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꿀벌의 북극 진출

자연 생태계 변화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대기 온도다. 대기 온도 상승은 온실효과 기체의 방출이 원인이다. 산업화의 부산물인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방출되면 온실효과를 가속해 지구를 더워지게 만든다. 이 더워진 환경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이 극지방이다. 그래서, 극지방은 지구 온난화 연구의 전초기지이자 최전방이다.     극지방에도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많은 변화가 찾아 왔다. 그 한 예가 꿀벌의 출현이다. 중앙 알래스카에서 양봉업을 하는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있어 꿀 생산에 관해 물어봤다. 여왕벌이 겨울철을 얼마나 잘 버티느냐에 따라, 또 봄·여름의 기후조건에 따라 꿀 생산량이 좌우된다. 따라서 여왕벌의 월동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한다. 또 월동을 잘해도 기후조건이 맞지 않으면 꿀을 생산하기 힘들 것이다.      올해 5~6월의 알래스카는 건조한 기후로 산불이 많이 발생했고, 7월 이후부터는 강우량이 늘어 습한 여름으로 전환됐다. 이처럼 매년 계절별 기후가 천차만별로 변하고 있는 곳이 극지방이다. 이를 견디기 위한 동식물의 부단한 노력도 부지불식간에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매년 알래스카의 꿀 생산량은 들쭉날쭉하다.     러시아 북극해, 바렌츠해에 있는 작은 섬인 콜구예프섬(Kolguyev Island)은 북위 69도에 위치해 있다. 알래스카의 북극해에 인접한 지역이 북위 70도이니 얼마나 고위도에 있는지 알 수 있다. 이 섬은 툰드라 존, 즉 북극 얼음이 늘 존재하는 지역으로 전형적인 꿀벌 서식지가 아닐뿐더러 러시아 본토에서도 65㎞나 떨어져 있다. 특히, 이 섬은 겨울철 가혹한 바람이 끊임없이 불어 곤충이 서식할 수 없는 환경조건이다. 그런데도, 이곳에서 5종의 꿀벌이 러시아 과학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꿀벌의 북극 진출 가능성은 어느 정도 있다고 본다. 꿀벌은 러시아 본토로부터 이 섬까지 장거리 이동을 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러시아 과학자들은 북쪽 극지방 콜구예프섬에 꿀벌이 서식하는 것에 대해 놀라움을 나타내고 있다. 일 년 중 겨울이 6개월 이상으로 길고, 겨울에는 살을 에는 듯한 혹한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곳에 정착한 여왕벌은 짧은 봄과 여름 동안 벌집을 확보해야 하고, 알을 부화해서 새끼를 양육하며, 꿀과 꽃가루도 수집해야 한다. 또한, 겨울 전에 일벌과 숫벌, 새 여왕벌을 번식해야 한다. 일부 꿀벌은 생존을 위해 꿀을 에너지로 사용해 체온을 유지하는 능력을 배가시키고, 또 다음 세대를 위해 새로운 벌집을 만들어 두는 등 전략을 세운다고 한다.     이 섬의 여왕벌은 우연히 이 섬으로 건너와 정착한 것으로 추측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지 온난화에 적응한 꿀벌이 이 섬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높음을 암시했다. 영국의 꿀벌 연구가는 극지 온난화가 꿀벌의 생존 가능성을 높였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다만, 긴 혹한기 동안 많은 여왕벌이 살아남아야 한다. 그리고 봄과 여름이 길어지면 툰드라의 수많은 현화식물이 만개해 충분히 꿀을 채취할 수 있는 등 번식환경이 좋아지고, 어린 벌의 성장조건도 좋아져 점차 서식지로서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는 이들 꿀벌에게 부정적인 영향도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이 섬에는 많은 순록이 서식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개체가 많이 줄었다고 한다. 이는 초겨울 내린 얼음 비로 인해 많은 초목이 얼었고 이로 인해 순록의 먹이가 많이 감소한 탓이라고 한다.  순록이 접근할 수 없는 곳은 꿀벌도 서식할 수가 없다.     북극에서 꿀벌의 생존 조건은 내적 및 외적 서식 환경인 극지 온난화에 좌우된다. 극지 기후 변화는 생물의 생태 및 서식 환경도 변화시키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김용원 / 알래스카주립대 페어뱅크스 교수기고 꿀벌 북극 꿀벌 서식지 러시아 과학자들 꿀벌 연구가

2022-11-25

벌이 없어지면···아이스크림 원료 사라지고, 사람이 인공수분 작업해야

"만일 벌이 없어진다면…." 아침 식탁에 오른 토스트에 발라먹을 꿀이나 크림을 발라먹을 딸기도 없어진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아몬드.코코아.블루베리도 어른들이 즐겨찾는 사과.배.체리도 맛 볼수 없게 된다. 이 모두가 벌의 수분 활동으로 열매를 맺는 작물들이다. 남녀노소 할 것없이 즐겨 찾는 아이스크림도 사라지게 된다. 각기 다른 향을 내는 원료를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이스크림 제조회사 하겐다즈가 꿀벌 보호 및 연구 활동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나서는 이유다. 꿀벌이 사라지면 현재 하겐다즈에서 사용하고 있는 73가지 감미료 중 40%는 원료 식물을 구하기 못해 생산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전망이다. 게다가 벌이 직접 생산하는 꿀은 물론 로얄제리.꽃가루.프로폴리스(천연항생제)도 영영 없어진다. 또 세계의 주요 작물 115가지 중 87가지에서 과일.견과.씨앗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 작물들은 또 인류가 해마다 소비하는 칼로리의 35%와 대부분의 비타민.미네랄.산화방지제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이 직접 과일이나 과수에 올라 인공 수분을 해야 하는 일이 생겨난다. 실제로 중국의 과수원에선 살충제 사용이 급증하면서 벌들이 사라져 수많은 사람들이 나무에 직접 올라가 직접 가루받이 작업을 하고 있다. '꿀벌 대여산업' 뜨네 꿀벌 수가 급감하면서 꿀벌 대여산업이 뜨고 있다. 꿀벌 대여가 성행하는 까닭은 모든 블루베리.아몬드.체리.사과.자몽.아보카도.호박.오이가 벌의 도움으로 가루받이를 하기 때문이다. 가루받이가 없으면 아예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 심지어 상추나 브로콜리 같은 작물도 다음해 필요한 씨를 생산하려면 벌이나 곤충에 의한 가루받이가 필요하다. 벌통 대여 전문으로 나서는 양봉업자도 늘고 있다. 채취한 꿀을 팔아 얻는 수익보다 '가루받이 수수료'로 훨씬 더 많은 돈을 벌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의 센트럴밸리에서 벌이 필요한 아몬드 재배농과 벌통을 빌려주는 양봉업자를 연결해주는 '가루받이 브로커'에 따르면 수분 비용으로 벌통 하나당 2004년에는 60달러였는데 올해는 160~180달러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캘리포니아에서 수년간 가장 수익성이 좋은 작물인 아몬드의 재배 면적은 2005년 22억2600만㎡에서 2007년에는 24억8900만㎡로 늘었다. 2010년이면 32억3700만㎡에 이를 전망이다. 이런 고밀도 대형 농장은 1에이커(약 4000㎡)당 두 개 이상의 벌집을 필요로 한다. 양봉업자들은 아몬드 뿐만 이나라 사과.배.딸기 등 농작물의 꽃이 피는 시기에 때맞춰 벌통을 옮겨가면서 돈을 번다.

2008-08-01

계속 사라지는 꿀벌···한인양봉업자들 '벌벌 떨어요'

LA한인타운에서 북쪽으로 75마일 떨어진 필랜. 그곳에 가면 한인이 운영하고 있는 양봉농장이 있다. 10에이커 규모의 아담한 벧엘 농장. 이 농장의 주인장은 양봉 경력 55년차인 정병호씨(70). 고교를 졸업하자 마자 벌통을 만져 온 그는 1990년 미국땅을 밟자마자 '천직'인 양봉을 시작했다. 이민후 18년동안 양봉 밖에 모르고 살았지만 요즘 만큼 꾸려나가기가 어려운 적은 없다. 5공시절 양봉이민 추진 단장을 맡아 아르헨티나로 갔다가 5년간 죽도록 고생한 기억보다 더 무서운(?) 일이 수년새 벌이지고 있기 때문이다. 바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것. 정병호씨는 "2년전부터 꿀벌 수가 30~40% 가량 줄었다"다며 "양봉으로만 수지를 맞추기가 힘들어 대추 달래를 함께 심고 있다"고 말했다. "꿀벌은 양봉 하는 '종자'인데 이유없이 사라지니 걱정"이라며 정씨는 힘없이 한숨을 내쉬었다. 정씨는 또 "몇년 전만 해도 벌을 대량 구입하기 쉬워 벌통만 있으면 됐는데 최근 몇년 새는 벌 파는 상인마저 찾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발렌시아에서 '황보성벌꿀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황보성씨는 이보다 심각하다. 그는 "벌들이 들어오질 않아 벌통이 텅텅 비고 있다"며 "2~3년새 120여통 가운데 절반 이상이 빈 통이다."이라고 덧붙였다. 1통에는 보통 5만 마리의 벌이 들어있다. 전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꿀벌의 집단 폐사장애(colony-collagpse disorder:CCD)'라는 원인 미상의 질병에 한인 양봉업계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CCD는 꿀벌이 벌통에서 죽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꿀을 채취하러 나간 벌이 돌아오지 않는 현상을 가리킨다. 상황이 이렇게 악화돼다보니 벌이 들어있는 벌통을 훔쳐가는 도난 사건까지 생겨나고 있다. 황보성씨는 "최근들어 9통 6통 두차례에 걸쳐 벌통을 도난맞았다"며 "수십년간 벌을 쳐왔지만 벌통을 도둑맞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미 전국의 상업 양봉장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농무부 자료에 따르면 2006년에 미국 양봉업자들은 평균적으로 보유하고 있던 꿀벌 집단 중 31%를 상실했으며 2007년에 그 비율은 36%로 늘어나 있다. 개별 꿀벌 집단을 구성하는 개체 수가 줄어드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는데 2006년의 경우 적게는 30% 심한 경우 90%에 이르는 개체수 감소가 이뤄졌다. 1940년대에 미국에는 꿀벌 집단이 500만개 정도 있었지만 현재는 250만개 가량으로 줄어든 상태다. 최상태 기자 stchoi@koreadaily.com

2008-08-01

벌·벌…꿀벌이 사라진다, 60년새 절반…35개주 자취 감춰

'꿀벌이 지구에서 사라지고 난 뒤 4년안에 인류는 멸망한다'. 상대성 이론의 천재 물리학자 앨버트 아인슈타인의 말이다. 꿀벌이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 농무부 자료에 따르면 1940년대 미국에는 꿀벌 집단이 500만개 정도 있었지만 현재는 250만개 가량으로 줄어든 상태다. 집단을 형성하는 개체 수는 지난해 31% 줄어든데 이어 올해에도 36%가 감소했다. 양봉가들은 2006년 벌통 수가 30%~90% 줄어들었다고 걱정이다. 35개 주에서 꿀벌 집단 전체가 사라지는 현상마저 보고되기도 한다. 특이한 것은 사라진 벌떼가 집단폐사한 흔적마저 발견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어디로 간 것인가. 게다가 꿀벌들이 방향 감각을 상실한 듯 대도시에 갑자기 나타나는가 하면 인간을 공격하는 사례마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LA코닥극장 앞 정류장에 수백만 마리의 꿀벌 떼가 나타나 한바탕 소동이 일었다. 4월에는 일본 규수에서 벌떼가 시민을 '습격' 30여 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꿀벌의 감소는 일단 세계 식량 위기와 직결된다. 지구 전체 현화(꽃을 피워 열매 맺는) 식물 가운데 4분의 3은 꿀벌의 수분(가루받이) 활동을 통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꿀벌이 사라지면 과일과 곡물을 비롯한 작물 재배량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꿀벌의 수분 활동으로 인한 곡물 가치는 무려 150억달러에 달할 정도다. 또 있다. 꿀벌 감소 현상으로 인해 식품 업계와 친환경 제품 생산 업체들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계적인 아이스크림 업체 하겐다즈 사의 73개 맛은 40%의 꿀벌을 이용해 생산되며 이 가운데 바나나 스플렛 초콜릿 피넛버터 아몬드 체리 딸기 맛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꿀벌의 수분 활동이 필수적이다. 화장품 제조 산업에도 타격이 미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꿀벌의 실종 현상을 '군집붕괴현상' 또는 '집단붕괴증후군(CCD)'으로 설명하고 있다.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간 일벌들이 둥지로 돌아오지 않아 세계적으로 벌집이 무더기로 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CCD의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 셀폰 사용 급증으로 인한 전자파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런 원인은 인류에게 치명적일 수도 있다. 그래서 꿀벌의 실종은 심각하다. 최상태 기자

2008-08-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