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젖소 조류독감 확산…인체 감염 사례 증가

조류독감(H5N1)이 젖소를 통해 퍼지며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무증상 인체 감염도 느는 것으로 나타났다.   LA타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내 16개 주에서 젖소 감염이 확인됐으며, 감염된 사람은 총 68명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실제 감염 사례가 공식 보고된 것보다 훨씬 더 클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오하이오주 보건국, 미국수의사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Bovine Practitioners)가 46개 주와 캐나다 내  수의사 150명을 조사한 결과, 3명이 H5N1 항체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감염된 가축과 접촉한 기억이 없었으며,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바이러스가 감지되지 않은 채 퍼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존 코슬런드 전 농무부(USDA) 연구원은 “H5N1 항체 검출이 젖소 감염률을 정확히 반영하지는 않지만, 사람이 무증상 감염될 수 있으며 바이러스 재조합(reassortment)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재조합은 한 개체가 두 개 이상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유전자가 섞이면서 새로운 변이가 발생하는 것을 가리킨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 변이가 사람 간 전파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네바다주 젖소에서 검출된 ‘D1.1’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 양상이 바꾸고 있으며, 인체 감염 위험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윤재 기자조류독감 젖소 젖소 감염률 젖소 조류독감 인체 감염

2025-02-18

'콜록콜록' 독감 환자 속출…확진율 30%까지 육박해

LA 등 전국에서 독감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건당국은 생후 6개월 이상인 사람은 독감(flu),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코로나19 백신을 꼭 맞으라고 당부했다.     제니 황(43)씨는 최근 다섯 살 아이를 병원 응급실로 데려가야만 했다. 황씨는 “아이가 기침을 계속하고 체온이 105도까지 올랐다”면서 “증상이 계속 나빠져 응급실에 갔더니 독감이었다. 다행히 RSV는 아니었다”고 전했다.   피터 신(38) 전문간호사(NP)는 “독감에 걸린 환자가 너무 많이 병원을 찾고 있다. 우리 가족도 걸려서 일주일 정도 구토를 하는 등 이번 독감은 증상이 꽤 심하다”고 말했다.   LA카운티 공공보건국에 따르면 지난 1월 넷째 주 독감증상을 보인 환자 6668명 중 확진자는 1913명으로 확진율 29%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중순 독감이 1차 유행한 뒤 올해 1월 초 확진율이 22%까지 떨어졌지만, 중순 이후 다시 29%까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1월 말 기준 독감 증상으로 병원 응급실을 찾은 환자 비율도 12%로 지난해 동기의 6%보다 두 배 높았다.     CBS뉴스는 현재 캘리포니아주 등 전국 41개 주가 독감 확산 수준이 ‘높음 또는 매우 높음’이라고 경고했다.     실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는 독감 환자는 전주 대비 30%나 급증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낮은 백신 접종이 독감 감염률 상승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CDC에 따르면 백신접종률은 성인 44%, 어린이 44.5%로 목표치 70%에 한참 못 미치고 있다.     이영직 내과전문의는 “면역력이 약한 나이대일수록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하다. 증상이 심하면 의사 진료를 받고 72시간 안에 항바이러스 감기약인 타미플루를 먹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약자를 공격하는 RSV 감염자도 늘고 있다. 1월 말 기준 LA카운티 지역 RSV 확진율은 8%로 지난해 11월 4%대의 두 배 수준이다.     RSV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켜 예방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티파니 김(70대)씨는 “RSV는 독감하고 증상이 비슷하고 감염되면 숨을 못 쉴 정도로 기침을 계속한다. 한번 고생하고 난 뒤에는 백신을 꼭 맞는다”고 전했다.   이밖에 LA카운티 공공보건국은 호흡기 질환인 메타모뉴 바이러스(HMPV)와 겨울철 식중독을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 감염도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편 LA타임스는 가주 전역에서 조류독감(H5N1, H5N9)이 계속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2월 3일 기준 가주에서만 상업용 양계장 100곳 이상에서 조류독감이 확인됐고, 2300만 마리가 바이러스에 노출됐다고 전했다.     특히 전국에서 67명(사망 1명)이 조류독감에 감염됐고 이 중 50%가 가주민으로 나타났다. LA카운티에서는 지난해 12월 첫 조류독감 감염환자가 보고됐다.   LA카운티 공공보건국은 “멸균 처리되지 않은 우유, 덜 익힌 동물성 제품을 섭취하지 말고 애완동물 등이 야생동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확진율 독감 조류독감 감염환자 독감 환자 노로바이러스 감염

2025-02-06

전국 ‘쿼드데믹’ 우려 확산

독감과 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노로바이러스 등이 동시에 유행하는 ‘쿼드 데믹’(Quad-demic)이 전국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17일자로 업데이트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들어 네 가지 질병에 감염된 환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CDC에 따르면 전국에서 독감에 대한 양성 반응은 직전주에 비해 18.8% 증가했고, 코로나19에 대한 양성 반응은 6.6%, RSV 양성 반응은 전주대비 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DC는 “폐수를 통해 점검한 결과 전국적으로 코로나19와 A형 독감 바이러스 활동 수치가 높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특히 대부분 지역에서 호흡기 질환인 독감과 코로나19, RSV는 ‘높음’ 또는 ‘매우 높음’ 수준이며, 노로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정상 수준을 크게 웃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CDC는 올해 겨울엔 호흡기 바이러스가 예년 겨울보다 늦게 유행하면서 이번에 네 가지 질병이 한 번에 유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뉴욕시 보건국은 뉴욕시 독감 확산 정도를 ‘매우 높음’ 수준이라고 파악했다.    지난 11일 기준 뉴욕시 독감 양성률은 전주대비 6% 증가한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7일간 일평균 코로나19 감염 건수는 328건이다.     CDC는 “손 씻기와 기침이 나올 경우 가리고 하기, 청소와 소독 등 개인 위생, 공용 공간인 경우 환기를 자주 시키는 등 기본적인 내용을 잘 따른다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전국 쿼드 노로바이러스 감염 결과 전국적 우려 확산

2025-01-22

시카고 호흡기 감염 질환 대유행

호흡기 질환이 시카고 지역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3~4월까지는 이 같은 유행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카고보건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독감 증세를 보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검사 결과 18.3%가 독감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14.1%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자도 4.0%로 집계됐다.     일리노이 주 보건국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주민들의 숫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독감과 RSV는 크게 증가한 상태이며 코로나19 역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라며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가 대유행”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각 지역 병원들에서는 감염 예방을 위한 조치에 나섰다.     시카고 대학 병원에서는 직원들을 상대로 환자들이 드나드는 지역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할 것을 지시했다. 에버그린파크의 리틀 콤파니 오브 매리 병원에서는 환자 한 명당 방문자를 두 명으로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러시 병원의 감염병 전문의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겨울철에 크게 유행하곤 한다. 실내 활동이 많아지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늘면서 바이러스가 쉽게 퍼지기 때문”이라며 “독감이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연방질병통제센터는 RSV의 경우 75세 이상 노인이나 60세에서 74세 사이의 고위험군에 속하는 주민들은 백신 접종을 권장되고 있다.     RSV는 소아 및 성인에서 감기, 기관지염, 폐렴, 세기관지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5세 미만의 소아에서 폐렴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기 분비물의 흡입 등에 의해서 전염되며, 잠복기는 4-5일이다.     시카고 주민들 중에 오랫동안 기침을 계속하는 경우 RSV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된다.     Nathan Park 기자시카고 호흡기 시카고 호흡기 호흡기 감염 호흡기 질환

2025-01-07

브로콜리 식중독균 위험 리콜…가주 등 20개주 월마트 판매

월마트에서 판매된 브로콜리가 식중독균 감염 위험성으로 리콜된다. 가주 솔레다드를 기반으로 둔 브라가 프레시는 지난달 27일 리스테리아균 감염 가능성으로 일부 12온스 ‘마켓사이드 브로콜리 플로레트(사진)’ 제품에 대해 자발적 리콜을 발표했다.   해당 제품은 소비기한이 2024년 12월 10일로 표시된 세척된 즉석 섭취용 브로콜리로, 가주를 포함한 20개 주 월마트 매장에서 판매됐다.   리콜 대상인 제품은 뒷면에 바코드 번호 ‘6 81131 32884 5’와 앞면 제조번호 ‘BFFG327A6’가 표기돼 있다.   제조사에 따르면 이 제품은 현재 유통기한이 지나 매장에서 판매되지 않지만,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냉동 보관했을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 제품을 아직 보유한 소비자는 섭취하지 말고 즉시 폐기해야 한다.   리스테리아균은 특히 어린이, 노약자 및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심각하고 치명적인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식중독균이다.     건강한 사람은 발열, 두통, 메스꺼움, 복통 및 설사와 같은 단기 증상을 겪을 수 있지만, 임산부의 경우 유산이나 사산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다행히 현재까지 해당 제품과 관련된 질병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업체는 이번 리콜이 일부 제품에만 적용되며, 다른 제품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리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브라가 프레시 웹사이트(bragafresh.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브로콜리 식중독균 브로콜리 식중독균 마켓사이드 브로콜리 식중독균 감염

2025-01-02

전국 노로바이러스 감염 급증

최근 전국적으로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가장 최신 데이터인 지난달 첫째 주에 보고된 노로바이러스 건수는 총 9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주에 보고된 노로바이러스 발병 건수(69건)보다 증가한 수치다. 최근 몇 년간 통계를 살펴봐도, 12월 첫째 주에 발병되는 노로바이러스 건수는 약 60건대에 불과했으나 갑자기 늘어난 셈이다.     11~4월 사이에 확산하는 노로바이러스는 이미 감염된 사람들이 음식을 공유하거나, 식기를 공유할 때 전염되는 경우가 많다. 음식이나 물, 오염된 표면을 통해서도 노로바이러스가 퍼진다. 크루즈선이나 요양원, 교도소 등과 같은 공동 거주환경, 학교, 사람들이 많이 밀집한 곳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갑자기 아픈 경우가 많고,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12~48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난다. 구토, 설사와 함께 복통·몸살 기운·두통·발열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1~3일 후에 완전히 회복되지만, 이 기간 동안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수분 공급을 해 줘야 한다. 회복된 후에도 최대 2주간은 보균자다.     CDC는 비누와 물로 손을 잘 씻고, 표백제로 표면을 청소 및 소독하고, 뜨거운 물로 세탁물을 세탁할 것을 권장한다.     매년 전국에서 노로바이러스로 사망하는 경우는 약 900건, 입원은 10만건 이상이 발생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노로바이러스 전국 노로바이러스 감염 전국 노로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건수

2025-01-01

LA타임스 행사서 노로바이러스 집단 감염

LA타임스가 주최한 ‘101 베스트 레스토랑’ 행사에서 생굴 섭취 후 수십 명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됐다.   20일 ABC7 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 3일 LA타임스가 주최한 행사에서 생굴을 섭취한 참석자 중 80명 이상이 설사, 메스꺼움,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이 매체는 “최소 80명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보건국을 통해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보건 당국은 캐나다와 워싱턴주 일부 지역에서 생산된 굴과 조개의 섭취 자제를 19일 권고한 바 있다. 〈본지 12월 20일자 A-1면〉   관련기사 노로바이러스 위험 생굴·조개 주의…캐나다·워싱턴주 일부 제품 이어 식품의약청(FDA)도 노로바이러스 오염 가능성을 이유로 레스토랑과 소매업체에 생굴 판매 금지를 명령했다. 굴을 공급한 업체는 긴급 리콜을 실시하고 소비자들에게 섭취를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힐러리 매닝 LA타임스 대변인은 “문제의 생굴은 ‘패니 베이 오이스터(Fanny Bay Oysters)’에서 공급됐다”며 “행사 스폰서인 산타모니카 씨푸드가 이를 조달해 참여 레스토랑 중 한 곳에 제공했다”고 밝혔다.   한편, FDA는 노로바이러스가 맛, 냄새,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검사를 통해서만 감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감염자는 12시간에서 48시간 동안 증상을 겪을 수 있다. 정윤재 기자노로바이러스 완료 노로바이러스 감염 생굴 섭취 노로바이러스 오염

2024-12-22

걷는 폐렴, 온타리오서 3배 급증↑

  온타리오주에서 걷는 폐렴(보행성 폐렴)으로 알려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e) 감염 사례가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비해 약 3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달 29일(금) 온타리오 공중보건국(PHO)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PCR 검사를 통해 확인된 총 4,069건 중 733건이 양성 판정을 받아 약 18%의 양성률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의 양성률 1% 미만, 2019년의 5.8%와 비교해 큰 폭으로 상승한 수치다.     걷는 폐렴은 일반적인 폐렴보다 증상이 가벼운 세균 감염으로, 주로 발열이나 기침과 같은 초기 증상을 보이지만 치료하지 않을 경우 호흡기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몬트리올 소아 응급실은 걷는 폐렴 환자의 증가로 인해 과부하 상태에 이르렀다. 할리 아이스만 몬트리올 아동병원(MCH) 소아 응급 서비스 전문의는, 이번 환자 급증이 계절성 바이러스와 ‘걷는 폐렴’의 동시 유행 때문이라고 밝혔다.       감염병 전문가 아이작 보고치 박사는 "이 세균은 연령에 상관없이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더 빈번하게 발견된다"며 "이번 증가세는 예년의 주기적 발생 양상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세균은 3~7년 주기로 활동성이 증가하며, 이번 상승세는 지난 5월부터 시작돼 8월에 정점을 찍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걷는 폐렴 감염 사례의 45%는 5세에서 17세 사이의 어린이와 청소년에게서 나타났으며, 4세 이하 어린이는 25.5%를 차지했다.     온타리오 전역의 공중보건소 중 오타와 공중보건소가 35.7%로 가장 높은 양성률을 보였고, 그레이 브루스 지역(34.7%)과 나이아가라 공중보건소(33.3%)에서도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반면, 알고마, 서북부, 서드베리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감염 사례가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걷는 폐렴은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쉽게 전파된다. 보고서는 팬데믹 기간 동안 감염성 질환의 전반적인 감소와 이후 제한 조치 해제 후의 감염 증가가 이번 급증의 배경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치 박사는 "기침, 호흡곤란,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걷는 폐렴이 다른 질환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사례 급증은 온타리오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6개월 동안 어린이를 중심으로 걷는 폐렴 사례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보고한 바 있다.     PHO는 이번 연구가 온타리오 전역의 데이터를 포함한것이 아니기에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을 수 있다고 언급하며, 앞으로 보다 정교한 감시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걷는 폐렴은 비교적 가벼운 감염이지만, 증상이 방치될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이 높은 감염률을 보이는 만큼, 가정과 학교에서는 감염 예방을 위한 위생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폐렴 폐렴 감염 온타리오 전역 온타리오 공중보건국

2024-12-0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 아동 급증

 북 텍사스에 감기와 독감 시즌이 시작되면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에 감염되는 아동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미 공영 라디오 방송(National Public Radio/NPR)이 최근 보도했다. 달라스 소재 아동 병원(Children’s Health) 시스템의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와 둘째 주 사이에 아동 병원 시스템 전체에서 RSV 감염 아동이 67%나 급증해 총 366건에 달했다. 아동 건강 소아 폐질환 전문의인 프리티 샤마 박사는 “11월 중순에서 하순경에 RSV 환자가 증가하는 것은 드문 일은 아니다. 과거에도 급격한 증가를 보인 적이 있었다. RSV는 특히 학교나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들에게 매우 쉽게 전염되며 증상도 빨리 발현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아동 RSV 감염건수는 2023년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추위와 독감 시즌에는 독감과 증세가 유사한 RSV 발병 사례도 늘고 있으며 특히 평상시보다 시기도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샤마 전문의는 “올 시즌이 작년과 어떻게 비교될지 평가하기는 아직 이르다. 그러나 새로운 RSV 백신과 영유아 및 노인을 위한 예방 치료제의 가용성이 사례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연방식품의약국(FDA)은 작년에 감기 및 독감 시즌에 태어난 생후 8개월 미만의 유아, 첫 감기 및 독감 시즌에 접어든 유아, 기저 질환이 있는 최대 19개월 어린이에게 권장되는 항체 주사제인 베이포터스(Beyfortus)를 최근 승인했다. 또한 FDA는 지난해에는 60세 이상 성인과 임신 3기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RSV 백신 접종도 승인한 바 있다. 샤마는 “아기에게 항체를 제공하는 보편적인 기능이 추가되기를 바라며 올 시즌에는 확진자가 줄어들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시그나 헬스케어의 의료 시장 담당 임원인 릭 왓슨 박사는 “가상(virtual) 진료 시스템을 통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가상 진료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부터 수요가 증가했다. 의사오피스가 문을 닫았을 때, 긴급 진료가 종료됐을 때, 늦은 밤 의사 접촉이 어려운 경우 가상 진료가 그 공백을 메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휴식, 적절한 식단, 자주 손 씻기 외에도 독감 및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포함한 모든 예방 접종에 대한 최신 정보를 잘 체크해 시기 적절하게 맞아야 한다. 백신을 맞으면 질병 감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설사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약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손혜성 기자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 아동 호흡기 세포융합 아동 병원

2024-12-02

OC보건국 '재향군인병 주의보'

웨스트민스터 주민 7명이 재향군인병에 감염돼 보건 당국이 주의보를 발령했다.   OC보건국은 20일 발표한 성명에서 감염된 주민 모두 웨스트민스터 시 북서쪽에 살고 있다며 감염 경로를 찾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재향군인병은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악성 폐렴의 일종이다. 어디에서나 발견되는, 레지오넬라 속에 해당하는 공기 중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며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 중, 노년층이 주로 감염되며, 특히 50세 이상 연령층과 면역 저하 또는 천식을 비롯한 만성 호흡기 질환을 앓는 이는 더 조심해야 한다.   당국은 대형 건물의 냉각탑과 수영장, 스파 등을 레지오넬라균이 활발하게 증식하는 곳이라고 지목했다.     재향군인병은 통상 박테리아가 포함된 물 분자를 흡입해 감염된다. 사람 사이의 전파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감염 증상은 열과 기침, 가쁜 호흡, 근육통, 두통, 흉통, 메스꺼움, 설사 등이며 흔히 폐렴을 동반한다. 발병하면 신속하게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당국은 웨스트민스터 주민들에게 감염 증세를 보이면 의사를 찾아갈 것을 권고했다.   재향군인병이란 명칭은 1976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재향군인회 모임에서 집단 발병, 34명이 사망한 데서 비롯됐다.  OC에선 2019년 66건이 보고된 이후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들어선 82건이 확인됐다. 임상환 기자재향군인병 보건국 oc보건국 재향군인병 웨스트민스터 주민들 감염 경로

2024-11-21

또 대장균 감염, 이번엔 당근제품…18개주서 40건, 15명 입원

  가주의 농산물 업체인 그림웨이 팜스는 유기농 당근과 베이비캐럿(사진) 제품을 대장균(E. coli) 발병 우려로 대규모 회수됐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감염으로 인해 이미 한 명이 사망하고, 가주와 뉴욕, 텍사스 등 18개 주에서 약 40건의 감염 사례가 보고됐으며, 이중 최소 15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다.   감염된 당근은 전국 월마트, 크로거, 앨버슨, 타깃, 홀푸드, 트레이더조 등 다양한 대형 소매업체에서 광범위하게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     리콜 대상인 제품들은 패키지와 브랜드는 다르지만 지난 소매업체에서 8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판매된 유기농 당근과 판매기한이 9월 11일부터 11월 12일까지인 베이비캐럿 제품들이다. 스프라우츠, 굿앤개더, 버니러브, O-오개닉스 등의 브랜드 라벨을 달고 판매됐다.   연방식품의약국(FDA)은 리콜 조치로 현재 판매 중인 제품은 회수 대상이 아니지만 이미 유통 및 판매돼 소비자의 냉장고나 가정에 있는 당근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장균은 심각한 복통, 설사 또는 혈변,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증상은 감염 후 3~4일 이내에 시작된다. 대부분의 환자는 치료 없이 5~7일 이내에 회복되지만, 일부는 심각한 신장 문제를 겪어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     CDC와 FDA는 리콜 대상 당근을 즉시 폐기하거나 구입처로 반품할 것을 권고했다. 또 감염된 제품이 접촉한 모든 표면을 철저히 청소하고 소독할 것을 당부했다.리콜 대상인 제품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업체의 웹사이트(grimmway.com/status-history/)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당근 제품 베이비캐럿 제품 대장균 감염

2024-11-18

맥도날드 이콜라이 감염 최소 90명 피해…일부는 소송

맥도날드의 쿼터 파운더에 들어간 양파로 전국에서 최소 90명이 대장균 ‘이콜라이’에 감염됐다. 이로 인해 맥도날드가 법적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제기됐다.   LA타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최소 27명이 입원했고, 최소 33명의 감염 피해자가 맥도날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명은 심각한 신장 합병증을 앓고 있으며, 콜로라도에서는 1명이 사망했다. 감염된 양파는 살리나스에 본사를 둔 농업 생산업체 ‘테일러팜스’가 공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테일러팜스는 지난주 자발적으로 양파를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버거킹, 타코벨, KFC, 피자헛 등 여러 패스트푸드 체인도 해당 양파 사용을 중단했다. 맥도날드는 이번 주부터 쿼터 파운더 판매를 재개했다.   한편, CDC는 테일러팜스와 맥도날드가 취한 조치로 현재 대중의 위험이 ‘매우 낮다’고 밝혔다. CDC에 따르면 콜로라도에서 29건, 몬태나 17건, 네브래스카 12건, 미주리 8건, 유타 7건이 보고됐다. 와이오밍과 뉴멕시코에서 각각 5건, 미시간 2건, 워싱턴, 오리건, 아이오와, 캔자스, 위스콘신에서 각각 1건이 발생했다. 정윤재 기자 [email protected]맥도날드 감염 법적 소송 감염 피해자 감염 최소

2024-10-31

어린이·청소년 '가벼운 폐렴' 유행

조지아주에서 최근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입원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중증 폐렴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8일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에 의한 경미한 폐렴을 뜻하는 ‘워킹 뉴모니아'(walking pneumonia·병상생활 없이 걸어다니는 폐렴)의 어린이와 청소년 확산세가 빠르다고 경고했다.     지난 5일 기준 전국 2~4세의 7.2%, 5~17세의 7.4%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으로 입원헸다. 지난 3월 각 1%, 3.6%에 비해 크게 늘어난 비율이다. 전 연령대 양성반응자도 3.3%로 높다.    통상 마이코플라스마 감염 환자는 기온이 떨어지는 가을·겨울철 들어 증가한다. 다만 올해는 확산세가 예년보다 가파르다는 지적이다. 5~17세 또는 성인에게서 주로 유행하는 감염이 2~4세 소아 사이에서 유행하는 점도 이례적이다.     CDC는 "학기가 중반에 들어서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또래 접촉이 적었던 면역력 약한 아이들의 감염 위험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마이코플라스마는 주로 비말(침방울)을 통해 전염되며 최대 1~4주 잠복기 후 기침, 발열, 인후통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애틀랜타 아동병원의 매튜 리남 소아 감염병 전문의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1차 치료에는 항생제가 포함될 수 있으나 아동의 경우 보통 투약 없이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CDC 또한 "마크로라이드가 주로 항생제로 쓰이지만, 환자 회복이 더디거나 호흡기  만성질환자인 경우 추가 약물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마이코플라스마 감염 중증 폐렴

2024-10-22

가주 치즈 업체 폐쇄 명령…리스테리아 감염, 2명 사망

가주 모데스토 소재 치즈 제조업체인 리조로페즈푸드가 치즈 생산을 못하게 됐다.     8일 연방 동부지방법원은 리조 로페즈푸드에 식품 가공 관련 모든 생산 활동을 전면 중단하라고 명령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업체는 치즈 브랜드인 리조브로스, 푸드시티, 돈 프랜시스코, 365 홀푸드마켓(사진) 등 모든 치즈, 요구르트, 사워크림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   지난 1월 하와이 보건 당국은 해당 업체의 리조브라더스에이지드 코티하(치즈) 샘플에서 리스테리아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밝힌 바 있다.     연방식품의약국(FDA)은 또 가주를 포함한 총 11개 주에서 해당 회사의 제품을 섭취한 26명이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됐고 이 중 2명은 목숨을 잃었다고 전했다. 이후 제한적인 리콜 조처가 이루어졌고, 2월엔 전국으로 유통된 60개 이상 제품으로 대상이 확대됐다.   리스테리아균은 어린이, 노약자 또는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심하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임산부의 경우, 유산과 사산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섭취 당일에서 2주 이내 발현한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리스테리아 치즈 리스테리아 감염 치즈 업체 리스테리아 양성

2024-10-11

일리노이 백일해 급증 작년 대비 5배

일리노이 주에 백일해(whooping cough) 감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보건 당국에서는 백신 접종을 거르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연방 질병감염센터(CDC) 자료에 따르면 9월말 기준 일리노이에서 백일해에 감염된 환자는 모두 1058명이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230명에 비하면 5배 가량 증가한 수치다.     보건 당국은 백일해 감염이 급증한 이유에 대해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즉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도중 주치의를 만나지 않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부모와 자식들이 모두 백신 접종 기회를 갖지 못한 경우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시카고의 러시 병원은 이에 대해 “백일해 감염이 늘어난 큰 이유는 백신 접종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백일해는 영유아 뿐만 아니라 가구 구성원 모두 때에 맞춰 백신 접종을 하는 것이 감염 예방에 중요하다"고 밝혔다.     백일해는 Bordetella pertuss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특히 아기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Whooping Cough라는 영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침을 할 때 발생하는 특유의 ‘흡흡' 소리로 잘 알려져 있다. 또 전염성이 매우 강해 전체 환자 중에서 약 80%는 가족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은 초기 일반적인 감기와 유사하기 때문에 구분이 어렵다. 하지만 연속적인 기침 발작이 발생하며 숨을 들이쉴 때 ‘흡흡' 하는 소리가 나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 일반 감기와는 달리 기침이 10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며 기침이 심해지면서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폐 용량이 작아 기침이 호흡 곤란으로 이어지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백일해를 가장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방법은 예방접종이다. 주로 DTa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백신 형태로 접종되며 생후 2개월부터 시작해 여러번 접종한다. 성인도 10년마다 추가 접종을 통해 면역력을 유지할 수 있다.  Nathan Park 기자일리노이 백일해 일리노이 백일해 백신 접종율 백일해 감염

2024-10-04

LA서 뎅기열 모기 피해 확산...전문가들 '전례 없는 수준'

기후변화로 인한 모기 서식 환경 변화에 가주에서 뎅기열 위험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LA카운티 당국은 최근 주로 열대 기후에서 서식하는 뎅기열 모기 피해가 LA에서 "전례 없는" 수준으로 상승했다고 경고했다. 카운티 공중보건국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지역 내에서 감염된 뎅기열 환자가 최소 4명이라고 밝혔다. 감염 중 3건은 샌게이브리얼 밸리에서, 1건은 파노라마 시티에서 발생했다. 바버라 페러 공중보건국 국장은 "현재 뎅기열 확산 추세는 미미한 편"이라면서도 "주민들은 모기 퇴치제 등을 사용해 접촉을 피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뎅기열은 모기가 감염 환자를 물었을 때 감염돼 다른 사람에 전파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미 감염된 개체가 많다면 언제든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가 토종이 아닌 교란종모기들이 확산하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오르고 강수량이 증가하며 가뭄이 길어지면서 뎅기열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최대치를 기록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온라인 뉴스팀한인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뎅기열 감염 감염 환자 뎅기열 모기

2024-09-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