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몽상] 미남 배우 ‘아랑 드롱’의 추억
그를 예전에 한국에선 ‘아랑 드롱’이라고 불렀다. ‘아랑 드롱처럼 잘 생겼다’나 ‘한국의 아랑 드롱’ 같은 말은 그의 영화를 동시대 극장가에서 본 적 없는 아이들도 무슨 말인지 또렷이 알았다. ‘아랑 드롱’은 미남의 대명사였고, 그는 곧 ‘세기의 미남’이었다. 이달 중순 별세한 배우 알랭 들롱 얘기다. 개인적으로 그의 외모에 감탄한 건. 뒤늦게 TV에서 본 영화 덕분이다. 제목도 줄거리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마지막에 그가 총에 맞아 쓰러지는 영화였다. 추정컨대 시몬 시뇨레와 함께 나온 ‘미망인’(1971, 원제 Le Veuve Coderc) 아닐까 싶은데, 확실하지 않다. 사실 그가 마지막에 총에 맞아 죽는 영화는 한둘이 아니다. ‘암흑가의 세 사람’(1970, 원제 Le Cercle Rouge)도 그렇다. 이 영화에서 그는 5년 만에 감옥에서 나와 탈주범, 전직 경찰과 손잡고 보석상을 터는 역할이다. 얼굴에 콧수염을 붙였지만, 미남인 줄 몰라보긴 힘들다. 더구나 그의 ‘바바리 코트’ 차림은 극 중 상황을 모르면 패션 화보라고 해도 믿을 정도다. 물론 ‘태양은 가득히’(1960, 원제 Plein soleil)를 보지 않고 ‘아랑 드롱’을 말하기는 힘들다. 당시 25세의 그는 잘 생긴 외모에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청년이 아니라 부잣집 아들의 가난한 친구 톰 리플리로 나온다. 말이 좋아 친구지, 부잣집 아들 필립은 톰을 하인 대하듯 한다. 톰은 요트 위에서 필립을 죽이고, 그의 서명과 편지를 위조하고, 아슬아슬한 순간들을 넘기고, 결국 바라던 모든 것을 손에 넣은 듯 보인다. 그 다음의 마지막 장면은 아주 인상적이다. 톰의 거짓말과 살인은 이제 막 탄로가 났는데, 톰 자신은 이를 모른 채 이제껏 보여준 적 없는 환한 미소를 짓는다. 이 영화의 원작이 된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와 전혀 다른 결말이다. 덕분에 그 미소는 일그러진 청춘의 욕망을 응축한 듯 보인다. “눈빛은 그 사람의 영혼을 나타내는 것”. 그가 1996년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당시 내한 목적은 그의 이름을 딴 코냑과 향수 홍보였으니, 한국 영화계와의 접점이라면 2007년 칸영화제를 꼽게 된다. 전도연의 여우주연상 수상 당시 시상자가 바로 그였다. 지금 찾아보니 당시 기사에 ‘세기의 미남’이란 말을 쓰긴 했지만, 사실 그의 삶에 대해 잘 몰랐다. 스타의 언행이 실시간 전파되는 요즘 같은 시대를 거쳐왔다면, 그처럼 ‘세기의 미남’으로 기억이 봉인되는 배우는 나오지 않을 것이다. 사족으로 덧붙이면 ‘리플리 증후군’이란 말이 있다. 거짓말을 거듭하다 스스로 사실이라고 믿어버리는 것을 가리킨다는데, ‘태양은 가득히’에는 이런 묘사가 없다. 의심스러우면 찾아보시길. OTT에 알랭 들롱의 출연작이 여러 편이다. 이후남 한국 문화선임기자영화몽상 미남 배우 미남 배우 한국 영화계 배우 알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