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가주 인구 다시 증가세…2년만에 3900만명 넘어

캘리포니아주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매년 수만 명이 캘리포니아주를 떠나는 가운데 나타난 의미있는 변화다.   지난 15일 LA타임스 칼럼니스트 조지 스켈톤은 개빈 뉴섬 지사실이 오는 5월 1일 발표할 자료를 인용, 지난 2022년 여름 이후 처음으로 가주 인구가 3900만 명 이상으로 늘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가주 인구는 2020년 초 코로나19 팬데믹이 창궐하기 직전 395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당시 이민자 유입이 가장 큰 인구증가 요인으로 꼽혔다.     하지만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4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가주 인구는 70만 명 가까이 줄었다. 당시 일자리 감소, 재택근무 증가, 코로나19 감염 사망자 10만 명 등으로 인구감소폭이 컸다고 한다. 이에 따라 연방센서스는 2023년 7월 가주 인구를 3896만5193명으로 추산했다.   팬데믹이 끝나면서 가주 인구는 회복세다. 코로나19 사망률이 눈에 띄게 줄었고, 직장 복귀 정상화, 바이든 행정부 친이민정책 등 때문이다.   한편 가주 인구 증가 속도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높은 물가가 꼽혔다. 스탠퍼드 대학 경제정책연구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가주의 높은 생활비는 많은 사업체와 주민을 떠나게 하고 있다. 이는 가주의 고용시장과 재정상황을 심각하게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진단했다.   가주 재무국에 따르면 가주 인구는 2044년 4020만 명으로 늘어난 뒤, 2060년 3960만 명까지 줄 것으로 전망됐다.   김형재 기자증가세 인구 인구증가 요인 캘리포니아주 인구 인구 증가

2024-04-16

조지아 '인구 쏠림' 이어진다

8년째 이사물량 유입이 유출 앞서 일자리·다양성·교통허브 등 장점   조지아주의 인구 증가세가 가파르다.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종과 문화 다양성, 교통·물류 허브로서의 장점 등이 어우러져 인구유입을 촉진하고 있다.   전국 최대 이사업체인 유나이티드 밴 라인이 최근 발표한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조지아주 전체 이사물량 중 타주에서의 유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53.7%로 유출률(47%)을 앞섰다. 조지아의 유입률이 유출율을 앞선 것은 이 회사의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8년째 이어지고 있다. 신규 유입의 주된 이유로는 가족(29.9%), 일자리(28.4%), 은퇴(14.7%) 순으로 꼽혔다.   조지아주 등 동남부로의 인구 쏠림 현상은 여러 지표에서 확인된다. 센서스국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대비 2023년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인구가 6만 8585명 늘어 휴스턴, 댈러스-포트워스 지역 다음으로 전국 3번째로 많았다. 애틀랜타 지역위원회(ARC)는 2021~2022년 조지아주 인구가 12만 8000명 늘어난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조지아주 자연 인구 증가분의 4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같은 인구 유입은 조지아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인구 유입이 생산성을 끌어올리며 미래의 더 많은 고용과 상품 및 서비스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특히 "이주민과 이민자들이 일자리를 잠식할 것"이라는 편견이 깨졌다고 지적했다. 극심한 구인난을 겪은 지난 수년동안 국내외 이주민 증가가 경제 성장에 큰 도움이 됐다는 것이다.   부동산 컨설팅 업체인 세빌스의 웨인 기어리 이코노미스트는 "제조업, 금융업 등이 골고루 성장하며 식당 종업원과 같은 서비스업 종사자부터 회계사, 건설업자, 의료 종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 수요가 증가하는 도미노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 교통 및 물류 허브인 점도 경제발전을 촉진시키는 또다른 요인들이다. ARC는 2000년 이후 유입된 청년층 인구의 대부분이 유색인종인 것으로 추산했다. 리/맥스 애틀랜타의 브루스 앨리온 브로커는 "한국, 인도, 베트남, 러시아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이 전세계 200여개 이상 도시를 연결하고, 암트랙 철도망이 동서부를 잇는 편리한 교통망도 애틀랜타의 장점이다.   시급한 과제는 급증하는 인구를 감당할 인프라를 정비하는 것이다. AJC는 "주 정부는 인구 증가에 상응하는 도로와 주택, 학교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ARC는 지난 2월 보고서를 통해 인프라 구축에 1680억 달러의 재정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추산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조지아주 전국 조지아주 인구 애틀랜타 지역위원회 조지아주 자연

2024-04-16

[중앙시론] 애틀랜타에서 느낀 한인 사회 미래

애틀랜타에 본부가 있는 한미우호협회로부터 올해 평생업적상 수상자로 결정됐다는 연락을 받고 애틀랜타를 방문할 기회가 생겼다. 애틀랜타 방문은 90년대 중반 이후 처음이었다.     애틀랜타의 첫인상은 교통 체증 문제였다. LA보다 더 심한 듯했다. 오후 2시 반쯤 공항을 출발해 다운타운까지 30분이면 될 거리를 1시간 넘게 걸렸다. 급성장하는 도시의 부작용 가운데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주요 한인 거주지는 둘루스, 스와니 그리고 도라빌 등  3곳에  형성되어 있다고 한다. 도라빌은 1990년 최초로 한인 상권이 형성된 곳이고, 둘루스는 현재 최대 한인 상권 지역이다. 애틀랜타는 미국 동남부 최대 도시인데 최근 한인 인구도 급증세를 보인다. 이제 애틀랜타 한인 사회는 LA와 뉴욕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로 큰 규모라고 한다.     그 배경 가운데 하나는 현대, 기아, SK, 등 한국 대기업의 활발한 진출이다. 이들 기업의 투자가 늘면서 한국으로부터의 유입 인구도 많아졌다고 한다. 또 온화한 기후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가 수준으로 인해 시카고와 동부지역에서 한인 이주가 늘고 있는 것도 한인 인구 급성장 이유 가운데 하나다.      한미우호협회의 박선근 회장은 LA 지역에서 기부왕으로 잘 알려진 고 홍명기 회장과 비슷한 활동을 하는 분이다.  특히 그는 2004년 ‘좋은 이웃 되기 운동’을 시작해 지금까지 이끌고 있다.  미국 사회의 주역이 되려면 좋은 평판부터 얻어야 한다는 것이 박 회장의 지론이다.     박 회장이 한미우호협회를 창립한 것은 1996년이다. 한미 우호 협력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매년 한인 '이민자 영웅상'과 '평생업적상'을 수여하고 있다. 올해 이민자 영웅상 부문은 성김 전 주한대사가 받았다.       한미우호협회 시상식에는 주류 유력 인사들도 대거 참석하는 성황을 이뤘다. 시상식에 참석한 주요 인사로는 네시선 딜 전 조지아 주지사, 리치 맥코믹 연방하원, 마이스 데이브스 판사, 샘 올렌스 전 조지아 검찰총장, 호스트 모터 리치 칼튼 호텔 창업주, 앤드루 영 전 애틀랜타 시장 및 U.N. 대사, 그리고 프랭크 블레이크 델타 항공 회장과 홈 디포 회장 등이 있었다. 참석자 240명 가운데 한인은 40여명 정도에 불과했다.     최근 한국 대기업의 조지아 주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한국과 한인 사회의 위상도 높아졌다고 한다. 주요 정치인들이 한인 사회 행사에 주저 없이 참석하는 것이 이런 이유라는 귀띔이다. 사실 캘리포니아에서 한인 사회 행사에 주지사가 참석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조지아 주는 다르다는 것이다.     1.5세, 2세들과 만남의 시간도 가졌다. 그들은 한인 사회의 미래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그와 관련된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특히 캘리포니아 주의 아시안·아메리칸학 중·고교 필수 과목 포함, 코리안-아메리칸의 정체성 확립 방법 등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또 세계 최대 한인 회관이라는 애틀랜타 한인회관 소강당에서 열린 동남부연합회 연례회의에 참석해 기조 강연도 했다. ‘한인회의 바람직한 역할’이라는 주제로 한인회가 1세 중심에서 1.5세와 2세 중심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같은 건물 대강당에서는 한인 1.5,2세들과 다른 아시아계 젊은이들이 ‘애틀랜타 총격 참사 3주년 기념식’ 준비를 하고 있었다. 두 행사가 함께 열렸다면 분명 시너지 효과가 있었을 텐데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모습은 한인 사회 전체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듯했다. 1세와 2세가 같은 건물에 있지만 어울리지 못하고 따로 행사를 하는 것은 마치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는 듯했다. 1세와 2세가 함께 같은 곳을 바라보면서 활동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2박 3일의 짧은 일정이었지만 애틀랜타 한인 사회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기회였고 한인 사회의 미래도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였다.  장태한 / UC 리버사이드 교수·김영옥 재미동포연구소장중앙시론 애틀랜타 한인 애틀랜타 한인 애틀랜타 방문 한인 인구

2024-04-07

뉴욕 일원 한인 서류미비자 최소 3만명

뉴욕·뉴저지주에 거주하는 한인 서류미비자 인구가 최소 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전국적으로는 한인 서류미비자 인구가 17만3000명에 달했다. 2022년 센서스국 자료 기준 뉴욕·뉴저지 한인 인구(혼혈 포함)가 약 25만명, 전국 한인 인구가 200만명 수준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뉴욕·뉴저지에 거주하는 한인 10명 중 1.2명(12%)은 서류미비자로 파악되는 셈이다.   14일 이민 관련 싱크탱크 이민정책연구소(MPI)는 ‘미국 이민자 통계 현황’ 발표에서 이같이 밝히고, 한인 서류미비자는 한인 커뮤니티가 큰 캘리포니아·뉴욕·텍사스·조지아주 등에 집중돼 있다고 전했다.     뉴욕주의 경우 퀸즈에만 9000명의 한인 서류미비자가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맨해튼에 거주하는 한인 서류미비자는 3000명이다.     뉴저지주의 경우, 버겐카운티에 거주하는 서류미비자 수가 9000명이었다.     이민정책연구소는 센서스국의 2015~2019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가계조사(SIPP) 등을 자체적으로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불법체류 청년 추방유예 프로그램 다카(DACA) 혜택을 받는 한인은 5040명으로 추산됐다. 전국의 다카 프로그램 수혜자(54만4690명) 중에는 멕시코(44만930명) 출신이 가장 많았으며, 엘살바도르(2만1360명)·과테말라(1만4450명)·온두라스(1만323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한인이 가장 많다. 자격이 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 신규 신청 접수 중단의 여파로 다카 신청을 못한 한인 인구는 3만2000명에 달했다.     한편 MPI는 2022년 기준 뉴욕주에 거주하는 한국 출생 인구는 8만2663명, 뉴저지주 거주 한국 출생 인구는 총 6만7595명으로 파악했다. 한국에서 태어나 뉴욕·뉴저지에 정착한 이민 1세, 이민 1.5세 인구를 15만명으로 파악한 셈이다.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에 거주하는 총 인구는 104만5100명에 달했다. 해외에서 태어나 미국에 정착한 총 인구(4618만2089명) 중 2.3% 수준이다.   집에서 한국어를 주로 쓰는 인구수는 총 110만4000명으로 파악됐다. 집에서는 영어 외에 다른 언어를 쓰는 이들 중 1.6% 비율이다. 가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제2외국어는 스페인어(60.8%)가 압도적이었으며 중국어(5.1%), 타갈로그어(2.6%), 베트남어(2.2%) 등이 뒤를 이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서류미비자 한인 한인 서류미비자 한인 인구 뉴저지 한인

2024-03-14

계속되는 ‘탈뉴욕’…팬데믹 후 55만명 떠나

  작년 뉴욕시를 떠난 인구가 7만8000명에 육박했다. 퀸즈와 브루클린, 브롱스에서 각각 1% 이상 주민이 줄었다. 코로나19 이후 인구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센서스국이 발표한 카운티별 인구 추정치에 따르면 2023년 7월 기준 뉴욕시 인구는 총 825만8000명이다. 833만6000명이었던 전년보다 약 7만8000명 줄었다.   카운티별로 보면 맨해튼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했다. 퀸즈는 225만2000명으로 1.2% 줄었으며 브루클린 역시 256만1000명으로 1.1% 감소했다. 브롱스는 뉴욕시 내 가장 높은 감소율(-1.8%)을 보였다. 감소 인구수로는 브루클린·퀸즈·브롱스가 각각 전국 3·4·6위다.   스태튼아일랜드는 -0.1%로 소폭 줄었으며 맨해튼은 0.2% 증가한 159만7000명을 기록했다. 이외 나소카운티는 0.3% 감소한 138만2000명, 웨스트체스터카운티는 0.1% 감소한 99만명으로 집계됐다.   뉴욕시 인구는 2020년 코로나19가 시작된 후 꾸준한 감소 추세다. 맨해튼을 제외한 4개 보로에서 3년 연속 인구가 줄었다. 팬데믹이 최고조에 달했던 2020년 4월과 비교하면 전체 인구의 6%, 약 55만명이 뉴욕시를 떠났다.   다만 뉴욕시 도시계획국은 14일 성명을 통해 “센서스국 데이터는 망명 신청자 등 이민 인구를 완전히 반영하지 않았다”며 “시정부 분석에 따르면 2022~2023년 인구는 변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센서스국은 이번 통계에 대해 별다른 분석을 내놓지 않았다.   앞서 진보 비영리 정책 단체인 재정정책연구소(Fiscal Policy Institute)는 작년 말 2022년 뉴욕시 전출 인구는 연 3만2000~6만5000달러의 소득을 가진 가족이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흑인 또는 히스패닉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도노반 리처드 퀸즈보로장 역시 “특히 흑인 커뮤니티가 생활비가 더 저렴한 남쪽으로 이주하고 있다”며 “주거비와 주택 공급에 대해 조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뉴저지주 인구는 늘고 있다.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버겐카운티의 경우 2023년 95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0.4% 늘었다. 인근 허드슨카운티 역시 0.4%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퍼세익카운티는 2년 연속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하은 기자 lee.haeun@koreadailyny.com탈뉴욕 망명신청자 감소 인구수 뉴욕시 인구 카운티별 인구

2024-03-14

쿡카운티 인구 작년 2만4천명 더 감소

가장 최근 나온 인구 조사 결과 쿡 카운티 인구가 지난해에만 2만명 이상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연방 인구조사국은 13일 전국 카운티와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인구 추정치를 발표했다.     인구 추정치는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표본으로 전체 인구 증감 상황을 살펴보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성보다는 증감 추세를 살펴보는데 유효하다.     이 발표에 따르면 쿡 카운티는 2023년 7월 1일 기준 전년에 비해 인구가 2만4000명 줄어들었다. 전체 쿡 카운티 인구는 510만명으로 집계됐다.     쿡 카운티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큰 카운티다. 쿡 카운티에 이어 뉴욕의 킹스, 퀸스, 브롱크스 카운티가 뒤를 잇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도 작년 5만6000명의 인구가 감소했다.     전국 주요 카운티의 인구 감소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두드러진 경향이다.     쿡 카운티는 지난 2020년 이후 12만8000명의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구가 밀집된 도심 보다는 교외 지역 등으로 이주하는 주민들의 숫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작년 쿡 카운티에서는 5만8000명의 주민들이 다른 카운티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외에서 이주한 이민자들이 2만3790명으로 이들이 유입이 쿡 카운티 인구를 그나마 지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시카고 메트로폴리탄의 인구도 감소했다. 작년 7월 기준 시카고 메트로의 인구는 926만2825명으로 일년 사이 1만6600명이 줄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0.2%에 해당된다. 2020년 팬데믹 이후로 따지면 시카고 메트로 지역에서는 모두 18만7000명의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Nathan Park 기자인구 천명 카운티 인구 인구 감소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2024-03-14

메트로 애틀랜타 '인종 다양성' 가속화

ARC 장기 인구전망 보고서 분석  히스패닉·아시안이 증가 주도   소수계 비중 62%로 크게 상승     미국 흑인 민권운동의 메카로서 '다양성의 도시'로 불려온 애틀랜타의 인종 다양성이 향후 30년에 걸쳐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특히 히스패닉 인구가 두 배 가량 증가하며 흑인 인구 증가폭을 압도할 것으로 보인다.     애틀랜타 지역위원회(ARC)는 4년마다 발표하는 장기 인구전망 보고서를 통해 2050년까지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인구의 62%가 소수인종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측했다. 14일 발표된 보고서는 2050년 메트로지역 21개 카운티의 인구가 2020년 대비 180만명이 늘어나 80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마이크 카나단 ARC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향후 기대되는 도시 성장은 모두 히스패닉계를 비롯한 유색인종이 견인하게 될 것"으로 분석했다.   센서스국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애틀랜타 21개 카운티의 인종별 구성은 백인 46%, 흑인 34%, 히스패닉 12%, 아시안 및 기타 인종 8%다. 2050년 예측치를 보면 백인과 흑인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 히스패닉과 아시안 비율이 대폭 늘어난다.  백인과 흑인 인구 비중은 각각 8%, 4% 감소하는 반면 히스패닉 인구 비중은 9%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향후 30년간 유입될 애틀랜타 인구 증가분의 대부분이 일자리를 찾아 이주하는 유색인종이기 때문이다. 위원회는 애틀랜타 지역에 85만 6000개의 일자리가 새로 창출될 것으로 봤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애틀랜타의 인종 다양성은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특징으로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환영을 받을 것"으로 보도했다.      1990년대 이후 낮아진 밀레니얼 세대 백인의 출산율과 비교해 라틴·히스패닉의 출산 비중이 여전히 높은 것도 원인 중 하나다. 2019년 기준 히스패닉계의 합계출산율은 평균 1.94명으로 백인(1.51명)보다 20% 이상 높다.   이번 인구전망 결과는 향후 4년 동안 교통 인프라 정비, 조닝(지역 용도 결정) 등 지방정부의 예산을 배정하고 정책을 집행하는 기준이 된다. 위원회는 보고서에서 인구 증가에 따라 168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예산이 새로 투입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애틀랜타 유색인종 애틀랜타 유색인종 대신 히스패닉인구 애틀랜타 인구

2024-02-16

메트로 지역 인구 2050년엔 800만 육박

조지아주 메트로 애틀랜타 21개 카운티 인구가 2025년까지 8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메트로 지역 핵심 11개 카운티와 애틀랜타 외 74개 도시의 협력과 투자사업 등을 관할하는 애틀랜타 지역위원회(ARC)는 14일 지역 경제의 성장에 맞춰 인구도 큰 폭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ARC는 메트로 지역의 대중교통, 주택공급 등의 계획 수립을 위해 4년마다 장기 인구 예측 보고서를 발표한다.     ARC는 2050년까지 메트로 지역에서 신규 일자리 85만6000개가 창출되는 등 전체 일자리가 총 460만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2020년 센서스국 통계에 의하면 메트로 21개 카운티의 인구는 610만명으로, ARC는 향후 30년 동안 약 30% 늘어 2050년까지 79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인구의 다양성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메트로 지역에서 히스패닉 및 라틴계 주민이 차지하는 인구 비중은 현재의 12%에서 2050년에는 21%로 높아진다.       현재 전체 인구의 5% 미만인 노인 인구도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50년 75세 이상 노인이 지역 인구의 약 12%인 90만명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ARC는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경제가 성장세를 이어가지만 성장률은 둔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2020년 전망한 2050년 인구는 올해 예측보다 70만명이 많았는데, 이는 출산율이 낮아지고, 인구 유입 속도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카운티 별로 보면 애틀랜타 '외곽'에 위치한 지역의 인구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1개 카운티 중 향후 30년 동안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보이는 카운티는 포사이스(2020년 대비 79% 증가), 바로우(71%), 폴딩(60%), 체로키(53%), 월튼(51%), 코웨타(51%) 등의 순으로 꼽혔다.     메트로 애틀랜타의 '핵심'인 풀턴, 귀넷, 캅, 디캡, 클레이튼 카운티의 인구도 꾸준히 증가, 2050년까지 5개 카운티에서만 총 81만2000명이 늘어날 것으로 ARC는 전망했다. 이들 핵심 카운티가 메트로 전체 성장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귀넷 카운티의 인구는 25%, 디캡 15%, 캅 19%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풀턴 카운티는 2050년까지 주민이 130만명 이상으로 늘어나 여전히 조지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카운티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두 번째인 귀넷은 12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향후 가장 유망한 성장 분야로는 예술, 엔터테인먼트, 레크리에이션(68%) 업종이 꼽혔다. 전문·비즈니스 서비스(38%), 숙박·음식 서비스(36%), 제조업(3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안나 로치 ARC CEO(최고경영자)는 "메트로 지역의 높은 삶의 질과 활기찬 경제가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성장을 이끌 것"이라며 "다만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인프라와 인력 양성에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RC는 메트로 지역 인구 증가에 비례해 1680억 달러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메트 카운티 인구 지역 인구 조지아주 메트

2024-02-15

[뉴스 포커스] 달라져야 할 ‘시니어’ 개념

‘시니어(senior)’는 주로 일정 연령 이상의 노령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딱히 ‘몇 살 이상’이라는 규정은 어디에도 없다. 그러다보니 기준도 제각각이다. 대형 프랜차이즈 식당 가운데도 맥도날드,데니스,아이홉 등에선 55세 이상이면 시니어 혜택을 주지만, 60세 이상 돼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곳도 많다. LA시와 LA카운티도 차이가 있다. LA시는 60세 이상이면 시 소유 골프장의 그린피를 할인해 주는 반면, LA카운티는 65세 이상 부터 할인이 된다.     다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시니어의 기준은 65세 이상인 듯하다. 연방정부의 의료보험인 메디케어 혜택을 받기 시작하는 나이가 65세 부터이기 때문 아닐까 싶다. 그러고 보니 한국에서 무료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나이도, 복수국적이 허용 되는 연령도 65세 이상이다. 이 정도 연령이면 은퇴 생활이 시작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요즘 ‘시니어 현역’이 늘고 있다. 과거 같으면 은퇴할 나이에 여전히 왕성환 활동력을 보이는 분들이다. 70대 중반에 아직도 새벽같이 출근하는 한인 기업인도 여든 나이에 업계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매일 열심히 공부하는 한인 회장님도 이런 분들이다.           그런데 지구촌 주요 국가들은 인구 노령화를 우려하고 있다. 전체 인구 숫자는 정체, 내지 감소하는데 노령 인구 비율은 점차 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도 예외가 아니다. 가장 최근인 2020년 센서스 자료를 보면 미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5800만 명, 전체 인구의 16.8% 가량 된다. 그런데 이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진입 영향이다. 드디어 올해는 65세가 되는 인구가 410만 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라고 한다. 매일 1만1000명이 65세가 된다는 얘기다. 이런 증가 추세는 1962년 생들이 65세가 되는 2027년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3년 후에는 미국인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의 시니어가 된다.       인구 노령화에 대한 우려는 주로 경제적 측면에서 비롯된다. 생산활동 참여 인구가 줄어 성장 동력은 약해지는 반면, 의료·복지 등 사회적 비용 지출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한마디로 젊은층의 시니어 인구 부양 부담이 더 커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성급한 전망인 듯하다. 요즘 시니어들의 모습이 과거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사회·경제적 시스템이 변화하면서 시니어들의 양상도 달라졌다. 과거에 비해 더 오래 일하고 자녀들에 대한 의존도도 줄었다.      여론조사 기관인 퓨리서치센터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미국인 가운데 20% 가량은 여전히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비율은 35년 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는 것이다. 더구나 일하는 시니어의 3분의 2는 풀타임 직업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시니어들의 자산 규모도 계속 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의 소비자 금융 조사에 따르면 65~74세 사이의 중간 순 자산 규모는 41만 달러로 조사됐다. 2010년의 28만여 달러에 비해 10여 년 만에 50% 가까이 늘었다. 시니어 자산 가치 증가는 주택가격 상승과 다양한 은퇴 투자 플랜 덕이다. 과거 시니어들이 주로 연금에 의존해 생활했다면 지금은 은퇴 투자상품, 사회보장연금 등 수입원이 다양하다. 그리고 자산과 수입이 늘다 보니 시니어 그룹은 새로운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신흥 시장의 등장에 주목하는 이유다.   시니어 층의 부상은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들의 활동 반경이 과거의 시니어들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이제 ‘시니어’의 개념도 달라져야 할 때가 된 것 같다. 은퇴 생활을 시작하는 시기가 아니라, 인생의 다음 단계를 설계하는 시기로 말이다. 김동필 / 논설 실장뉴스 포커스 시니어 개념 시니어 인구 시니어 혜택 시니어 현역

2024-02-08

819만명…남가주 취업 사상 최고

남가주 지역 취업자 수가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LA데일리뉴스는 지난해 12월 LA, 오렌지, 리버사이드, 샌버나디노 등 4개 카운티에서 취업자 수가 819만 명에 달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이는 한 달 동안 1만3000명이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남가주의 기업들은 지난 1년 동안 16만5500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었다.     카운티별로 살펴보면 LA 카운티에서는 역대 최고인 총 472만 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2월 한 달 동안 5300명이 일자리를 얻었으며, 1년 동안 9만5800명이 취업했다.     오렌지 카운티에서는 174만 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작년 12월 한 달 동안 5600명이 추가로 일하며, 1년 동안 3만6300명이 증가했다. 172만 명이 일하고 있는 인랜드 엠파이어에는 작년 12월 한 달 동안 2100명이 추가되고 1년 동안 3만3400명이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소매업에서 취업 인구의 가장 큰 증가세가 나타나 총 78만900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12월 한 달 동안 8600명이 새로 추가됐고 작년 1년 동안 1만6500명이 증가했다.     이 외에도 교육 및 보건 151만 명(한 달: 4900명↑,1년: 8만700명↑), 운송 및 창고 관리 73만1800명(한 달: 2900명↑, 1년: 7800명↑), 비즈니스 121만 명(한 달: 2900명↑, 1년: 900명↑), 금융 37만7700명(한 달:1100명↑, 1년: 3400명↓), 레저 및 숙박 97만2700명(한 달: 600명↑, 1년: 4만5000명↑), 제조업 57만2900(한 달: 100명↓, 1년: 1만9100명↑), 건설업 38만9100명(한 달: 2000명↑, 1년: 19만100명↑), 정부 101만 명(한 달: 2300↓, 2만7900명↑)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12월의 실업률은 4.7%로 전달 4.6% 대비 소폭 상승했다. 실업자 수는 41만4600명으로 1년 전보다는 7만1600명 증가한 수치다.  정하은 기자 chung.haeun@koreadaily.com남가주 취업 남가주 취업 남가주 지역 취업 인구

2024-01-22

개신교 소수 종교로…“10년 후 전체 인구 중 12%”

한국 사회의 탈종교화가 가파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각종 통계 지표 등을 통해 이미 교계에 경종을 울린 지 오래다. 더 심각한 건 교계는 이러한 추세를 목도만 할 뿐이다. 이러한 속도라면 개신교 역시 극소수를 위한 종교로 남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한국 기독교의 모판으로 여겨지는 미주 한인 교계 역시 크게 다를 바 없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지난 16일 ‘2023 한국인의 종교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결과는 충격적이다. 이대로 가면 10년 후 한국 내 개신교인은 전체 인구 중 12%에 불과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았다.   본래 한국은 종교인이 무종교인보다 많던 사회였다.   이는 2017년(무종교인 53.4%·종교인 46.6%) 조사에서 사상 처음으로 역전됐다.   6년 만에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는 그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한국 내 개신교, 가톨릭, 불교 등 19세 이상 종교인은 37.1%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무종교인은 최고치인 62.9%로 조사됐다. 두 집단 간 격차는 무려 25%p 이상인 셈이다. 이는 지난 2017년 당시 격차(6.8%p)보다 더욱 벌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30대의 경우 종교 인구는 사실상 반 토막이 났다.   연령별 종교인 분포 변화를 살펴봤다.   20대의 경우 지난 2017년 당시 종교인 비율은 31%였다. 반면 2023년에는 16%로 급감했다. 30대 역시(이하 2017년 38%·2023년 19%) 상황은 심각하다. 20~30대의 종교인은 해당 세대에서 5명 중 1명도 채 안 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종교인의 노령화 추세는 점점 뚜렷하게 나타난다.   2017년과 2023년의 무종교인과 종교인 간 격차는 40대(15%p), 50대(12%p), 60세 이상(3%p)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좁혀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해 UCLA 유헌성 연구원(사회학)은 “미국도 별반 다를 바 없지만,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이 점점 개인화됐고 종교라는 집단적 제도권에 속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과거와 달리 종교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과거보다 약해진 것도 원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종교별로 보면 개신교와 불교 인구의 하락세가 컸다. 반면, 가톨릭 인구는 소폭 상승한 것이 눈에 띈다.   먼저 개신교인은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인구 중 16.6%를 차지했다. 이는 2017년(20.3%)과 비교하면 약 4%p 줄었다.     불교 인구는 2017년 당시 19.6%였으나, 현재 12.4%로 감소했다. 가톨릭 인구는 7.8%로 2017년(6.4%)에 비해 소폭 늘었다.   전체적으로 종교인은 소수에 속하지만 그나마 개신교에는 희망적인 부분이 한가지 있다. 20~30대 종교인만 따로 보면 개신교인의 비율이 그나마 높다. 젊은 층은 사찰, 성당보다는 ‘교회’에 소속된 셈이다.   20대 전체 인구 중 무종교인 비율은 85%다. 이어 개신교인(9%)이 두 번째로 많았다. 이어 불교인(4%), 가톨릭(2%) 등의 순이다.   30대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무종교인(81%)을 제외하면 개신교인(11%), 불교인(4%), 가톨릭(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동안 대학 캠퍼스 사역을 담당했던 필립 이 목사는 “기존의 기독교 울타리에서 자라난 젊은 층은 교회에 실망해 기독교를 떠나거나 신앙을 잃어버리는 사례가 많다”며 “하지만 미국에서도 오히려 정신적 빈곤 등을 느끼는 젊은 비신자들이 늘면서 영적인 것을 찾아 교회 등으로 오는 사례 역시 많아진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마냥 웃을 일만은 아니다. 젊은 층이 종교를 떠나는 현상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 10년간 20~40대 개신교인은 절반가량 감소했다”고 밝혔다.   일례로 19~29세 사이 개신교인을 보면 2023년 기준으로 9%다. 이는 2012년(19%)과 비교했을 때 10%p 줄었다.   30~49세(2012년 21%→2023년 11%), 40~49세(26%→14%) 등 모두 10%p 이상 감소했다.   ‘가나안 성도(교회를 '안 나가'는 교인을 일컫는 신조어)’에 대해서도 조사가 진행됐다.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개신교인 4명 중 1명(26.6%)은 가나안 성도다. 이는 지난 2012년(10.5%)과 비교했을 때 무려 16%p가량 급증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젊은 층 개신교인 중 가나안 성도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19~29세(45%), 30~39세(35%) 등 가나안 성도는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측은 “개신교인 성인의 가나안 성도 비율은 27%였는데, 특히 청소년의 경우 36%가 가나안 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들이 성인이 된다면 앞으로 개신교 내 가나안 성도의 비율은 지속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래에 대해서는 다소 암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대로 가면 10년 후 개신교인은 전체 인구의 12%대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보고서에서 “다른 변수를 통제하고 지난 통계를 바탕으로 추세의 기울기를 예측한 결과 향후 10년 뒤에 개신교인 비율은 12.6%로 떨어졌다”며 “가나안 성도의 비율 역시 37.1%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는 교회 출석자 비율 급감 현상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6년간 교회 출석자를 살펴보니 현재(2023년 기준) 20대(6%), 30대(9%)의 교회 출석 비율은 모두 10% 미만이다. 이는 2017년(20대 17%·30대 17%)과 비교하면 교회에 출석하는 개신교인들이 크게 줄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번 조사는 5451명(19세 이상 4751명·청소년 7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 18일부터 지난 1월 3일까지 진행됐다. 신뢰도는 19세 이상(오차범위 ±1.4%), 청소년(± 3.7%) 등 모두 95%다.   장열 기자 jang.yeol@koreadaily.com개신교 인구 반면 무종교인 연령별 종교인 종교 인구

2024-01-22

콜로라도 인구 증가율 회복세…속도는 더뎌

 올해 콜로라도의 인구 증가는 가속화됐지만 여전히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속도보다는 훨씬 낮으며 인구통계학자들의 예측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덴버 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연방센서스국이 최근 공개한 인구 추산자료에 따르면, 콜로라도의 인구는 2022년 한해 동안 3만6,571명 증가해 올해 7월 1일 현재 주전체 인구는 587만7,610명에 이르렀다. 이는 1년전인 2022년 7월 1일 집계 보다 2만9,443명, 2021년 7월 1일 집계 보다는 2만6,377명이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2023년 인구 증가율이 2022년보다 24%나 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평균 증가치인 연간 7만5,000명과 주인구통계국(State Demography Office)이 예측했던 5만1,900명에는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연방센서스국에 따르면, 콜로라도의 인구 증가율은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동안 서부지역 주들의 인구 증가율이 타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나 근래들어서는 남부지역 주들의 증가율이 서부지역을 능가했으며 특히 가장 최근의 집계에서는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인 주들의 거의 대부분(90%)을 남부 주들이 차지했다. 연방센서스국내 인구디비전 소속 인구통계학자인 크리스티 와일더는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내 출산율은 감소했지만 사망률이 더 큰 폭(약 9%)으로 감소했다. 궁극적으로 이민자 증가와 함께 사망자수가 줄어들면서 미국은 2018년 이후 가장 큰 인구 증가를 경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콜로라도의 출생자수는 올해 약간 감소했지만 지난 3년 동안 연간 6만2,000명 이상으로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지난 10년 동안 주내 출생아는 연간 평균 6만5,000명 수준이었다. 사망자수는 변동이 컸다.지난 10년 동안 콜로라도 주내 사망자수는 연간 평균 3만5,000명이 조금 넘었으나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는 급격히 늘어났다. 2022년 7월 1일까지 12개월 동안 사망자는 4만9,599명에 달했으나 가장 최근 집계에서는 4만5,099명으로 감소했다. 인구의 노령화로 인해 앞으로 10년 동안 사망자수가 지난 10년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콜로라도는 오랫동안 타주 주민들의 이주가 많았지만 주택가격 급등으로 인해 콜로라도의 매력이 손상됐다. 지난 10년간 순 이주민수는 연평균 4만5,666명에 달했으나 2019년부터는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올해 순 이주민수는 1만9,167명으로 2022년의 1만7,185명보다는 다소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 10년간의 속도에 비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주인구통계국이 예측한 3만5,000명의 순이민자수에도 미치지 못했다. 순 이주민의 증가 속도가 느려지면 주정부는 주택 부족을 충당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고용주에게는 노동인력의 부족, 기업에게는 콜로라도로의 이전을 꺼려하는 이유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 주인구통계학자인 엘리자베스 가너는 지난 11월 리틀턴에서 열린 2023년 콜로라도 인구통계 서밋에서 “인구와 순 이주 증가가 보이지 않는다면 생산연령 인구가 절대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다른 나라에서 콜로라도로 이주해 온 국제 이주자(International migrants)들은 콜로라도의 순 이주자 10명 중 6명에 달했다. 지난해 해외로부터 이주자는 1만1,931명, 미국내 이주자는 7,236명이었다. 콜로라도에서 해외 이주민수가 미국내 이주민수를 앞지른 지 2년째이다. 콜로라도에는 2021년 말과 2022년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상당수 난민이 유입됐고, 지난해에는 베네수엘라에서 훨씬 더 많은 난민이 유입됐다. 이같은 예상치 못한 두 번의 난민자 급증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추진력(economic momentum)을 유지하기 위해 인구 증가에 크게 의존하는 콜로라도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에는 근접하지 못했다. 주인구통계국은 2023년의 경우, 출생자에서 사망자를 뺀 인구 자연 증가는 거의 정확하게 예측했으나 순 이주민의 경우는 당초의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 증가율 인구 증가율 연방센서스국내 인구디비전 올해 콜로라도

2024-01-08

일리노이 인구 46000명 늘었다

공식적인 일리노이 주 인구가 4만6000명 늘어나게 됐다. 연방 센서스국이 지난 2020년 실시한 인구 총조사에서 누락된 일리노이 인구를 찾았기 때문이다.       3일 일리노이 주지사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연방 센서스국이 2020년 인구조사 당시 빠져 있던 일리노이 인구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수백만달러에 달하는 연방 정부의 예산이 조정될 수 있고 정확한 일리노이 주민들의 숫자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리노이 주지사와 연방 의원들은 2020년 인구 총조사 결과가 나온 직후 센서스국에 재조사를 요구한 바 있다.     당시 일리노이의 인구는 1281만 2508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1만8000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는 일리노이가 연방에 가입한 이후 처음으로 총인구가 줄어든 것이었다.     센서스국은 이후 자체 재조사를 통해 733개의 단체 시설(group quarters)에 거주중이던 일리노이 주 인구가 빠진 것을 확인했다. 단체 시설에는 요양원과 대학 기숙사, 교도소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추가된 일리노이 주민은 모두 4만6400명으로 집계됐다. 물론 이 숫자가 다시 파악됐다 하더라도 2020년 인구 총조사 결과가 뒤바뀌진 않는다. 인구조사 결과에 따라 일리노이에 배정된 연방 하원 의석이 18석에서 17석으로 줄었지만 이 숫자가 다시 회복되지도 않는다.     다만 2030년 인구 총조사 이전까지 일리노이 인구를 파악할 때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는 있다. 2024년 연례 인구 조사 업데이트에 반영될 예정이다. 주지사실이 한해 6750억달러 이상의 연방 정부의 지원금이 바뀔 수 있다고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연방 센서스국에 재조사를 요청한 곳은 일리노이와 함께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등이다.     한편 센서스국은 지난 12월 2023년 인구 조사 업데이트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때 일리노이 인구는 최근 1년간 3만2826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번 인구 총조사 누락 인구로 이 숫자가 상쇄될 것으로 보인다.     Nathan Park 기자일리노이 인구 일리노이 인구 일리노이 주지사실 인구 총조사

2024-01-05

IL 인구, 10년 연속 감소… 폭은 둔화

일리노이 주 인구가 10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연방 센서스국(U.S. Census Bureau)이 금주초 공개한 '2023 인구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일리노이 인구는 지난 1년새 3만2천826명 줄며 총 1천254만9천689명을 기록했다.   일리노이 인구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타 주 전출이었다. 지난 1년간 일리노이 주민 8만3천839명이 타 주로 이사했으며 대신 이민을 통해 4만492명이 유입됐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다행히 작년 보다는 감소폭이 낮아 주별 인구 순위 6위 자리는 유지했다.     일리노이보다 인구 감소 폭이 더 큰 주는 뉴욕(-10만1천984명)과 캘리포니아(-7만5천423명) 2곳뿐이었다.   하지만 미국 전체 인구는 '사망률 감소' 및 '이민 반등'에 힘입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정상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인구는 160만 명 이상 늘며 작년 대비 0.5% 증가한 3억3천491만4천895명을 기록했다.   센서스국은 "출산율은 감소했으나 사망률이 9% 가량 줄고 이민이 2020년 이전부터 볼 수 없었던 수준으로 늘면서 2018년 이후 가장 큰 인구 증가세를 보였다"며 "과거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2021년 0.2%, 2022년 0.4%에 비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 주의 인구 성장률이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50개 주 가운데 42개 주와 워싱턴DC에서 인구 증가세가 목격됐다"고 부연했다.   특히 남부 지방의 인구 증가세가 뚜렷했다. 이들 지역은 지난 1년새 인구가 140만 명 이상 늘었는데 미국 전체 인구 증가분의 87%를 차지한다.   센서스국은 "남부는 팬데믹 기간에도 인구 증가세를 유지한 유일한 지역"이라며 "지난 1년새 국내 이주를 통해 70만6천266명, 이민을 통해 50만 명의 인구가 새로 유입됐다"고 전했다.   중서부 인구는 2년 연속 감소세 끝에 0.2% 증가했다. 센서스국은 "일리노이주 인구 감소폭이 줄고, 인디애나, 미네소타, 오하이오 주의 인구가 늘어난 덕분"이라고 해석했다.   2022년 인구 감소세에서 2023년 증가세로 돌아선 주는 뉴저지(3만24명), 오하이오(2만6천238명), 미네소타(2만3천615명), 매사추세츠(1만8천659명), 메릴랜드(1만6천272명), 미시간(3천980명), 캔자스(4천830명), 로드아일랜드(2천120명), 뉴멕시코(895명), 미시시피(762명), 알래스카(130명) 등 11개 주에 달했다.   반면 뉴욕, 캘리포니아, 일리노이와 루이지애나(-1만4천274명), 펜실베이니아(-1만408명), 오리건(-6천21명), 하와이(-4천261명), 웨스트버지니아(-3천964명) 등 8개 주는 인구가 감소했다.   지난 1년새 미 전역에서 절대 인구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텍사스(47만3천453명), 이어 플로리다(36만5천205명), 노스캐롤라이나(13만9천526명), 조지아(11만6천77명), 사우스캐롤라이나(9만600명) 등이었다.   인구 증가세가 가장 빠른 곳은 사우스캐롤라이나(1.7%), 플로리다, 텍사스(1.6%), 아이다호, 노스캐롤라이나(1.3%) 등으로 나타났다.   주별 인구 순위 1위는 캘리포니아(3천896만5천193명), 2위 텍사스(3천50만3천301명), 3위 플로리다(2천261만726명), 4위 뉴욕(1천957만1천216명), 5위 펜실베이니아(1천296만1천683명). 이어 6위 일리노이(1천254만9천689명), 7위 오하이오(1천178만5천935명), 8위 조지아(1천102만9천227명), 9위 노스캐롤라이나(1천83만5천491명), 10위 미시간(1천3만7천261명) 순이었다.     Kevin Rho 기자•연합뉴스인구 감소 인구 감소세 일리노이주 인구 인구 증가세

2023-12-21

올해 인구 160만명 증가…가주 7만여명 감소

인구 증가 추세가 사망률 감소와 이민 증가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센서스국이 지난 19일 공개한 2023 인구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인구는 지난 1년새 160만 명 이상 늘며 작년 대비 0.5% 증가한 3억3491만4895명으로 파악됐다.   인구조사국은 “출산율은 감소했으나 사망률이 9% 가량 줄고 이민이 2020년 이전부터 볼 수 없었던 수준으로 늘면서 2018년 이후 가장 큰 인구 증가세를 보였다”며 “과거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2021년 0.2%, 2022년 0.4%에 비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 주의 인구 성장률이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50개 주 가운데 42개 주와 워싱턴DC에서 인구 증가세가 목격됐다”고 부연했다.   반면 뉴욕(-10만1984명), 가주(-7만5423명), 일리노이(-3만2826명), 루이지애나(-1만4274명), 펜실베이니아(-1408명), 오리건(-6021명), 하와이(-4261명), 웨스트버지니아(-3964명) 등 8개 주는 인구가 감소했다.   지난 1년새 절대 인구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텍사스(47만3453명)였고 그 뒤를 이어 플로리다(36만5205명), 노스캐롤라이나(13만9526명), 조지아(11만677명), 사우스캐롤라이나(9만600명) 등의 순이었다.   특히 남부 지방의 인구 증가세가 뚜렷했다.   이들 지역은 지난 1년새 인구가 140만 명 이상 늘었는데 전체 인구 증가분의 87%를 차지한다.   인구조사국은 “남부는 팬데믹 기간에도 인구증가세를 유지한 유일한 지역”이라며 “지난 1년새 국내 이주를 통해 70만6266명, 이민을 통해 50만 명의 인구가 새로 유입됐다”고 전했다.   2022년 인구감소세에서 2023년 증가세로 돌아선 주는 뉴저지(3만24명), 오하이오(2만6238명), 미네소타(2만3615명), 매사추세츠(1만8659명), 메릴랜드(1만6272명), 미시간(3980명), 캔자스(4830명), 로드아일랜드(2120명), 뉴멕시코(895명), 미시시피(762명), 알래스카(130명) 등 11개 주에 달했다.   인구 증가세가 가장 가파른 곳은 사우스캐롤라이나(1.7%), 플로리다·텍사스(1.6%), 아이다호·노스캐롤라이나(1.3%) 등으로 나타났다.   주별 인구 순위 1위는 가주(3896만5193명), 2위 텍사스(3050만3301명), 3위 플로리다(2261만726명), 4위 뉴욕(1957만1216명), 5위 펜실베이니아(1296만1683명) 등이 5위권에 들었다.   이어 6위 일리노이(1254만9689명), 7위 오하이오(1178만5935명), 8위 조지아(1102만9227명), 9위 노스캐롤라이나(1083만5491명), 10위 미시간(1003만7261명) 등의 순이었다. 증가 인구 인구 증가세 인구 추정 인구 순위

2023-12-20

뉴욕주 인구감소율 전국서 가장 높아

뉴욕주 인구가 전국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인구 증가 추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뉴욕주는 상반되는 모습이다.     19일 센서스국이 발표한 ‘2023 인구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7월 1일부터 2023년 7월 1일 사이에 뉴욕주 인구는 10만1984명(0.52%) 감소했다.     직전해 뉴욕주 인구감소폭(18만명)보다는 감소폭이 줄었지만, 여전히 50개주 중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뉴욕주 다음으로는 루이지애나주(-1만4274명, -0.31%), 하와이주(-4261명, -0.30%), 일리노이주(-3만2826명, -0.26%) 등이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뉴욕주 인구 감소는 전국 인구가 반등하는 가운데 나타난 모습이라 더 주목된다.     같은 기간 전국 인구는 160만명(0.5%) 증가한 총 3억3491만4895명을 기록했다.     2021년(0.2%), 2022년(0.4%) 인구 증가율과 비교하면 증가율은 소폭 더 확대됐다.     뉴욕주 인구가 큰 폭으로 줄어든 탓에 전국 4개 지역(남부·중서부·서부·북동부)으로 나눠봐도 북동부(-0.1%) 지역만 유일한 인구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인구가 급격히 유입되는 남부 지역은 전국 인구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1.7%). 플로리다주(1.6%), 텍사스주(1.6%) 등이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이면서 남부 지역에서만 1년새 인구가 140만명 이상 늘었다.     전국 인구 증가폭의 87%를 차지한다. 지난해에 인구가 줄었던 뉴저지주와 오하이오주, 미네소타주 등도 증가세로 전환했다.   크리스티 와일더 센서스국 인구통계학자는 “이민 인구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코로나19 확산세가 잠잠해지면서 사망률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전국 인구 증가폭(160만명) 중 110만명 가량이 해외에서 유입된 이민자 인구인 것으로 파악됐다.    브루킹스연구소에 따르면, 앞서 마지막으로 이민자 인구가 110만명을 넘은 것은 2001년이었다.   한편 전국의 주별 인구 순위 1위는 캘리포니아로 3896만5193명이다. 2위는 텍사스주(3050만3301명), 3위 플로리다주(2261만726명) 등이었으며 뉴욕주(1957만1216명), 펜실베이니아주(1296만1683명) 등이 뒤를 이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인구감소율 뉴욕주 뉴욕주 인구감소율 뉴욕주 인구감소폭 전국 인구

2023-12-20

청년·저소득층 이탈로 뉴욕시 ‘고령화’ 우려

팬데믹 기간 뉴욕시 인구가 감소한 가운데 시니어와 고소득자 인구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집값과 인플레이션 등을 감당하지 못한 이들이 떠난 것이다. 인구 고령화에 대비해 헬스케어나 주거 지원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뉴욕주 감사원은 ‘뉴욕시 인구 이동 통계’를 발표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었던 2020년 4월~2022년 7월 간의 인구 추이를 분석한 보고서다.   통계에 따르면 이 기간 뉴욕시 인구는 5.3% 감소했다. 팬데믹 초반 1년간은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고소득자가 떠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듬해부터는 저소득 인구가 더 많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팬데믹으로 치솟은 물가를 감당할 수 없어서다.   이에 연소득 10만 달러 이상의 고소득자 인구는 2019~2021년 1% 감소했지만, 2021~2022년에는 오히려 4% 증가했다. 2022년 기준 이들 인구는 전체 39%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동시에 고령화가 이뤄졌다. 팬데믹 기간 뉴욕시에서 인구가 증가한 연령대는 시니어밖에 없다. 18세 미만 인구는 7.5% 감소했는데, 전국 평균인 1.5% 감소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18~44세 인구도 7.6% 줄어 빠르게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이 기간 3.3% 증가했다. 작년 기준 시니어 인구 비중은 전체의 16.7%다.   보고서는 “젊은 커플들이 뉴욕시 밖에서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키우기 시작한 것”이라며 “중산층 가족이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보육비 부담을 줄이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렌트는 계속 오르고, 주택 공급은 부족해 전반적인 생활 비용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시니어 그룹을 지속 관찰하고, 헬스케어나 주거 비용 보조 등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내다봤다.   인종별로는 백인 인구 감소가 두드러졌다. 2021년 뉴욕시를 떠난 인구의 42%가 백인이었을 정도다. 그 결과 전체 인구 중 비백인 비중은 2021년 58%에서 2022년 64%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통상 백인의 중위 소득이 다른 인종보다 많은 점을 고려하면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업에 종사할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하은 기자 lee.haeun@koreadailyny.com저소득층 고령화 뉴욕시 인구 인구 고령화 고소득자 인구

2023-12-18

65세 이상 노년층 일하는 인구 급증

지난해 미국의 중위 연령이 38.9세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가속화된 고령화 현상을 보여준 가운데, 일하는 노년층 인구도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미국인 5명 중 1명(19%)은 고용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35년 전인 1987년과 비교했을 때 두 배 가까이로 증가한 수치다.     고령 근로자의 숫자뿐 아니라 소득도 증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평균 22달러로, 1987년 13달러보다 10달러 가까이 증가했다.     이에 비해 젊은 근로자의 소득 증가폭은 그다지 크지 않다. 25~54세 근로자들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1987년 21달러에서 지난해 25달러로, 4달러 증가하는 데 그쳤다. 보고서는 노년층 노동 인구 증가의 원인에 대해 “현대 사회의 노인들은 과거보다 교육 수준이 높으며, 의학 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강을 유지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401k와 같은 은퇴 플랜이 구체화되고, 유연화된 근무 환경으로 많은 체력을 요구하는 직업들이 사라져가는 것도 원인 중 하나였다.     풀타임으로 일하는 고령 근로자도 늘었다. 1987년 고령 근로자 가운데 풀타임 노동자는 47%였지만, 지난해에는 62%였다.     인종별로 보면 백인 고령 근로자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올해 고령 근로자 4명 중 3명은 백인이였고, 흑인(10%), 히스패닉(9%), 아시안(5%)이 그 뒤를 이었다. 백인 고령 노동자가 88%, 흑인 7%, 히스패닉 2%였던 30년 전과 비교하면 일하는 노년층의 인종 다양성이 근소하게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성이 대부분이었던 과거에 비해 여성이 노년층 노동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었다. 올해 여성이 고령 근로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46%로, 1964년 33%, 1987년 40%에 비해 급증한 수치다. 한편 고령 노동자 가운데 남성의 비중은 1964년 67%에서 1987년 60%로, 또 올해 54%로 감소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오늘날 여성이 남성에 비해 학사 학위 이상 교육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노동통계국(BLS)은 노년층 근로자의 역할이 향후 10년 동안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노년층 인구 노년층 노동력 노년층 인구 고령 근로자

2023-12-14

시니어 세입자 56% 렌트비로 소득 30% 쓴다

시니어들의 주거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 하버드대가 발표한 '미국 시니어 주거 현황 보고서(Housing America's Older Adults 2023)'에 따르면  렌트비와 모기지 상환 등 주거비로 소득의 30% 이상을 지출하는 시니어 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보고서는 시니어 인구가 2022년 5800만명으로, 2012년 4300만명 대비 10년 새 3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 인구가 가파르게 늘고 있는데 2040년에는 80세 이상 가구 수가 1700만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시니어 인구는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주거 상황은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다. 보고서는 은퇴 후 소셜연금 등 은퇴 전보다 줄어든 수입으로 생활해야 하는 시니어들에게 최근 가파르게 상승하는 주거비는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 시니어들의 주거비 부담 현황과 저렴한 주거비로 생활할 수 있는 도시들을 알아봤다.       ▶소득 대비 주거비 현황   시니어들의 주거비 부담이 몇 년 새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소득은 크게 변동이 없는데 지난 몇 년 간 금리 상승, 렌트비 상승 등으로 주거비가 큰 폭 상승했기 때문. 통계에 의하면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는 시니어는 2016년 970만 명이었던데 비해 2021년엔 1100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시니어 세입자들 중 56%, 약 400만 가구가 소득의 30% 이상을 렌트비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니어 홈오너의 경우 26%가 소득의 30%를 대출금 상환에 지출하고 있었다. 또  지난해 65~79세 홈오너 40%가 모기지 대출금을 상환 중인 것으로 집계됐으며  80세 이상 주택소유자는 전체 주택소유자의 30% 이상을 차지했다.     시니어들이 최근 상승하는 주거비에 젊은층보다 더 큰 부담을 느끼는 이유는 주거비와 더불어 홈케어 비용도 동시에 부담해야 하기 때문.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97개 대도시 거주 75세 이상 시니어 5명 중 1명만이 주거비와 홈케어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75세 이상 시니어 80%는 주거비와 홈케어 비용을 동시 충당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80세 이상 시니어 중 절반 이상이 인지력, 청력, 시력, 거동 등에 있어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처럼 건강상의 문제를 겪는 시니어들은 반드시 지출해야 하는 홈케어 비용에 더해 주거비까지 상승하면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소셜연금에 의지해 생활해야 하는 시니어들에겐 주거비 부담이 더 크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니어 아파트와 같은 저렴한 공동 주택 공급이 더 늘어나야 한다고 노인문제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주거비 싼 도시   이처럼 주거비가 큰 폭 상승하면서 소득이 제한된 시니어들은 주거비가 저렴한 도시로 눈을 돌리고 있다. 최근 고뱅킹레이트(GOBankingRates)가 월 모기지 상환금이 1383달러를 넘지 않는, 시니어들이 거주하기 좋은 도시 리스트를 발표했다. 표참조〉 이 모기지 금액은 2021년 연방노동통계국이 집계한 전국 65세 이상의 평균 연소득인 5만5335달러의 30%를 넘기지 않는 금액이다.     이번 조사에서 주거비가 가장 저렴한 곳은 미시간 디트로이트으로 나타났다. 질로(Zillow)에 따르면 디트로이트의 일반적인 주택가격(The typical home value)은 6만3661달러로 20% 다운페이먼트로 1만2732달러를 지불하고 6.96% 금리로 30년 상환 시 월 상환금은 419달러다.     디트로이트의 재산세율은 1.54%로 다른 도시보다 좀 높은 편이지만 저렴한 모기지 상환금이 이를 보완해 준다. 2위는 앨라배마 버밍햄(Birmingham)이 차지했다. 버밍햄은 일반적인 집값이 9만9433달러로 이번 조사에서 디트로이트와 함께 집값이 유일하게 10만 달러 미만으로 집계된 도시다. 20% 다운시 대출 총액은 7만9546달러, 월 모기지 상환금은 561달러로 같은 주내 모빌(Mobile, 1049달러), 몽고메리(780달러)보다 훨씬 저렴하다. 또 재산세도 0.41%로 저렴한 편. 3위인 클리블랜드는 집값 10만1135달러, 월 모기지 상환액 668달러로 저렴한 집값이 장점이다. 그러나 연간 평균 강설량이 63.8인치로 같은 오하이오 소재 데이턴(Dayton)의 37.4인치와 비교해도 많은 양이어서 집 앞마당에 쌓인 눈을 치우는 것이 힘들다면 이사를 재고하는 것이 좋다. 4~6위는 오하이오 데이턴, 톨레도(Toledo), 아크론(Akron)이 차지했다. 이들 집값은 11만달러 중반대로  월 모기지 상환금은 700달러 초반대로 나타났다. 7위는 앨라배마 몽고메리, 8위는 테네시 멤피스(Memphis)가 차지했다. 인구수 62만 여명의 멤피스는 대도시지만 은퇴자를 위한 다양한 주택 옵션이 있어 시니어들이 거주하기 좋은 도시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집값은 14만8427달러이며 월 모기지 상환금은 875달러. 재산세율은 0.71%인데 이 도시는 개인소득세를 낼 필요가 없어 생활비 절약에 도움이 된다. 이주현 객원기자시니어 세입자 시니어 세입자들 현황 시니어들 시니어 인구

2023-12-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