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나이아가라…코로나에도 관광객 북적
하기환 화장의 캐나다·미 동부 밴 투어(1)
폭포 엄청난 수량·굉음에 압도
캐나다 입국시 백신 증명 제출
디젤차에 개솔린 주유 해프닝도
![20년만에 다시 찾은 나이아가라 폭포. 웅장함과 폭포수가 내는 굉음에 다시한번 압도됐다. [사진=하기환 회장 제공]](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201/22/fd78b242-95f5-429d-827f-c424a4aa3318.jpg)
20년만에 다시 찾은 나이아가라 폭포. 웅장함과 폭포수가 내는 굉음에 다시한번 압도됐다. [사진=하기환 회장 제공]
첫날 아침 7시에 뉴욕을 떠나서 4시간을 운전해 뉴욕과 나이아가라 중간지점인 베로나에 있는 터닝 스톤 리조트에 숙소를 정했다. 근처에 있는 아투뇨테 골프 클럽이라는 미국 100대 골프장 중 하나인 명문 코스에서 플레이하고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저녁 식사 후 휴식을 취했다.

미국 100대 골프장 중 하나인 아투뇨테 골프 클럽 전경.
연 매출만 3억불 이상이고 40만 스퀘어피트가 넘는 창고에 재고만 6000만불이 되는 회사를 운영하는 김 회장의 일행들이 화장실에 간 사이에 디젤차인 스프린터에 개솔린을 가득 채운 것이다. 차를 산 지 얼마 되지 않아 한 번도 본인이 직접 주유한 일이 없고 그동안 직원들이 도와줬었다고 한다.
한 주유기에 디젤과 개솔린이 같이 붙어 있는데 펌프를 잘 못 보고 개솔린을 가득 채웠으니 난리가 난 것이다. 김 회장은 개솔린을 넣으면서 ‘디젤도 87, 89, 91 등 3종류 등급이 있나’하고 의아해하며 주유했다고 한다.

주유 실수로 수리를 위해 토잉카로 견인 중인 스프린터 밴.
일단 차 밑에 들어가 밸브를 열고 모든 개솔린을 뽑더니 디젤유를 넣고 다시 또 빼내고 하면서 몇번의 정유 작업을 거쳤다. 3시간이나 걸리는 작업 끝에 결국 모든 개솔린이 제거된 후 시동을 걸었더니 다행히도 제대로 작동했다. 순간의 실수로 5시간을 손해 보고 캐나다 국경을 넘어 나이아가라 폭포로 향했다.

우의를 입고 관람하는 여행객들을 보면 폭포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나이아가라 폭포를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하 회장 부부.
20년 전 방문했던 나이아가라폴스와는 달리 엄청나게 커졌고 마치 디즈니랜드같이 어린이 놀이터로 도시가 변했다. 폭포는 하루만 보면 더는 볼 것이 없는데 그 외 도시 전체 곳곳에 디즈니랜드처럼 다양한 놀이기구를 설치해 관광객이 며칠 동안 지루하지 않게 즐기고 갈 수 있게 한 것 같았다.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마련돼 있는 나이아가라 폴스.
미국 쪽 섬은 큰 편이고 캐나다 쪽은 작은 섬이 많아 작은 섬에 집 한 채가 들어서 있는 것도 있었다. 참 아름다운 호수지만 그 속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은 전기, 상하수도, 난방 연료 등 밖에서 보급을 받아야 돼 생활하는데 쉽지는 않을 것 같다. 최근에 자연보호법이 강화돼 집을 짓는 것이 무척 힘들어졌다고 한다.〈계속〉

주택이 들어서 있는 사우전드 아일랜드의 작은 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