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 딛고 희망 우뚝 '무역센터'엔 관광객 발길
하기환 회장의 캐나다-미 동부 밴 투어(끝)
푸짐, 저렴한 랍스터 대만족
미국 넘어오니 호텔비 두배
팬데믹 중 무사히 끝내 감사
![이스트강을 따라 왼쪽에 맨해튼 파이낸셜 디스트릭트와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중앙)가 모습을 드러낸다. 사진 오른쪽은 랜드마크인 브루클린 다리. [하기환 회장 제공]](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202/12/55ef0403-c1d5-422e-ac6f-ec1609985763.jpg)
이스트강을 따라 왼쪽에 맨해튼 파이낸셜 디스트릭트와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중앙)가 모습을 드러낸다. 사진 오른쪽은 랜드마크인 브루클린 다리. [하기환 회장 제공]
메인주라고 생각하면 우선 랍스터가 떠오른다. 저녁에 도착하자마자 랍스터 식당부터 찾아 나섰다. 날씨가 안 좋아 비가 많이 왔지만, 우중에 랍스터를 배가 터지도록 먹을 수 있었다.

저렴하고 푸짐한 랍스터 요리를 즐길 수 있었던 트렌턴 브릿지 랍스터 파운드.

메인주 아케디아 국립공원 해변 전경. 날씨가 안 좋았음에도 매우 아름다웠다.
메인주를 떠나기 전에 아침 겸 점심으로 랍스터 식당에 다시 가서 랍스터 위주로만 주문했더니 저렴하고 푸짐하게 식사를 할 수 있었다.
뉴햄프셔로 넘어와 유명 관광지인 브레튼 우드에 있는 옴니 마운트 워싱턴 리조트에서 투숙했다. 미국으로 넘어오니 호텔비가 캐나다보다 거의 2배나 비싸졌다. 이 리조트는 너무나 오래된 호텔이라 방도 지저분했고 로비도 낡았는데 하루에 무려 600불씩이나 받았다.
호텔에는 골프 코스도 있고 특히 스키장도 있었다. 스키 리프트를 보니 산도 낮았고 슬로프도 완만해 서부에 위치한 스키장과는 비교가 안 될 수준이었다. 하지만 골프장은 그 동네에서 최고의 명문 코스이다. 전통 있는 리조트라지만 호텔비에 비하면 모든 시설이 오래돼 한번 방문으로 충분할 것 같다.

브레튼우드의 옴니 마운트 워싱턴 리조트 전경. 숙박료가 600불에 달했다.
일요일인 다음날 김 회장 아버님이 오래전에 개척했다는 교회에 가서 같이 예배를 드렸다. 원래 종교활동을 안 하지만 여러 신도와 함께하는 시간이 마음의 평안을 주는 것 같았다.
오후에는 김 회장이 소유한 요트를 타고 롱아일랜드에서 뉴욕 맨해튼으로 향했다. 자유의 여신상을 지나 9.11테러 후 새로 건축된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건물 앞 요트장에 배를 정박했다.

911테러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 기념비.
무너진 쌍둥이 건물과 달리 1776피트 높이의 94층 건물 하나로 재건된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지하층에는 쇼핑센터와 뮤지엄도 들어서 있어 인근 지역 전체가 훌륭한 관광지로 탈바꿈했다.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의 웅장한 내부 모습.
1920년대 제조업이 성장하며 소비 수요가 증가해 예술, 문화산업이 함께 발전한 ‘광란의 20년대’에 부자들이 롱 아일랜드 바닷가에 지은 어마어마한 저택들을 보니 지금보다 빈부 격차가 더 심했던 것 같다.
11박에 걸친 여행을 마치고 LA 행 비행기에 올라탔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하는 시기에 캐나다와 미국 동부 여행을 마치고 무사히 돌아온 것에 감사할 따름이다.

출항 전 함께 한 하 회장 부부(왼쪽)와 김 회장 부부.
정리=박낙희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