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 아침에] 새해 당부

늘 떠오르는 해지만, 새해 아침에 맞는 해는 언제나 새롭다. 지난해의 아쉬움을 뒤로 하고, 새로운 날의 소망을 담고 떠오르기 때문이다. 새해를 맞으며 당부의 말이 오간다. ‘새해에는 건강히 지내라고, 하는 일마다 잘되라고, 소원 성취하라고’. 말로 단단히 부탁하는 당부가 고맙다.     ‘풀꽃’이라는 시로 이름을 알린 나태주 시인의 ‘새해 아침의 당부’라는 시가 있다. ‘올해도 잘 지내기 바란다/내가 날마다 너를 생각하고/하나님께 너를 위해 부탁하니/올해도 모든 일 잘될 거야’. 시인은 이웃집 할아버지 같은 푸근한 소리로 새해를 맞는 이들에게 올해도 모든 일 잘될 것이니 아무것도 의심하지 말고 걱정도 하지 말고 또박또박 걸어서 앞으로 가기만 하라고 당부한다.     부모님이 계신 고향을 떠나 도시에 사는 아들이 있었다. 효심이 깊었던 아들은 고향에서 농사짓는 연로하신 부모님이 늘 마음에 걸렸다. 좋은 교육을 받고, 번듯한 직장에서 나름대로 괜찮게 사는 아들이었다. 착한 아들은 시간만 나면 부모의 농사일을 돕기 위해 고향을 찾았다. 꽤 큰 농사를 짓는 부모님의 농사일은 끝이 없었다. 모내기와 추수는 물론, 비료 주기, 농약 뿌리기, 잡초 제거하기, 물 대기 등 일 년 열두 달 쉼 없이 이어지는 농사일에 아들도 슬슬 지쳐갔다.   그날도 부모님을 돕기 위해 고향에 내려온 아들이 새벽에 부모님과 함께 널따란 들판 앞에 섰다. 해도 해도 끝없는 일, 아무리 부지런히 일해도 표나지 않는 일이 갑자기 두려움으로 다가왔다. 이런 아들의 마음을 눈치챘는지 아버지가 말했다. ‘눈아, 겁내지 말라 손이 있다!’   아들의 가슴에 파고든 이 말은 초등학교 문턱에도 가보지 못했다고 은근히 낮잡아 보던 배우지 못한 아버지의 말이 아니었다. 눈앞에 보이는 일들에 치여 두려움으로 마주한 숱한 날들을 성실한 손으로 감당해 낸 농부의 외침이었고, 두려움에 주저앉지 않고 몸으로 부딪치겠다며 던지는 출사표요, 결국은 눈에 들어오는 두려움을 손의 꾸준함으로 이겨냈다는 체험이 담긴 지혜의 말이었다.   우리의 눈앞에도 2024년이라는 널따란 들판이 펼쳐졌다. 눈에 보이는 세상이 무섭다. 전쟁과 재해가 끊이지 않는다. 올 한 해도 감당해야 하는 일들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더구나 세상에서는 반갑지 않은 소리만 크게 들린다. 상상도 못 했던 일들이 여기저기서 쉴 새 없이 터진다. 요즘은 나만 잘한다고 안녕을 장담할 수 없는 세상이다.   또다시 시작되는 한 해를 바라보면 솔직히 겁부터 난다. 불확실한 미래를 내다보면 두려움이 밀려오고 해야 할 일들을 생각하면 걱정이 앞선다. 아무리 세상이 험할지라도 거친 세상이 토해내는 두려움을 이길 무기 하나씩은 있기 마련이다. 눈에 들어오는 일의 무게감을 이겨내게 하는 것이 성실한 손이라면, 마음속에 생긴 두려움을 이기게 하는 것은 두 손 모아 기도하는 손이다.     새해를 맞아 스스로 이른다. ‘눈아, 겁내지 말라 손이 있다’. 눈앞에 가득한 두려움을 이겨낼 성실한 손이 있다. 험한 길 홀로 가게 내버려 두지 않고 붙잡아 줄 손도 있고, 내가 잘되기를 빌어 주는 기도의 손도 있다. 그 귀한 손이 있는데 겁낼 것이 무엇이겠는가? 그 손을 의지해서 새해 당부를 한다. ‘올해도 모든 일 잘될 거야’라고 말이다.   이창민 / 목사·LA연합감리교회이 아침에 새해 당부 새해 당부 새해 아침 이웃집 할아버지

2024-01-10

작년 한인 미제 살인사건 3건…제보 당부

지난해 LA시 관내에서 살해된 한인은 여성 시니어 1명을 포함해 총 5명으로 확인됐다.     LA경찰국(LAPD)은 28일 오후 2022년 관내 사망 피해자 전체 명단을 온라인(www.lapdonline.org/lapd-homicide-victims/)에 공개하고 미제 이거나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 시민들의 제보를 당부했다.     마이클 무어 LAPD 국장은 이날 회견에서 “살인 사건들은 커뮤니티를 엄청난 피해를 준다”며 “새로운 웹사이트를 구축해 미제 살인 사건들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시민들에게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 살인 피해자 숫자는 382명으로 2021년의 402명에 비해 20건(5%)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피해자 명단에는 청소년은 물론 여성, 노약자, 장애인 등도 포함됐으며, 절반에 가까운 피해자의 얼굴 사진이 함께 공개됐다.     한인 살해 피해자 5명은 다음과 같다.       이달건(Lee, Dal Kun·70)씨는 지난해 5월 5일 새벽 메인스트리트와 53가 인근에서 강도 피해를 받은 뒤 사망했다. 아직 용의자를 검거하지 못한 상태다.     스콧 이(45)씨는 7월 26일 새벽 올림픽 불러바드와 세라노 인근 길거리에서 몸싸움하다 가해자의 흉기에 찔려 사망했다.     김옥자(81)씨는 8월 2일 우들랜드힐스 자택에서 방화용의자의 공격을 받아 숨진 채 발견됐다. 범인들은 절도 행각을 벌이다 김씨를 폭행하고 집에 불을 지르려고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아직도 용의자를 검거하지 못한 상태이며 핵심 제보자에게는 5만 달러의 현상금이 제공된다.     이두영(56)씨는 10월 1일 오후 다운타운 자바 업소에 들이닥친 10대 강도단을 제지하고 쫓는 과정에서 흉기에 찔려 사망했다. 당시 이 사건은 대낮에 많은 시민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발생해 적잖은 충격을 줬다.     안대환(61)씨는 지난해 12월 10일 한인타운 5가 길에서 용의자의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이 사건의 용의자는 아직 잡히지 않았다.       LAPD는 사망 피해자와 사건에 대한 제보는 24시간 익명으로도 가능하다며 주민들의 제보를 재차 부탁했다.     ▶문의:(800)222-TIPS(8477), (213)484-5608.   최인성 기자 ichoi@koreadaily.com살인사건 한인 제보 당부 핵심 제보자 한인 살해

2023-03-28

[시로 읽는 삶] 딸에게 당부하다

(…) 딸아, 네 목숨은 네 것이로다/ 행여, 땅속의 나를 위해서라도/ 잠시라도 목젖을 떨며/ 울지 말아라// 다만, 언 땅에서 푸른 잎 돋거든/ 거기 내 사랑이 푸르게 살아있는 신호로 알아라/ 딸아, 하늘 아래 오직 하나뿐인/ 귀한 내 딸아.   문정희 시인의 ‘어머니의 편지’ 부분       K장녀라는 말을 온라인에서 심심찮게 접하게 된다. K장녀란 K팝, K방역과 같이 한국(korea)과 장녀의 합성 신조어다. 가정에서 책임감을 강요받는 장녀들이 자신의 처지를 자조적으로 지칭하는 단어로 쓰인다.     이런 신조어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공감대를 얻으며 확산되고 있다. 한국사회는 아직도 유교문화권의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그늘이 깊고 그 그늘의 후유증도 퍽 많은 것 같다.     딸들이 특히 장녀들이 희생양이 되던 시절이 있었다. 60~70년대 집안 형편이 넉넉지 않은 집안의 장녀라면 동생들을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을 숙명처럼 받아들였다. 동생들을 공부시키거나 집안 경제를 돕기 위해 일찌감치 산업전선으로 내몰렸다. 딸들은 돈을 벌어 동생들 공부도 시키고 부모에게 송아지를 사주기도 하며 가난을 극복하는데 한몫을 했다.   산업역군이 된 언니·누나들은 자신의 삶보다 가족을 우선했고 그 숙명적 의무를 마다치 않았다. 남동생의 대학공부를 위해 자신의 학업을 기꺼이 포기하는 희생은 자발적이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남성보다 높다고 한다. 사회적으로 깨지지 않는 유리 천정은 있을지언정 딸이라고 해서 가정 안에서 희생을 강요당하는 때는 아니라고 생각되는데 정작 이 시대를 사는 장녀들이 느끼는 부담감과 그녀들의 고충은 예전과 별반 다르지 않은 모양이다.   첫딸은 살림 밑천이라는 말은 꽤 괜찮은 말 같지만 사실 허울 좋은 굴레 씌우기라고 생각하는 여성들이 많다. 스스로를 K장녀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내 친구 K장녀들은 거의 비혼이다. 한 친구는 혼자된 아버지를 위해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었다. 나도 2년째 병상의 엄마를 보살피는 24시간 간병인이 됐다. 남동생 부부와 아버지가 있지만 아무래도 엄마와의 감정이입이 가장 잘되고 엄마가 편하게 느끼기 때문이다. 살림 밑천이라는 속내는 굴레 씌우기다. K장녀는 여성에게만 대물림한 희생의 역사를 말하는 눈물 나는 표현이다. 거기엔 아무 보상도 위로도 없다”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물론 장남의 무게감도 크다. 그러나 장남은 남자라는 이유로 누리는 혜택이 많았다. 반면 장녀는 연로한 부모를 돌보는 돌봄의 역할까지 감당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K장녀라는 말은 그 반작용의 결과로 여자들 스스로의 처지를 되짚어보자는 의도로 생겨난 말 아닌가 싶다.   삼 남매 맏이인 내 큰딸을 생각해본다. 직장 일을 하며 아이를 셋이나 키우는 워킹맘으로 살아가는 큰딸에게 부모와 두 동생은 어떤 부담을 주는 존재들일까. 아마도 나이 들어가는 부모는 존재 자체만으로도 걱정거리이겠고 집안의 경조사를 두루 챙겨야 하는 건 분명 짐 같은 일이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민자 가정에서 자라며 부모의 기대치에 준하려고 열심히 공부했고 전사처럼 살아가는 내 딸, 장녀라는 무게에 눌리지 말라고 당부하고 싶다. 어떤 이유로도 날개가 꺾여서는 안 된다. 화목한 가정이라는, 가족애라는 명분으로 차별적 희생이 요구되는 일은 이제 없어야겠다. 장녀로 태어난 게 잘못은 아니잖은가. 조성자 / 시인시로 읽는 삶 당부 친구 k장녀들 반면 장녀 남동생 부부

2022-02-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