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민병갑 교수, 사회학회 페미니스트 학자상 수상

이번 달을 끝으로 은퇴하는 민병갑 퀸즈칼리지 석좌교수가 미국사회학협회(ASA)로부터 ‘페미니스트 학자-활동가 어워드’를 수상했다. 남성 사회학자로서는 드문 일로, 협회는 민 교수가 오랜 시간 동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삶을 연구하고 논문으로 발표한 점을 인정해 ‘성과 젠더 사회학상’ 분야에서 민 교수에게 상을 줬다.     15일 뉴욕중앙일보를 방문한 민 교수는 “1996년부터 지금까지 28년간 위안부 문제에 대해 꾸준히 연구했고, 다양한 방식으로 학계에 이 문제를 알리려 노력했다”며 “영광스럽게도 협회에서 주는 평생공로상을, 그것도 성과 젠더 사회학상 분야에서 받게 됐다”고 말했다.     미국사회학협회는 최근 성과 젠더 분야에서 ▶생물의학적 성별 논리 ▶유색인종 이민자 여학생이 교실을 경험하는 방식 ▶미국의 구조적 성차별과 건강 ▶성별에 따른 취업과 학업 성취도 등을 연구한 학자들에게 관련 상을 수여했다. 성차별과 젠더 문제, 미국에서 이민자들이 겪는 젠더 이슈 연구자들에게 주로 상을 줬던 것에서 벗어나 위안부 문제를 연구한 민 교수가 상을 받아 의미가 크다. 그는 앞서 미국사회학협회 이민 분야에서도 한인 이민사 연구에 공헌한 업적을 인정받아 공로상을 받은 바 있다.   민 교수는 다음 달에는 신간 ‘역사 부정론에 대한 반박: 위안부 여성 진실에 대한 공격’(Countering History Denialism: The Assault on Truth about Comfort Women)도 내놓을 예정이다. 월드사이언티픽(World Scientific)이 출판을 맡는다.     이번 신간은 2021년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도발에 민 교수 등 연구진들이 조목조목 반박하는 내용을 정리해 펴낸 책이다.     민 교수는 “위안부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면서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실은 첫 번째 책, 2017년 위안부 컨퍼런스에서의 발표 내용을 정리한 두 번째 책에 이어 이번에는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사람들에게 반박하는 내용을 정리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갈수록 위안부 피해자 이슈를 다루는 학자들이 줄고 있어 걱정이 크다”며 “위안부 문제는 절대 잊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글·사진=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위안부 페미니스트 학자상 민병갑 교수 민병갑 퀸즈칼리지

2024-08-18

퀸즈칼리지 재외한인연구소, 한국학연구프로그램으로 이어진다

한인 이민사회에 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며 이민사회 발전에 큰 기여를 해온 퀸즈칼리지 재외한인사회연구소(RCKC)가 한국학연구프로그램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RCKC를 설립하고 운영해온 민병갑 뉴욕시립대 퀸즈칼리지 석좌교수가 지난 6월 은퇴하며 연구소 운영도 중단될 위기에 놓였으나, 퀸즈칼리지에 개설된 한국학연구프로그램(KKSP·Korean and Korean-American Studies Program)을 통해 이어받기로 한 것이다.     민 교수는 15일 뉴욕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재외한인연구소가 퀸즈칼리지 내 다른 연구소에 통합되기보다는 한국학프로그램으로 이어져야 하는 이유를 프랭크 우 총장에게 꾸준히 설명하고 설득했다"며 "그 결과 허락이 떨어졌다"고 전했다.   앞서 민 교수는 은퇴를 하더라고 한인 이민사회에 대한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소가 한국학연구프로그램으로 이어짐에 따라, 기존 연구소가 사용하던 별관 4개의 사무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민 교수는 언제든지 사무실에 방문해 연구를 이어갈 수 있다. 퀸즈칼리지 별관에 위치한 RCKC 도서관과 자료실에는 민병갑 교수가 기증한 책 약 500권과 위안부 등 한국한 연구 자료가 보관돼 있다.       KKSP는 기존 프로그램 책임자인 고성연 교수의 주도 하에 이어질 예정이다.   민 교수는 "현재 퀸즈칼리지에서 학생들은 한국학을 부전공으로 선택해 공부할 수 있다"며 "고 교수를 포함해 3명의 한국학 교수가 있는데, 한국학이 주전공으로 채택되려면 교수가 최소 5~6명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새롭게 출발하는 퀸즈칼리지의 KKSP 프로그램이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인 사회의 많은 관심과 후원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한국학연구프로그램 재외한인연구소 재외한인연구소가 퀸즈칼리지 퀸즈칼리지 재외한인연구소 퀸즈칼리지 재외한인사회연구소

2024-07-15

뉴욕시 퀸즈 북동부 지역, 더 이상 총격 안전지역 아니다

뉴욕시에서 ‘총기 청정지역’으로 꼽히는 퀸즈 북동부 지역에서 올해 연이은 총격 사건이 벌어지면서 주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뉴욕시경(NYPD)이 매주 발표하는 범죄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5월 1일까지 한인·아시안이 밀집해 있는 퀸즈 북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109·111경찰서 관할구역에서 총격사건이 각각 3건, 2건씩 발생했다.   109경찰서(플러싱·칼리지포인트·화이트스톤 등 관할)의 경우 지난해 5월 1일까지는 단 1건의 총격사건이 발생했고, 111경찰서(베이사이드·프레시메도·리틀넥 등 관할)는 전년동기 0건을 기록했다.   지난달 30일에는 퀸즈 포레스트힐 108스트리트 67드라이브 교차로 인근에서 오토바이로 음식 배달을 하던 45세 중국계 남성이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앞서 지난 3월 벤자민 카도조 고교생들이 연루된 총격사건과 베이사이드 주택가 총격, 지난달 27일 프랜시스 루이스 고교 학생 등이 부상을 당한 프레시메도 총격에 이어 또 지역사회에 충격을 주는 총격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또 2일 WABC의 보도에 따르면 1일 뉴욕시립대(CUNY) 퀸즈칼리지 근방 키세나불러바드와 멜버른애비뉴 교차로 인근의 오프캠퍼스 아파트에서 26세 남성이 총격을 당해 부상을 입는 사건이 벌어졌다. 경찰에 따르면 피해자는 인근 병원에서 치료 중이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으로 인해 캠퍼스는 일시 폐쇄되는 소동을 겪었다.   퀸즈 베이사이드 거주 윤모씨는 “브루클린, 브롱스 같은 옆 동네 이야기 같던 총격사건들이 이웃에서도 벌어지고 있다니 믿기질 않는다”라며 우려를 표했다.     또 한인 학생들도 다수 재학 중인 고교 인근에서 벌어진 총격들로 학부모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한편, 총기 범죄를 포함해 뉴욕시 치안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있는 에릭 아담스 시장의 정책들은 미미한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NYPD 통계(5월 1일 기준)에 따르면 올해 총격사건은 총 402건으로 전년 동기 405건 대비 3건 줄었다.   맨해튼 남·북부, 브루클린 남·북부, 퀸즈 남·북부, 브롱스, 스태튼아일랜드 등 8개 구역별로 보면 퀸즈북부와 맨해튼남부가 전년대비 총기사건이 33%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퀸즈북부는 올해 20건으로 전년 15건 대비 5건, 맨해튼남부는 올해 16건으로 전년 12건 대비 4건 늘어 증가량 자체는 적지만, 타 지역 대비 안전한 곳으로 꼽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총격사건이 가장 많이 벌어지는 브롱스의 경우 올해 138건으로 전년 동기 126건 대비 9.5% 증가했다.  심종민 기자안전지역 북동부 퀸즈 북동부 올해 총격사건 퀸즈칼리지 근방

2022-05-02

한인사회 ‘싱크탱크’ 기대…노인문제·투표권 등 다양한 주제 다뤄

19일 출범한 퀸즈칼리지 재외한인사회연구소는 앞으로 한인 사회 관련 문제를 다루는 ‘싱크탱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부터 소장 민병갑(사진)교수는 한인 관련 자료 수집과 분석에 매달려 왔다. 지난해 12월에는 미국내 한인 사회를 연구한 논문과 저서를 총망라한 서지 목록을 발표한 바 있다. 4년 전, 연구소에 대한 구상만 갖고 있던 민 교수는 익명을 요구한 한인 사업가 두명으로부터 20만달러의 기금을 기부받고, 지난해 퀸즈칼리지의 허락을 받아냈다. 연구소는 정치, 사회 분야에 걸쳐 한인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정보의 보물섬’이다. 사회학적으로는 한인 이민 사회의 역사와 변화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한인 이민 사회가 미국 사회에서 어떻게 한국 전통 문화 전도사 역할을 해가고 있는지, 한인 노인들의 이슈는 무엇인 지, 2~3세 자녀 교육에 있어서 정체성은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 지, 앞으로 연구소가 다룰 주제는 쌓여 있다. 정치 분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그레이스 멩 뉴욕주하원의원은 “현재 뉴욕주 정부기관이 데이터를 공개할 때 의무적으로 아시안을 표기하도록 하는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재외한인사회연구소의 도움이 절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재외투표권 문제와 관련, 연구소는 미국내 한인 사회 현황, 동포 이슈 등 한국 정부가 미주 한인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들여다봐야 할 곳이 될 전망이다. 재외 한인사회만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미국내 유일 연구소라는 점에서는 퀸즈칼리지의 자랑이다. 제임스 마이스켄스 퀸즈칼리지 총장은 “뉴욕시 한인 인구의 25%가 모여있는 퀸즈, 한인 사회를 속속들이 알고 있는 민 교수, 플러싱 한복판에 있는 퀸즈칼리지 등 모든 요소가 완벽하게 맞아 탄생한 기적”이라고 밝혔다. 연구소는 올 3월 LA와 뉴욕을 포함 미국내 대도시의 1998~2008년 한인 인구 유동 추이를 살펴 본 자료를 발표한다. 이 외에도 정기 세미나, 저널 발표 등을 계획하고 있다. 또 한인 사회를 연구하는 사회학 박사과정생 3명을 매년 선발해 1000달러씩 장학금을 지급한다. 오는 9월, 첫 장학생으로 선발된 학생이 자신의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조진화 기자 [email protected]

2010-02-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