 사이의 신경 전달 기능을 회복시키고 건강을 되찾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닥터 리는 카이로프랙틱 전문 의과대학 졸업 후, 약 2년간의 상경추 전문 수련 과정을 거쳤다. 현재 전 세계 약 7만 명의 척추 카이로프랙틱 닥터들 중 상경추 전문 닥터는 약 1000명에 불과하며, 뉴욕 내 한인 상경추 닥터는 닥터 리가 유일하다.    '태빅 스페시픽 카이로프랙틱'이 현재 상경추 치료를 통해 두통, 편두통, 어지러움, 섬유근육통, 만성피로, 목· 허리 통증, 좌골신경통, 추간판 탈출증, 팔·다리 저림, 관절통, 주의력결핍증, 과잉행동장애, 수면장애, 혈압 문제, 호르몬 불균형 등을 진단 치료하고 있다.    ◆태빅 스페시픽 카이로프랙틱(Tabick Specific Chiropractic) ▶전화 929-584-9552 ▶진료시간 월~금 9am~7pm(한국어/영어) ▶웹사이트 www.tabickspecific.com 박종원 기자 park.jongwon@koreadailyny.com상경추 전문의 닥터 리 태빅 스페시픽 카이로프랙틱 Tabick Specific Chiropractic 닥터 태빅 뉴욕 상경추 전문의 상경추 건강 이재원 원장

2022-03-03

[하지 정맥 혈관전문의 닥터 로버트 아지지] "하지 정맥류 꼭 치료해야 할까요?"

하지 정맥류는 가족 병력이나 오래 서있거나 오래 앉아있는 직업 그리고 여성이 남성보다 2~3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한다.     하지 정맥류는 여러 증상들 중 하나일 뿐이고 초기에는 정상적인 다리와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방치하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발생 초기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하지 정맥류는 정맥 내부의 느슨해진 판막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해 혈관을 통해 운행하던 혈액이 심장 반대 방향으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때문에 반드시 초음파 검사를 거쳐 혈액의 역류를 진단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 정맥 혈관전문의 닥터 로버트 아지지에 따르면 자가 진단 항목 ▶하지 정맥류의 가족 병력 내력 ▶다리에 혈관이 만져질 정도로 올라와 있다 ▶종아리에 당기는 듯한 통증 ▶다리에 쥐가 자주 난다 ▶잠깐만 서 있거나 걸어 다녀도 다리가 무거운 느낌과 자주 붓는다 ▶발바닥이 저리고 뜨겁고 차갑고 한 느낌 ▶다리에 붉고 푸른 혈관이 보인다 ▶다리에 피부병이 자주 생기고 잘 치유가 안 된다 가운데 한 가지라도 느끼거나 보인다면 혈관 초음파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하지 정맥류 시술 시간은 정맥류의 경우 5~30분 동맥시술의 경우 3시간에서 4시간 정도가 소요되어 일상생활에 큰 부담이 없다. 혈관에 대한 이해와 임상경험이 풍부한 닥터 로버트 아지지의 하지정맥혈관 전문병원은 LA 한인타운(903 Crenshaw Blvd #104)과 오렌지카운티(8218 Garfield Ave Bell Garden)에 진료센터가 위치한다. 전화로 한국어 상담 및 예약이 가능하다.     ▶문의: (213)465-3364 알뜰탑 혈관전문 로버트 닥터 로버트 하지 정맥

2022-01-25

[이 아침에] 닥터 지바고

 나와 나, 2분의 1쯤에 있는 감성과 조우 중인 아침이다. 부엌 창문으로 들어와 내 주위를 누비는 차가운 공기가 반가운 손님 같다. 그 찬 손님과 따뜻한 커피 한 잔을 마주한다. 내가 허락한 틈으로 그만큼만 들어올 수 있는 차가움은, 오직 내가 가진 따뜻함의 대비를 원할 때뿐이라는 것과 아침에 의식처럼 통과하는 커피 한 잔은, 내가 허락한 만큼 하루에 펼쳐질 각성을 품고 있다는 것. 이런 별것 아닌 습관이 소우주를 조율하는 권력자처럼 느껴지는 건 간밤에 보았던 영화의 여운 때문인가 보다.     ‘닥터 지바고’라는 오래된 영화였다. 겨울날 아랫목에 둘러앉아 가족들과 보았던 주말의 명화가 생각나서,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는 듯한 느낌이 좋았다.     영화는 닥터 지바고의 이복형이, 여주인공 라라와 지바고 사이에 낳은 딸로 추정되는 젊은 아가씨를 심문하면서 두 사람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라라와 닥터 지바고의 엇갈리는 사랑의 서사가 눈밭의 얼음으로 매달려 있다가, 누가 몰래 내 등 옷 속에 넣은 것마냥 시리게 다가왔다. 배경이 되는 20세기 초 러시아는 1차 대전과 그 뒤를 이은 볼셰비키들의 혁명으로 내전을 겪는다. 3시간이 넘는 한 편의 영화로 러시아의 역사, 사상, 철학을 알 수 있는 시대극이다.     러시아의 광활한 눈밭과 대륙을 횡단하는 기차 등, 거대한 긴 호흡을 유도하다가, 의사이자 시인인 지바고의 시선으로 자연의 소곤거림을, 결이 섬세하게 표현한 장치들이 마음을 꽉 차게 했다. 희망이 창백하게 질려 있는 순간에도, 지나가는 구름과 한 줄기 바람에 맞대응하는 찰나의 미소, 또 글을 쓰는 문학적 순한 맛이 혁명을 이겨내는 진정한 승리자였다. 때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이것이야말로 삶에 진실일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뒤를 돌아보던 조카를, 근엄한 군인 삼촌이 이해가 담긴 미소로 바라보는 모습에서, 잘 달궈진 눈물이 내 볼을 타고 뚝 떨어졌다. 역사라는 소용돌이 속에서 가슴 아픈 주인공들의 남아 있던 사랑을, 잘 다듬질하는, 삼촌의 사랑이 크나큰 인류애로 느껴진 것이다. 인간과 인간이 겨루는 전쟁 중에서도 인간은 서로에게 치료제가, 회복제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인간에게 최고의 마약은 인간이라고 한다.   내가 일상에 누릴 수 있는 것들, 책을 읽고 영화를 보고 글을 쓸 수 있는 잔잔한 파동 수의 것들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백신의 힘마저도 큰 평화임을 생각하는 아침이다.   이렇게 잘 만든 한 편의 영화는 맥없는 관객을 설득하는 힘이 있다. 겨울날 툭 하고 건드려지고 싶은 분들에게 ‘닥터 지바고’ 영화 한 편 선물한다. 이원경 / 수필가이 아침에 지바고 닥터 닥터 지바고 지바고 사이 겨울날 아랫목

2021-12-26

[닥터양의 미국대학 이야기] 하고 싶은 일 하면 성공 가능성 500배 높아

▶무엇인가에 자신을 맞추기 위해 살기 요즈음 세상에는 수십만가지 종류의 일자리가 있지만 한인 학생들이나 학부모의 머리에 떠오르는 일자리는 열손가락을 꼽을 만큼 적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거나 눈에 띄는 직업을 찾아 헤매게 되고, 취업이나 사업이나 극심한 경쟁에 빠지기 마련이다. 한국이나 미국 어디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우리 한인들은 타민족보다는 더욱 이런 식으로 편향된 삶의 방식 속에서 살고 있다. 학부모들이 '각자 개인의 삶'이 중심이고 시작점으로, 할 일을 종착점으로 찾는 '인간 위주의 인생살이'를 하지 않고, 오히려 '성공을 보는 것'이 중심이고 시작점이며 종착점으로, 그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성과 위주의 인생살이'를 계속하고 있다. 그래서 피할 수 없이 우울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누구나 자신들의 개성과 능력은 자신의 목표가 원하는 것에 따라 알맞기도 하고 때로는 부족하기도 하다. 또한 자신의 목표라고 말하며 마치 자신이 세운, 어떤 고귀하고 심오한 목표를 향해 나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일거리를 제공하는 사람이나, 성공이라고 보여지는 이미지가 요구하는 것에 자신을 맞추는 것에 불과하다. 자신의 삶이나 능력보다는 일감에 맞추기 위해서 노력하는 삶을 살게 된다.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는 더 그 일감에 맞는 사람이 되고자 하는 노력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심지어 의미없는 극심한 경쟁에 빠져든다. 그래서 스펙을 쌓기 위해, 뽑히기 위해 애쓰는 고단한 삶으로 이어진다. 실제로 이런 과정에서 자신이 행복하느냐, 주변사람들이 진정으로 행복할 수 있도록 하느냐, 이웃들에게 행복을 선사하고 사회에 기여하느냐는 일단 뒷전으로 제쳐진 상태다. 이렇게 사는 것이 실제로 생존(Making a living)이다. ▶생존(Making a Life, Making a Living) 마크 앨비언(Mark Albion)이라는 하버드 출신의 작가가 쓴 'Making a Life, Making a Living: Reclaiming Your Purpose and Passion in Business and in Life' 라는 책에 나오는 표현이다. 1960년부터 1980년까지 MBA 졸업생 1500명을 20년간 추적했다. 졸업생들은 졸업시에 간단한 질문 하나를 받고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열심히 일을 하여 돈을 번 다음에 하고 싶은 일을 하겠다'고 말한 그룹과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겠다'고 대답한 그룹이다. 1500명중 1250여명이 첫 그룹에 속했고, 250명만이 두번째 그룹에 속했다. 20년후 1500명중 101명이 백만장자가 되어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첫 그룹 1250명중에는 단 1명만이 백만장자가 되어 있었다. 1250분의 1, 즉 0.08%다. 두번째 그룹에서는 무려 100명이 백만장자가 되었다. 250분의 100, 즉 40%다. 앨비언 박사는 하고 싶은 일을 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는 돈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을 해도, 돈을 우선으로 한 사람에 비해서, 금전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냈다. 성공가능성은 500배인 셈이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그 과정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한 사람들은, 하고 싶은 일을 뒤로 밀고 돈을 추구한 사람들보다 훨씬 더 행복했다는 점이다.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 성사 여부가 불확실한 어떤 이미지를 초점으로 해서 사는 사람들은 무엇인가에 자신을 맞추기 위해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다. 반면에,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들은 자신이 잘하고 좋아하고 행복해 하는 일을 찾기 위해서 즉, 자신이 무엇에 맞을 지를 찾으며 사는 사람들이다. 전자에 속하는 사람들로서는 극소수의 사람을 빼놓고는, 성공으로 규정되는 목표점에 도달할 사람이 적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실패의 가능성 속에서 살 수밖에 없다. 그러나 후자에 속하는 사람들은 이미 시작으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면서 살기 때문에 그가 도달하는 모든 중간 기착점과 모든 목표점들은 성공인 셈이다. 언제나 성공의 가능성 속에서 살고 있는 셈이다. 당연히 이들은 자신에게 맞는 일감을 창조적으로 만들고 적응해 가면 행복하게 살 가능성이 훨씬 높다. ▶학부모의 역할 학부모의 역할은 어때야 할까. 목표를 정해 줄 것인가 아니면 목표를 창조해 가며 살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권유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부모세대는 전통적가치-준법정신, 훌륭한 직업윤리, 근면과 인내 등을 자녀에게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부모들은 이보다 우선해야 하는 삶의 방식에 대해 자녀에게 이야기 하지 않는 것 같다. 즉, 자신의 개성과 기호, 적성과 열정이 지시하는 삶을 창조적으로 살아내는 능력을 키우는 일이다. 실제 성인들은 원하는 것을 억제하고 해야할 것을 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며 살았기에 자녀들에게 자신의 것을 찾으라고 이야기 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자신의 열정을 좇을 줄 아는 능력은 사춘기를 지나면서 성인으로서의 삶의 방식을 결정해야 하는 청소년기에 시작돼야 할 중요한 능력이다. 이것은 독립적인 인격으로써 자신의 인생 향방을 결정할 줄 아는 성숙한 결단력으로 자라게 될 능력이다. ▶적성찾기, 자신의 목표 스스로 세워보기 고교졸업 전에 학생이 자신의 적성을 확인하고 자신의 미래의 목표를 세워 볼 수 있는 능력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청소년기의 자녀에게 부모가 줄 수 있는 최선의 선물이다. 부모조차도 쉽지 않은 이것은 '믿음의 도약(Leap of Faith)'을 가질 때에만 가능하다. 대학졸업 후의 마음가짐이 20년 후의 모습을 결정하듯이 고교 졸업때의 마음가짐 또한 대학에서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최근 에미상 수상식에서 'Master of None'의 'Parents'편으로 코미디시리즈 각본상을 아지즈 안사리(Aziz Ansari)와 함께 받은 대만계 미국인 앨런 얭(Alan Yang)의 수상 소감으로 마무리한다. "이 나라에 1700만 아시아계 미국인이 있고, 1700만 이태리계 미국인이 있습니다. 그들은 "Godfather, Goodfellas, Rocky, The Sopranos가 있지만, 우리는 Long Duk Dong 이 있습니다. 아직도 멀었지요. 하지만 우리도 그렇게 될 거예야. 저는 우리를 믿습니다. 열심히 해야죠. 아시안부모님들께 부탁해요. 그냥 몇분만 바이올린 대신 카메라를 쥐어주세요, 그럼 다 잘 될거예요." ("17million Asian­Americans in this country, and there are 17 million Italian­Americans. They have The Godfather, Goodfellas, Rocky, The Sopranos; we got Long Duk Dong. So we got a long way to go, but I know we can get there. I believe in us, it's just gonna take a lot of hard work. Asian parents out there? if you could do me a favor? just a couple of you get your kids cameras instead of violins, we'll be all good. (Long Duk Dong- 영화 'Sixteen Candles (1984)'에 나오는 우스운 아시아인의 스테레오타입이다) 요즘 명문대 입학을 위해서도 학부모들은 남들이 하니까 시키지 말고 자녀가 좋아하는 걸로, 뭐가 됐든 시키는 게 정답이다. 양민 / 교육컨설턴트 US에듀컨설팅

2016-10-14

9학년부터 계정 만들어 명문대 지원 가능

4년간 상시 쌍방향 지원·지도 가능 활동 내역 '개인라커'로 대학과 공유 발전가능성 높은 학생에게 좋은 기회 지난해부터 80여 명문 대학이 이제까지 써오던 대입 지원 시스템과 다른 새 대입 지원 시스템인 코얼리션 플리케이션(연합지원서, 영어명 The Coalition for Access, Affordabilty, and Success)을 시작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저소득층도 대학가서 성공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취지다. 새로운 '연합지원서'에 대해서 알아본다. 온라인 입학지원 시스템 '더 코얼리션(The Coalition)'은 하버드, 프린스턴, 예일 등 아이비리그 대학들과 유명한 리버럴 아츠 칼리지들, 뉴욕, 뉴저지의 주립대학이 주축이 돼 2015년 10월 출범했다. 새 시스템은 이미 2014년 10월에 예고했었고 지난 2016년 1월부터 웹사이트가 오픈됐다. 아울러 이 시스템에 가입 대학들도 조금씩 늘어 2016년 5월에는 93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 웹사이트(http://www.coalitionforcollegeaccess.org/)로 접속해 보면, 학생들이 직접 자기 계정를 만들 수 있다. 웹사이트는 3개의 주요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인 지원서 부분은 오는 7월에 완성될 예정이며 올 가을에 12학년이 되는 현재 11학년 학생들은 이 지원시스템을 사용하여 2017년도 신입생으로 지원할 수 있다. ▶30여 대학은 내년부터 93개의 참여 대학 중 30여 대학은 실제로 대입과정에서 '코얼리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은 일단 내년으로 미뤘다. 하지만 웹사이트가 완성되는 7월 즈음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아직 코얼리션측이 발표하지 않았기 때문에 93대학 중 어디가 내년부터 채택하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공통지원서 혹은 연합지원서(Common Application vs Coalition Application) 현재 참여 대학은 대부분이 공통지원서(Common Application)를 사용하고 있는 대학들이며, 코얼리션을 사용하더라도 기존의 공통지원서를 계속 사용한다. 첫 해이니만큼 여러 시행 착오가 발견될 것이고 또 두개 이상의 지원시스템을 사용하는 만큼 이들 대학으로 지원하는 학생들 중 몇 퍼센트가 코얼리션을 사용할 지는 베일에 가려져 있는 셈이다. 학생과 함께 지원시스템을 사용하여야 하는 많은 고교교사도 당분간은 공통지원서를 선호할 것임이 분명하다. ▶코얼리션은 쌍방형 상시형 공통지원서가 이제까지 매년 가을에 웹사이트를 새로 열면서 신입생이 계정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전년도의 계정을 동결해오던 것과 달리, 코얼리션은 9학년생부터 계정을 만들어 자신의 학업, 과외 활동, 수상 내역, 에세이, 영상 등을 이용한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미리 업로드하고 꾸준히 업데이트하여 개인의 대학 지원자료 라커(Locker)라는 도구를 통해 정리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주목할 만한 것은 미리 올려 놓은 자료 중에서 일부를 원하는 대학측과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졌다. 첫째, 대학 지원시스템이 12학년 첫 학기인 대입 지원시즌에 잠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교 4년 내내 연중무휴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바꾼 것이다. 또한 이제까지 지원시스템은 일방적으로 학생이 자료를 대학에 제출했는데 학생과 대학간에 자료와 커뮤니케이션이 오갈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한 것이 독특한 것이다. 입학사정국과 학생은 서로 질문을 하거나 조언을 주고 받을 수 있고 심지어 학생들간의 정보 공유 기능도 허용할 수 있으며 학교와 학생이 각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이 가능하다. 기존과는 엄청난 차이라고 볼 수 있다. 개념적으로는 기존의 1차원적인 지원시스템에 이메일, 게시판, 포럼, SNS 등이 섞여 3차원, 4차원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변화 발전의 가능성도 매우 많다고 볼 수 있다. 한마디로 선발, 인선 등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여는 셈이라고 하겠다. 이미 명문대학들이 모여 이런 변화를 모색한 것은, IT의 수준과 SNS 사용이 일상화된 현재는 당연히 채택해야 할 변화이고 인터넷과 스마트폰 세대에게는 너무나 자연스런 일이라 할 수 있다. ▶코얼리션은 학생·대학의 상시 채널 이전까지 대학 지원 과정에서 지원자와 대학은 단 한번의 지원서 제출로 순간적인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었다면 이제 코얼리션은 고교 4년간의 상시인 연결 통로를 갖고 학생과 대학의 상호간 끈끈한 관계 형성이 가능해진 것이다. 대학측에서는 필요와 운영방식에 따라서 원할 경우 가입한 학생을 어릴 때 부터 면밀히 관찰하여 선호하는 학생을 찜할 수도 있고 또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학생을 길러낼 수도 있는 엄청난 권력을 얻게 되는 셈이다. 물론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서 업무가 많이 늘어날 수도 있고 또 학교마다 어떤 전략을 가지고 학생 유치에 뛰어들 것인가 하는 점도 차차 밝혀질 것이다. ▶전략 필요, 준비하면 기회 학생측과 카운슬러측에서도 코얼리션을 어떻게 활용하여 학생의 합격 가능성을 높일 것인지에 대한 지혜와 전술이 들어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코얼리션이 21세기 기술과 개념으로 학생 선발및 유사 관계 업종에 새로운 파도를 일으키게 될 것도 명백하다. 코얼리션 참여 대학은 6년내 졸업률이 70%가 넘는 대학만 허용되므로, 대학의 수준이 높아야 한다. 또한 대학이 학비가 저렴하든지 아니면 저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을 필요한 만큼 지급하여 저소득층 및 소수계 학생의 입학이 쉬운 대학만 참여하도록 했다. 하지만 저소득층 학생이 많이 진학하는 공립대의 경우 졸업률 기준이 못 미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저소득층 학생들이 명문대용 지원시스템을 사용할지도 의문이다. 그러나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이들 대학들과 코얼리션이 추구하는 것이 공공의 선이라고 할 수 있는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학생선발에 있어서, 저소득층 학생, 그 중에서도 우수 저소득층 학생의 발굴과 유치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전체 우수 신입생 유치에 있다는 것이다. ▶내 자녀와 코얼리션 코얼리션으로 인해 우수한 학생들에게는 큰 변화가 없으나, 발전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열렸다고 볼 수 있다. 동기부여, 기회 발견, 전술을 통한 합격 가능성 고취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성실성, 준비성 등이 더욱 요구된다는 점이다. 또한 앞으로는 명문대 지원생은 대학 지원철이 멀다고 준비를 늦춰서는 곤란할 것이니, 미리 준비하도록 하자. ------------------------------------------------------------------------------- 코얼리션 참여 93개 대학 American Univ, Amherst, Bates, Bowdoin, Brown, Bryn Mawr, CalTech, Carleton, Claremont McKenna, Clemson, Colby, Colgate, Holy Cross, William & Mary, Colorado, Columbia, Connecticut, Cornell, Dartmouth, Davidson, Duke, Emory, Florida State, Franklin and Marshall, Franklin W. Olin,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Grinnell, Hamilton, Harvard, Haverford, Illinois State, Indiana Univ-Bloomington, James Madison, Johns Hopkins, Miami Univ(Ohio), Michigan State, Middlebury, Mount Holyoke, North Carolina State Univ at Raleigh, Northeastern, Northwestern, Oberlin, Ohio State, Penn State, Pomona, Princeton, Purdue, Ramapo, Reed, Rice, Rutgers Univ-New Brunswick, Skidmore, Smith, St. Olaf, Stanford, SUNY Geneseo, SUNY Binghamton, SUNY Buffalo, Swarthmore, Texas A&M, The College of New Jersey, Tufts, Union, UChicago, UConnecticut, UFlorida, UGeorgia-Athens, UIllinois, UIowa, UMaryland-College Park, UMary Washington, UMichigan, UMinnesota-Twin Cities, UMissouri, UNew Hampshire, UNC Chapel Hill, UNotre Dame, UPenn, UPittsburgh, Rochester, USouth Carolina, UVermont, UVirginia, UWashington, Vanderbilt, Vassar, Virginia Polytech, Wake Forest, Washington Univ in St Louis, Wellesley, Wesleyan, Williams, Yale (알파벳순) 양민 / 교육컨설턴트 US에듀컨설팅

2016-06-05

백세시대, 학위도 이제는 '3모작'

(5)대학생활·직업 대학을 나오면 직장을 구하는게 일반적이다. 그래서 대학에서는 학문을 추구하면서도 직장을 구하는 이율배반적인 시간이 계속될 수 밖에 없다. 급변하는 세상에 어떻게 대처해야 공부도 하고 직장도 잘 구할 수 있을까. ▶대학 진학 이유 교육은 인생에서 가장 투자대비 회수가 가장 확실한 사업이다. 한국인의 뜨거운 교육열은 당연한 것이고 이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통계에 따르면 학사학위 소지자는 고졸보다 1.8배 더 벌고 있으며 많은 직장이 대학졸업자를 뽑고 있다. 대졸자는 수입이 더 많으며 덕분에 더 건강하고 오래 산다. 대학 진학은 수입 보장을 위해 너무나도 당연한 선택이고 세월에 따라 필수가 됐다. 대학은 경제적인 이득을 위해서 밟아야 하는 필연적인 코스다. 이전에 귀했던 대학졸업장은 60년 전 고교 졸업장보다 흔한 상태에 이르렀다. 2015년 OECD 교육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은 25세~64세 성인의 45%(남자 48%, 여자41%)가 2년제와 대학원을 포함한 대학교육을 받았다. 이를 25세~34세로 좁혀보면 무려 68%(남자 64%, 여자 72%)가 대학 교육 수혜자다. 3명중 2명이 넘는다. 이 수치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대졸자는 고졸보다 50%, 중졸보다는 2배 이상을 더 번다. 미국 거주 한인들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추정할 수 있다. ▶치솟는 대학 진학률 한국인의 교육열은 세계적이다. 25세~34세의 젊은이 중 대학 교육을 받은 비율은 68%로 세계 1위이다. 2위인 캐나다보다는 무려 10%, 7위인 노르웨이 보다는 무려 20% 높다. 미국보다는 22%가 높다. 이렇게 한국인들에게는 대학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고 우수인력 확보가 기업들에게는 쉬운 일이 되어버렸지만 졸업생들은 일자리가 없는 어처구니 없는 청년 실업시대를 맞았다. 세대간 대학교육 비율을 비교하면 한국은 그 기울기가 17-33-56-68로 세계에서 가장 가파르다. 이 교육열은 한국이 가진 양날의 칼이다. 미주 한인들의 모습도 한국과 유사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대졸이라고 잘 사는 시대는 지났다. 과연 이런 시대에 대학 교육은 얼마나 필요한가. ▶대학의 위기 명문 대학의 치솟는 입학 경쟁률과 곤두박질치는 합격률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치마 길이와 경기가 상관 관계가 있듯이 명문대 합격률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명문대의 인기를 가늠하는 꾸준한 합격률 하강은 전체 대학교육의 가치 하락과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불경기로 선호하는 일자리 얻기가 힘들어지므로 보다 더 경쟁력있는 대학으로 진학하려고 한다. 2013년 무디스 투자자서비스 (Moody's Investor Service)는 미국의 고등교육부문 (The US higher education sector-대학이상 총칭)은 사업모델로서는 최정점을 찍었다고 발표했다. 학비 이외의 여러가지 수입 원천을 가지고 있는 재정이 튼튼한, 마켓을 이끄는 대학마저도 2008년의 경제 위기이후 수입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재정 상황이 좋지 않은 미국 대부분의 대학은 이제 경비구조를 바꾸고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최고의 명문대를 제외하고는 학생이 줄고 있으며 이미 올린 높은 학비가 오히려 약점이 되고 있다. 또한 치솟는 물가와 오르지 않는 가계수입, 2008년 이후 늘지 않고 줄고 있는 고교 졸업생 숫자 등이 미국대학의 약화를 재촉하고 있다. 법대를 나와도 취업이 되지 않아 어려운 학생들이 부지기수이고 재학생이 줄어 문을 닫게 되는 법대가 생겨나고 있다. 수업료 이외의 수입원이 있거나 재산이 많은 대학만이 경제적으로 건강하다. 노스웨스턴, 아이비리그 등 명문대학과 윌리엄스, 앰허스트 같은 명문 리버럴 아츠 칼리지들은 축적된 재산과 동문·기부자들의 기부, 투자수익, 끊이지 않는 우수학생의 유입으로 아무런 걱정이 없으나 그렇지 않은 대학들은 수업료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할 수밖에 없다. 주립대도 전체 예산의 10%미만을 주정부 보조에 의지하는 버지니아 주립, 미시간 주립, UC버클리 등은 괜찮지만 주정부의 재정 지원의 폭이 큰 주립대학들은 주정부가 예산 감소 등으로 큰 타격을 받게될 것이다. 가주의 경우 부족분을 타주및 외국학생을 유치해서 메꾸고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 IT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로 인한 명문대학의 캠퍼스 의존도가 아직은 높지만 점차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무크(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등이 급격한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보의 발전이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져 교육의 활용 수명이 점차 짧아지고 있다. 심지어 미래학자들은 평생 최소 3번의 학위가 필요한 시대가 됐다고 한다. 이제는 한번의 대학교육으로 평생을 보장받던 시대는 끝이 났다. 명문 대학들의 파워는 계속 지속되겠지만 전반적인 대학교육의 지평은 큰 진통과 대변혁을 맞을 것이지만 언제 어디서부터인지는 알 수 없다. ▶내 자녀의 대학교육 명문대가 아직도 경쟁력이 있듯이, 상위 수십개의 명문대로 진학할 수 있는 학생은 사실상 전공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충분히 경쟁력있는 취업이 보장될 것이다. 양극화가 심화되고 상위 1%에게 부가 편중 되었듯이 교육을 통한 기득권의 일부 상위권 집중은 계속될 것이다. 아카데믹스(학과목의 구성과 성적)에 강할수록 예전처럼 학업에 전념하면 된다. 그러나 자신의 경쟁력을 시대에 맞게 갖춰야 된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대학 진학이나 전공선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전투적인 마인드셋으로 가져야 할 것이다. 아카데믹스가 강하지 않을수록 시대가 요구하는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대세인 4차 산업, 즉 정보, 의료, 교육 등 서비스 산업에서 자기자리를 염두에 두고 공부해야 한다. 기타 재능이 있는 경우에는 5차 산업인 취미, 오락, 패션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공부도 방법이다. 자신의 경쟁력을 로우 테크나 비인기직종에서 찾는 것도 한 방법이다. 사라지지 않을 직종·사업 중에는 기술화나 정보화, 신기술과의 융합 등을 이뤄 당분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틈새시장을 보는 시야, 필요한 곳에서는 장인 정신을 요구하는 사업 등을 주시하도록 한다. 이전에는 대학 졸업장이 자신의 꿈·재능·열정·캐릭터 빌드업에 비해 중요했다면 이제는 자신의 경쟁력을 대학 교육이 뒷받침하도록 하고 끊임없이 변화·적응·발전할 수 있는 마인드셋을 갖추는 것이 앞으로의 대학교육에 대한 올바른 자세다.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양민 / 교육컨설턴트 US에듀컨설팅

2016-05-31

지원서에 '전공' 선택 이유 명확히 밝혀야

(4) 전공별 입학전략 대입 지원서를 제출시 '전공 선택'(Intended Major)은 경우에 따라, 학생에 따라 합격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한 꼭 전공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Undeclared(전공 미정)도 훌륭한 선택이기 때문이다. 전공별 입학 전략에 대해서 알아본다. ▶Major is declared 미국 대학은 자율성이 매우 강조되는 체제이다. 전공도 학생이 선언(declare)하는 것이고 전공별로 최소한의 학점이수, 필수과목 등을 채우기만 하면 된다. 어떤 대학은 고등학생이 대학 지원할 때 스스로의 소속을 정할 만큼 확고한 의지나 충분한 지식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 학생이 훌륭하면 뽑아서 교육시키는 중에 정하면 된다고 보기때문이다. 이런 대학을 지원할 때는 지원자는 좀 더 자유로운 마음으로 탐험가의 기분으로 전공을 선택하거나 또는 안하거나 하면 된다. ▶전공이 꼭 정해져 있지 않아도 괜찮은 대학 하버드, 스탠포드, 윌리엄스, 포모나와 같은 리버럴 아츠 칼리지와 리버럴 아츠 전통을 계승하거나 중시하는 명문 종합대학들은 '전공미정' 학생들과 전공을 정한 학생들을 꼭 같은 기준으로 보며 대학생활을 통해 견문을 넓히고 자유로운 전공선택과 변경을 권장한다. 대개 학부에 단 30개 남짓의 전공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나마도 많은 학생들이 초반에 전공미정(Undecided)으로 다양한 방면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하버드는 전공을 메이저(Major)가 아닌 콘센트레이션(Concentration)이라고 부르며 학적과(Registrar)에 신청서(a Declaration of Concentration & Plan of Study)를 제출하고 허가(approval)를 받기만 하면 환경학, 공공행정, 역사, 문학, 비교문학, 사회학 등의 일부 전공을 제외하고는 전공을 바꿀 수 있다. 스탠포드 대학 같은 경우에는 액세스(Axess)라는 온라인 정보기록 등록사이트에 학생이 로그인하여 간단히 전공 변경을 신고하면 바꿀 수 있다. ▶지원서와 전공선택에 있어 주의사항 대학 지원서는 입학사정관이 짧은 시간에 읽고 학생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써야 한다. 전공 선택도 그 자체가 갖는 중요성보다는 학생을 이해하기에 필요한 또 하나의 근거(Clue)로써 중요하다. 전공이 정해졌던 미정이던 간에 그것이 자연스럽게 설명될 수 있는 스토리와 정보가 발견돼야 한다. 최종 순간에 전공을 바꿔서 제출하는 경우, 이제까지 써 온 스토리와 정보들이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합격 여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선택한 전공이 합격여부에 큰 영향을 끼치는 대학 하버드나 스탠포드 같이 학부가 한개나 두개의 인문학부로 구성되어있는 것과 달리, 대학이 종합대학이며 학생수가 유난히 많은 경우에 이야기는 달라진다. 대형 대학들은 학교 자체가 여러개의 학교(School, College)로 구성돼 있다. 인문자연대(College of Arts and Sciences), 공과대학(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 예술대(College of Performing Arts), 경영대(College of Business), 언론대(Schoo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s), 음악대(School of Music), 교육대(School of Education) 등으로 단과대학이나 전문대학원(Professional School)으로 독립성을 가지면서 학부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거의 틀림없이 전공선택이 합격 여부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런 대학의 예로는 노스웨스턴, 코넬, 보스턴 칼리지, UC 버클리 등과 같은 대학원 중심제의 대규모 대학들이다. 뉴욕대(NYU)의 경영학부(Stern School of Business)에 지원하는 경우에는 NYU인문학부에 합격할 학생일 지라도, 경쟁이 심한 경영대(Stern School of Business)에는 불합격하기가 쉽다. 그럼 들어가기 쉬운 인문학부 또는 농학부로 입학하여 추후에 공대로 진학하면 되겠지 생각하면 오산이다. 처음에 들어가기 어려운 대학들은 입학 후에 전과하기도 쉽지 않거나 불가능하다. 미리 알아보고 지원하는 것이 맞다. ▶자녀가 대형 대학에 지원할 때 대형 대학 지원시, 단과대학은 정하고, 세부 전공은 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UC 버클리 공대를 정하고 전공미정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학교 자체가 전공 미정으로 학생을 뽑는 경우에는 '전공 미정'이라고 불리하다고 볼 수는 없다. 그 경우에도 학생이 엔지니어링 전반에 대한, 관심과 재능, 학생의 이력이 어떤지는 역시 중요하다. 한 학부내에서 연관성이 떨어지는 전공끼리의 전과는 가능하다. 또한 남들이 지원하지 않는 전공을 선택해서 지원하여 합격 가능성을 올리고자하는 경우에도 지원서류에 나타나는 학생의 이력이 그것을 잘 설명하는지가 신빙성을 높이고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기준이 될 것이다. ▶전공선택의 방법 1. 어떤 전공을 택할 지 도저히 아이디어가 없을 때는 인문대학으로 'Undeclared'로 지원하는 것이 맞다. 사고의 지평을 넓힐 기회가 높고 전공 변경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2. 좋아하고 좋은 성적을 맞았던 학과목과 연관분야의 전공을 택한다. (표참조) 많은 전공 중에서 가장 적절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시작한 후 점차 맞는 전공으로 변경한다. 3. 원하는 직업에 맞는 학부 전공을 택한다. (표참조) 4. 선택한 전공과 자신의 열정이 어울리도록 지원서를 작성한다. 5. 선택한 전공과 자신의 학과외 활동이 어울리도록 지원서를 작성한다 양민 / 교육컨설턴트 US에듀컨설팅

2016-05-22

'장학금 액수'+'명성' 따져 최종 선택해야

(3)사립 및 주립대학 미국 대학들의 대세는 역시 주립대학이다. 사립이나 주립이 배우는 것이 크게 다를리 없기에 비교가 되는 것은 바로 학비다. 사립대학이 제시하는 학자금 틀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면 진학 전략을 짜는데 도움이 된다. 자녀에게는 동기부여도 된다. ▶주립대학의 학비 1860년대 이후 산업혁명과 맞물려 일어난 남북전쟁이 마무리 되고 철도 등 대중 교통과 소비 유통이 급격히 발전하게 되자 미국은 캘리포니아 등 태평양 연안주들 및 중서부로 확장되며 폭발적인 발전을 한다. 이때 주립대학들이 대거 설립되면서 대학교육의 대중화가 이뤄진다. 공립(public)대학은 주정부의 자금으로 학교가 운영되는 주립(state) 대학들로 주정부의 예산과 연방정부의 보조금 등을 이용, 주내 거주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립대학의 저렴했던 학비도 수십년간 꾸준히 올라 만만치 않은 액수가 됐다. 하지만 숙식비를 제외한 학비를 수천달러 수준으로 유지하는 주들도 있다.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가주의 경우 1만5000여 달러의 학비와 1만4000여 달러의 숙식비를 더하면 한 해에 1인당 3만달러 이상의 비용이 들어간다. 그러나 모든 학생이 같은 금액을 내는 것은 아니다. UCLA 같은 경우에 2013-2014년의 경우, 3억달러를 니드베이스 보조(Need-Based Scholarship/Grant)로 1만 5600여 명에게 지급했으니 학비가 필요한 학생들은 장학금으로 평균 1만8000달러씩 받은 셈이고 장학금을 받지 않은 학생들까지 포함한 전체 학생숫자인 2만9000명으로 나눠보면 학생 1인당 1만달러씩을 학교가 쓴 셈이다. 결국 평균적으로는 학생들이 연 2만달러정도로 대학을 다니고 먹고 자는 것을 해결했다. ▶가정형편과 주립대 가주의 경우 주립대학 학비는 숙식비 포함, UC가 1인당 3만달러, 캘스테이트 계열이 2만2000달러, 또 커뮤니티 칼리지도 2만달러 선이다. 여기엔 숙식비 1만4000달러가 들어 있다. 초중고 교육을 무상인 공립학교에 보낸 가정에서는 숙식비 외에 학비가 평균 4만5000달러~6만달러에 숙식비를 더하여 막대한 학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일찌감치 사립대 진학을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 반면 가주 학생의 경우 가정형편이 어려워도 경제적 수준에 맞는 대학인 주립대학 시스템이 잘 마련돼 있어 버클리부터 커뮤니티 칼리지까지 학생 수준에 맞게 선택이 가능하다. 하지만 학생과 학부모들이 잘 몰라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자신의 경제적 형편을 잘 알고 미리부터 학교 선정과 목표 대학 선정을 잘 하면 의외로 큰 돈을 들이지 않고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기 때문이다. ▶FAFSA와 EFC 대학지원시에 학자금지원서(FAFSA)를 제출하면 연방교육부는 학생 각자의 집안 형편에 따라 다음해에 학비로 쓸 수 있는 능력을 수치(EFC=Expected Family Contribution)로 판정, 학생이 지원한 대학에 보내준다. 예를 들어, 세금보고로 지난해 AGI(Adjusted Gross Income)이 6만달러인 가정의 경우 EFC가 1만달러가 나오면 이 수치는 학생이 지원한 모든 대학이 받게 되고 학생이 합격한 경우에 학비와 장학금, 대출 예상액수 명세서를 보내주게 된다. 만일 UCLA에 합격했다면 위에 설명한 바로 1만8000달러를 학자금으로 해결받는 당사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나머지 1만달러를 부모가 내주든지 아니면 학생과 부모가 대출을 받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학생이 지난번 '명문대학'편에 소개한 스탠포드를 비롯한 수십개의 명문사립대학에 합격했으면 그들의 학자금보조 정책에 따라 6만5000달러 전액을 면제 받을 수 있는 행운을 얻게 된다. 혹시라도 넉넉지 않은 가정 형편 때문에 분수(?)에 맞지 않게 공부를 너무 열심히 하는 것을 달갑지 않게 생각하고 적당히 공부해서 주립을 가라고 얘기하는 학부모들은 사실 잘못된 얘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대학 장학금은 니드베이스 니드베이스(Need Base)의 뜻은 '필요에 따라서'라는 것이다.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만큼 주겠다는 것이다. 대개 명문대학의 학자금보조는 바로 이 '필요에 따른' 장학금이다. 미국에서 명문대는 바로 이 '필요한 학자금'을 대주는 대학들이다. 대학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이런 사실이 잘 알려지면 좋다. 자신이 노력해 대학에 합격하면 부모가 해 줄 수 없는 학비를 자신의 능력으로 벌수 있다는 것과 액수가 크면 7만달러씩 4년동안 28만달러까지 받을 수 있다. ▶주립대학도 비싼 경우 주립대학이라고 다 싼 것은 아니다. 부모의 경제적인 능력에 따라서 UC에서는 한 푼의 보조도 없이 모든 학비를 다 내어야하는 경우에도 사립대학에서는 상당액의 보조를 받을 수 있어 실제로 사립대에 보내는 것이 더 저렴한 경우도 많고 같은 비용으로 사립대를 보낼 수도 있다. 또한 타주의 주립대학으로 가는 경우에는 그리 싸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주립대학은 모두 자기 주내 거주자가 우선이기 때문이다. UC의 경우에도 타주출신이나 외국학생은 2만5000달러의 타주 비용(Out-of-State Fee)을 더 내야 한다. ▶내 아이의 대학-사립이냐 주립이냐 사립이냐 주립이냐는 결국 학비 문제인 경우가 아주 많다. 학생이 아주 우수한 경우에는 사립도 주립보다 싸게 갈 수 있는 경우가 있으니,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대학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학생의 능력에 따라 원하는 명문 사립대학들이 어려운 경우에는 장학금을 잘 주는 대학을 골라야 하며 자신의 능력보다 조금 수월한 대학에도 지원하면 이 때에는 메릿 장학금(Merit Scholarship, 학생이 우수한 경우에 지급하는 장학금)이 포함된 예상 외의 많은 액수의 장학금을 받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장학금 액수'+'학교의 명성'을 가지고 저울질해 최종 대학선택을 재미있게 해 볼 수도 있다. UC의 경우에는 학생의 GPA와 시험성적이 매우 중요하므로 학과외활동이 비교적 부족한 학생의 경우라도 UC 합격이 수월할 수도 있다. 양민 / 교육컨설턴트 US에듀컨설팅

2016-05-15

일단 결정해서 공부해보고 바꿔도 좋다

(2)전공 선택 고등교육의 한 과정인 학부과정을 마치면 학사 학위를 주는데 학위에는 전공이 있다. 전공의 종류와 결정시기, 결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학위의 종류 대학 학위는 학문의 정도, 큰 방향, 전공(Major)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Bachelor of Science(BS) in Chemistry' 학위는 화학 이학사인데, 배출러(Bachelor, 학사)는 학문의 정도, of Science(이학)는 큰 방향, in English Literature(영문학)는 전공이다. BA는 인문학 및 사회과학분야는 정치학, 국제관계학, 영어, 예술사, 사회학, 문화인류학 등 문과 전공에 주는 학위이며 BS는 자연과학, 수학, 공학, 생물학, 진화인류학, 경제학 등 이과전공에 주는 학위이다. 미국에서는 1877년 존스홉킨스 대학이 처음 전공을 도입했고 하버드도 1910년이 되어서야 전공을 갖게 됐다. 4년제 대학의 첫 2년은 교양과정, 마지막 2년은 전공 과정이라 보면 정확하다. 2년제 커뮤니티 칼리지의 준학사(Associate Degree)는 2년중 절반은 교양, 나머지는 집중분야를 공부하면 전공(Major)을 학위에 포함시켜준다. 졸업 후 4년제대학으로 편입하는 경우에는 '편입을 위한 준학사'라는 학위를 받게 되는데 4년제의 첫 2년간의 교양과정에 해당한다. 학부 3, 4학년동안 전공별로 정해진 필수과목을 이수하면 졸업시 학위를 신청해 그 전공으로 학위를 받는다. 전공(Major)은 2년 필수, 부전공(Minor)은 1년 필수로 얻을 수 있으며 복수전공(Double Major)인증도 조건에 맞으면 얻을 수 있다. ▶전공은 언제 정하나 대학 지원시 원하는 전공을 고르면 자연스럽게 그 전공으로 합격하게 된다. 그러나 학위 수여때까지는 계속해서 예정 사항일 뿐이다. 전공은 입학시에 정한다. 또는 2학년(sophomore)에 가서 한다. 또는 3학년 전공과정이 될 때 정한다는 것이 모두 맞으나, 4학년 말이 돼 졸업하겠다는 학위 신청서를 학적과에 제출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질 때 비로소 전공이 정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쟁이 많아 학위 수여자 수를 조절해야 하는 대학의 경우 전공별로 정원이 있어 전공을 바꾸기 쉽지 않을 수 있다. UC의 경우도 정원제한 전공(Capped Major)이라고 해서 학위수여자 수를 미리 정해 놓은 공학이나, 생물 의학계통은 대학 지원시에만 뽑아, 전공 변경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또한 4년 내내 한 전공에 속해 있었더라도 졸업 때가 돼 해당 전공으로 학위를 받기에 필요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학위를 받을 수 없어 눈물을 머금고 학위를 주는 전공으로 졸업하는 경우도 있다. ▶전공은 꼭 정해야 하나 정원제한 전공(Capped Major 또는 Impacted Major)인 경우에는 중간에 들어갈 수 없으므로 대학 지원시 정해서 입학해야만 한다.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했다가 도중에 정할 수도 있으며 정해서 대학에 들어가서도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서 중도에 전공을 바꿀 수 있다. '전공 미결정(Undecided)'으로 입학한 경우에는 대개 1학년에 생각해서 2학년에 올라가면서 정한다. 그러지 못한 경우 3학년이 되면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늦게 바꾸게 되면 새 전공의 필수과목을 채우기 위해 학교를 더 오래 다녀야 한다. 어느 전공으로도 졸업조건을 채우지 못하면 학위를 받지 못하거나 학교를 옮겨야 한다. 컬럼비아 같이 학부가 아닌, School of General Studies에서 학사학위를 받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도 졸업시에는 전공을 꼭 정해서 학위를 받게 된다. 미국에서 통계적으로 학부대학생들은 평균 2번 이상 전공을 바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학 졸업후 자기 전공과 상관없는 직업을 갖는 경우도 매우 많다고 알려져 있다. 명문 리버럴아츠인 윌리엄스칼리지의 졸업생이 전공별로 과연 어떤 커리어(http://web.williams.edu/Mathematics/devadoss/careerpath.html)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면 피부에 와 닿는다. 대개 학교 보다는 전공이 중요하다는 말도 있지만 거꾸로 전공보다는 학교, 거기서 생기는 커넥션, 거기서 쌓은 학생의 개인적인 인성의 발전이 더욱 중요하다는 말도 역시 사실이다. ▶전공은 어떻게 정하나 대개 사람들은 원하는 것, 잘하는 것, 하고 싶은 것을 전공으로 결정하게 된다. (1) 꿈꾸는 직업이 있는 경우: 의사가 꿈이면, 의과대학원을 가야 하고, 그것을 수월하게 하는 학부과정, 즉 프리메드(Pre-Med)나 생물학(Biology) 생화학(Biochemistry), 화학(Chemistry)이 자연스러운 전공이 된다. (2) 벌고 싶은 수입 수준이 높은 경우: 원하는 수입 정도에 적절한 직업이나 사업을 찾아보게 되고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전공을 생각하게 된다.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수입과 그 수입을 얻게 된 과정, 대학전공을 살펴보면서 동기를 얻기도 한다. (3) 하고 싶은 열정이 있고 그래서 결국 잘 할 수 밖에 없는 분야가 있는 경우: 경제적으로 보장이 있지 않을 수 있고 부모나 친지가 원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후회없이, 행복하게 살기 위해 전공을 정해야 할 수도 있다. (4) 아무 것도 하고 싶은 것이 없을 경우: 이때도 걱정은 없다. 일단 전공 미결정(Undeclared, Undecided)으로 입학하거나 최선의 선택이 없다면 차선의 선택, 주변의 조언을 얻어서 결정해도 된다. 바꿀 기회는 있다. 학교를 다니면서 꾸준히 연구하며 찾으면 된다. 그러나 너무 기다릴 필요는 없다. 해보고 아니면 바꾸면 되지만 결정하지 않으면 알 수가 없다. (표) 전공선택이 수입이 전부는 아니지만, 전공별 수입 통계가 있어서 소개한다. 대개 공학쪽이 순위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현실이다. 세부전공별이 아니라 전공그룹별 수입 중간값 통계다. ▶내 자녀의 전공 자녀들은 부모나 가족의 직업과 전공에 익숙하다. 자녀의 비전을 확장시켜주기 위해서는 여러 직업과 라이프스타일을 접할 기회를 주어 자연스럽게 동기가 생기도록 도와야 한다. 부모의 칭찬으로 인해 생긴 자긍심과 동기는 전공 선택에 필수적이다. 기회가 적을 때는 대학 입학 직후 자긍심을 키워주고 커리어 지도를 잘해줄 대학으로 진학시키는 것이 좋다. 양민 / 교육컨설턴트 US에듀컨설팅

2016-05-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