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12분간<플라스틱백 평균 수명>의 편리’에 훼손되는 자연환경
캘리포니아주가 2026년부터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백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한다. 지난 2014년 캘리포니아주는 일회용 플라스틱백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채택해 10년째 시행해 왔다. 이 같은 정책에도 플라스틱 폐기물은 줄지 않고 있다. 당시 법이 시행되면서 마켓 등 식료품점은 무료로 얇은 플라스틱백을 제공하는 대신 재사용이 가능한 두꺼운 재질의 플라스틱백을 10센트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무료 배포돼 버려지는 플라스틱백을 줄이려는 목적이었지만 구입한 백을 재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자는 법이 오히려 남용을 부추기는 부작용을 낳았다. 재사용이 가능한 백은 기존의 LDPE 플라스틱백보다 두껍고 무거운 HDPE 재질로 제작된다. 재료 모두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산업과 농업 분야에서는 재활용이 활발한 반면 일반 소비자들이 다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소비자 보호단체 CALPIRG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법이 통과된 해에 캘리포니아에서는 15만7385t의 플라스틱백이 폐기됐다. 이후 2022년에는 버려진 플라스틱백이 23만1072t톤으로 늘어 47%나 급증했다. 인구 증가를 고려해도 2014년 인구 1000명당 4.08t에서 2022년에는 5.89t으로 늘어난 셈이다. 미국환경연구·정책센터에 따르면 현재 캘리포니아주를 포함한 12개 주에서 플라스틱백 사용 금지를 시행 중이다. 28개 주는 주 내 수백개 도시에서 플라스틱백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2026년부터 시행할 새로운 법은 플라스틱백 사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금지해 폐기물 공해를 줄이자는 것이 목표다. 법안에 따르면 업소들은 2026년 1월까지는 종이백이나 필름 재질이 아닌 재활용 플라스틱백만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재활용 가능한 백을 현재처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폐기물 줄이기 운동 비영리 네트워크 ‘ZWE(Zero Waste Europe)’의 2017년 발표에 따르면 플라스틱백의 수명은 20분이었다. 물건을 담아 운반에 사용하다가 버려지기까지의 평균 시간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플라스틱백 남용이 심화하면서 수명은 더 줄어 평균 12분을 넘지 못한다. 환경운동가들은 “플라스틱이 분해되려면 500~100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단지 식료품을 집으로 가져가는 12분 동안의 편리를 위해 환경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는 지구환경을 오염시키고, 토양이나 바다에 함유된 플라스틱은 결국 사람들이 섭취하는 음식에도 들어간다. UCLA의 최근 연구에서는 공기 중에도 미세 플라스틱 입자들이 많이 떠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된 플라스틱은 썩지 않고 작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남는다. 크기가 작아지면서 마이크로플라스틱, 마이크로파이버, 나노플라스틱 등의 미세 입자로 자연에 존재한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인 플라스틱 입자를 말하며 나노플라스틱은 1㎛보다 작은 크기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워낙 작아서 하수처리시설이나 필터 등에 걸러지지 않는다. 병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다는 충격적인 보도도 있다. 노르웨이 대학 연구팀 등이 병물에 담긴 나노플라스틱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병물 1mL당 1억 개가 넘은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연구팀은 노르웨이에서 유통되는 4개 브랜드를 사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컬럼비아대학에서도 병물의 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병물 1리터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24만개 검출됐다. 실험에서 총 7개 종류의 플라스틱이 발견됐는데 이중 나노플라스틱이 9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들은 나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보다 건강에 더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크기가 작아 인체 장기나 혈액에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마시는 물이나 음식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와 체내에 쌓이게 된다. 나노 단위로까지 작아진 플라스틱은 폐의 상피세포를 비롯해 간, 뇌, 신장 등에 축적되기도 한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대표적인 해양 오염물질이다.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1966년 2000만t에서 2015년에는 3억8100만t으로 늘었다. 플라스틱 생산량이 늘어난 만큼 해양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도 증가해 2015년 기준 800만t이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2030년이 되면 유입량이 5300만t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국가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1위는 미국이다. 국립과학의학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미국은 1인당 배출량이 연간 130kg에 이른다. 2위는 영국 99kg 3위는 한국 88kg이다. 이어 독일(81㎏), 태국(69㎏), 말레이시아(67㎏), 아르헨티나(61㎏)의 순이다. 플라스틱은 20세기의 기적이라 할 만큼 근대 과학이 낳은 획기적인 발명품이면서 동시에 대표적인 환경공해 물질이다. 종류에 따라서는 부패되지 않는 물질도 있다. 환경학자 수전 프라인켈은 저서 ‘플라스틱’에서 인류의 발명품 중 플라스틱만큼 생활의 큰 변화를 가져온 것도 없다고 강조한다. 생활 도구나 물품 제작에 전기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철재, 목재, 상아 등 천연원료로 제작돼 부유층과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던 사치품을 비롯해 다양한 물건들의 대량제작을 가능하게 했다. 발명 초기에는 기적의 소재로 찬사를 받았지만 플라스틱 대량 소비시대의 도래로 이제는 환경공해의 주범이 됐다. 생활의 소소한 편리를 찾다보니 주변 곳곳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이고 지구환경은 오염돼 간다. 플라스틱의 역습은 이미 시작됐다. 플라스틱이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없다면 줄이고 재활용하는 방법 외에 다른 해결책은 없다. 김완신 에디터FOCUS 플라스틱백 자연환경 플라스틱백 사용 재활용 플라스틱백 플라스틱백 남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