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제값 못 하는 대학 졸업장…52%, 1년 뒤도 불완전 취업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국 대학 진학률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4년제 대학 졸업생 절반 이상이 졸업 후 1년 내에 불완전한 취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스트라다인스티튜트와 버닝글라스인스티튜트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 사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들 가운데 52%는 졸업 후 1년이 지나도 ‘불완전한 취업 상태(4년제 대학 학위가 필요한 직종에 취업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이들 중 45%는 졸업 후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학사 학위가 필요하지 않은 직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안 졸업생은 졸업 1년 후 불완전 고용 비율이 47%로 가장 낮았으며, 백인(53%), 히스패닉(57%), 흑인(60%)이 그 뒤를 이었다.       전공별로 보면 이공계와 교육·보건 분야 졸업생들의 불완전 고용률은 37% 미만으로 비교적 낮았으며, 일반 경영이나 공공 안전 등의 학위를 취득한 졸업생은 더 높은 수준(57%)의 불완전 취업 상태에 직면했다. 컴퓨터과학(36%)·공학(26%)·수학(35%) 학사 학위 취득자는 불완전 고용률이 매우 낮은 반면, 생명과학 학위를 취득한 졸업생은 그 비율이 47%로 비교적 높았다. 윤지혜 기자졸업장 불완전 불완전 고용률 불완전 취업 대학 졸업장

2024-02-22

대학졸업장 제값 못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국 대학 진학률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4년제 대학 졸업생 절반 이상이 졸업 후 1년 내에 불완전한 취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스트라다인스티튜트와 버닝글라스인스티튜트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 사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들 가운데 52%는 졸업 후 1년이 지나도 ‘불완전한 취업 상태(4년제 대학 학위가 필요한 직종에 취업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이들 중 45%는 졸업 후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학사 학위가 필요하지 않은 직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종별 차이도 있었다. 아시안 졸업생들의 졸업 1년 후 불완전 고용 비율은 47%로 가장 낮았으며, 백인(53%), 히스패닉(57%), 흑인(60%)이 그 뒤를 이었다.       전공별로 보면 이공계와 교육·보건 분야 졸업생들의 불완전 고용률은 37% 미만으로 비교적 낮았으며, 일반 경영이나 공공 안전 등의 학위를 취득한 졸업생은 더 높은 수준(57%)의 불완전 취업 상태에 직면했다. 다만 비교적 안정적으로 취업하고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전공 졸업자 중에서도 분야별 취업 상태의 차이는 있었다. 컴퓨터과학(36%)·공학(26%)·수학(35%) 학사 학위 취득자는 불완전 고용률이 매우 낮은 반면, 생명과학 학위를 취득한 졸업생은 그 비율이 47%로 비교적 높았다.   분석에 따르면 4년제 대학 학위를 요구하는 수준의 직장을 다니기 위해서는 졸업 후 첫 직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사 학위가 필요한 직장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졸업생 79%는 졸업 후 5년이 지나도 같은 수준의 직업을 유지했으나, 불완전 취업 상태로 커리어를 시작한 졸업생의 73%는 대학 졸업 후 10년이 지나도 불완전 고용 상태인 것으로 석됐다.     소득 수준의 차이도 존재했다. 대학 학위가 필요한 직장에 취업한 졸업생은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졸업장 소지자에 비해 약 88% 많은 수입을 올리는 반면, 불완전 취업자는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약 25% 많은 수입을 올리는 데 그쳤다.   윤지혜 기자 yoon.jihye@koreadailyny.com대학졸업장 졸업생 대학졸업장 제값 대학 졸업생 불완전 고용률

2024-02-22

뉴욕 일원 남녀 고용률 차이 줄었다

남녀 고용 격차가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낮아졌다. 전국적으로 격차가 줄어든 가운데 뉴욕·뉴저지 북부·커네티컷 남서부 등에서 눈에 띄게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된 영향이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최근 발표한 ‘공정 성장 지표’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 남녀 고용률 차이는 약 11%로 집계됐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초의 13%보다 낮아졌다. 같은 기간 소득 격차 역시 줄긴 했지만, 여전히 여성이 남성보다 18% 적게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연은 관할 지역인 뉴욕·뉴저지 북부·커네티컷 남서부의 고용 격차는 약 9%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팬데믹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소득 격차는 15~20% 범위에 머물러 팬데믹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 등 원격근무가 활성화된 영향이다.   뉴욕연은은 “여성, 특히 교육 수준이 높은 여성은 이전에 비해 재택근무를 활용한 노동 참여가 증가했고 이에 소득 또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테크·금융 등 많은 업계가 직원들의 오피스 복귀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들이 재택근무를 종료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최근 감소한 고용격차가 다시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크레인스뉴욕은 “뉴욕 일원엔 집에서 일할 수 있는 ‘화이트칼라’ 여성이 많아 고용 격차가 더 빠르게 감소할 수 있었다”며 “최근 월스트리트의 많은 기업이 직원들의 복귀를 요구하는 상황이라 고용 격차가 후퇴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경찰 등 공공 부문에선 여전히 여성 채용이 부진하다는 지적도 있다. 뉴저지주 경찰이 작년 고용한 여성 경찰관은 총 174명으로 전체 5.6%에 불과하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18년 기준 전국 여성 경찰관 채용률은 전체 6.9%인데, 이를 밑도는 것이다.   이를 두고 성차별이라는 소송이 제기돼 현재 법무부에서 조사 중이다.   뉴욕타임스(NYT)는 “경찰들은 관련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조차 금지된다”며 “소송을 제기한 경찰들은 최근 은퇴했기 때문에 문제를 지적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하은 기자 lee.haeun@koreadailyny.com고용률 일원 뉴욕 일원엔 여성 경찰관 뉴욕 연방준비은행

2023-12-04

[분수대] 과로노인

‘노인 자신이 하류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현역 시절과 똑같이 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죽기 직전까지 일해야 하는 사회가 기다리고 있다.’   후지타 다카노리(藤田孝典)가 쓴 책 『과로노인』의 한 대목이다. 노인 복지 전문가인 그는 2015년 발간한 『하류노인이 온다』로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던졌다. 돈도, 기댈 사람도 없는 노인이 넘쳐나는 현실을 직시한 책으로 그해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2016년 펴낸 『과로노인』은 후속편 격이다.   후지타는 이 책에서 일본 고령자 취업률이 다른 선진국보다 유독 높다며 ‘일할 의욕이 높아서’가 아니라 ‘일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5년 통계를 근거로 들었다.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률이 프랑스·독일·영국은 한 자릿수인데, 일본은 20.1%라며 일본 고령자가 ‘과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진짜 과로하고 있는 건 한국 노인이다. 2015년에도 한국 65세 이상 고용률은 30.6%로 이미 일본보다 한참 위였다. 이후 한국 상황은 더 악화했다. 2015년 한국의 노인 고용률은 아이슬란드에 이어 2위였지만, 2020년 이후 아이슬란드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15% 안팎인 OECD 평균의 2배다. 최근 상황은 더 심각하다.   지난주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65세 이상 고용률은 38%였다. 매번 최고 기록을 경신하는 중이다. OECD 1위를 지키고 있는 노인 빈곤율에 이어 노인 고용률까지, 한국은 과로노인 2관왕 국가다.   한국 노인이 유독 게을러서, 계획 없이 살아서가 아니다. 1970~90년대 한국이 고도 성장할 수 있었던 건 이전 세대의 성실성 때문이다. 낮은 임금을 받고도 질 높은 노동력을 제공하며 세계 최장의 근로 시간을 자랑했던 그들이다.   다시 『과로노인』으로 돌아가면 저자는 가족 부양을 원칙으로 하는 사회 통념과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복지제도가 가장 큰 문제라고 했다. 대수술이 필요하지만 현 정부 역시 각종 연금·복지제도 개혁의 첫발도 떼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길은 하나다. 과로청년이 과로중년이 되고 과로노인이 되는 수밖에. 조현숙 / 한국 경제정책팀 차장분수대 과로노인 노인 고용률 한국 노인 노인 빈곤율

2022-10-19

미국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 순위

 ‘미국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 조사에서 콜로라도 주내 3개 도시가 중상위권을 기록했다. 개인금융 정보사이트 월렛허브(WalletHub)가 최근 미국내 182개 주요 도시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가장 행복한 도시 순위에 따르면 오로라 47위, 덴버 57위, 콜로라도 스프링스 64위 등 콜로라도 주내 주요 도시 3곳이 중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월렛허브는 ▲정신 및 육체적 건강 ▲개인소득 및 고용률 ▲지역사회 및 환경 등 3개 부문으로 나눠 미국내 주요 도시별 행복도를 조사해 전국 순위를 매겼다. 총점 60.15점을 얻어 전국 42위에 오른 오로라는 정신 및 육체적 건강 부문은 19위, 개인소득 및 고용률 부문은 154위, 지역사회 및 환경 부문은 69위를 각각 기록했다.덴버는 총점 58.41점으로 전국 57위, 정신 및 육체적 건강 부문은 16위, 개인소득 및 고용률 부문은 134위, 지역사회 및 환경 부문은 153위를 각각 차지했고 콜로라도 스프링스는 전국 64위(57.74점), 정신 및 육체적 건강 부문은 63위, 개인소득 및 고용률 부문은 97위, 지역사회 및 환경 부문은 59위에 각각 랭크됐다. 이번 조사에서 북가주 샌프란시스코 인근 알라메다 카운티에 위치한 프리몬트가 총점 77.13점을 획득해 미국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라는 영예를 안았다. 프리몬트는 ▲정신 및 육체적 건강 부문에서 1위 ▲개인소득 및 고용률에서 46위 ▲지역사회 및 환경에서 2위에 각각 올랐다. 전국 2위는 메릴랜드주 콜럼비아(71.64점), 3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71.15점), 4위 캘리포니아주 샌호세(71점), 5위 캘리포니아주 어바인(70.38점), 6위 위스칸신주 매디슨(68.10점), 7위 워신턴주 시애틀(67.67점), 8위 캔사스주 올랜드 파크(67.46점), 9위 캘리포니아주 헌팅턴 비치(66.43점), 10위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65.82점)였다.특히 전국 톱 10 도시 가운데 6곳이 캘리포니아주에 소재해 눈길을 끌었다. 반면, 이번 조사에서 전국 꼴찌인 182위의 불명예는 총점이 32.31점에 그친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게 돌아갔다. 디트로이트는 정신 및 육체적 건강과 소득 및 고용 부문에서는 전국 179위, 지역사회와 환경 부문은 177위로 조사돼 세 분야 모두 최하위권에 머물렀다.이어 미시시피주 걸프포트(총점 35.54점/181위), 테네시주 멤피스(34.86점/180위), 웨스트 버지니아주 헌팅턴(35.53점/179위), 앨라배마주 몽고매리(35.54점/178위)의 순으로 가장 불행한 도시 톱 5에 속했다. 한편, 이밖에 주요 도시들의 순위는 로스앤젤레스(54위/58.70점), 시카고(56위/58.43점), 뉴욕(58위/58.35점), 워싱턴DC(85위/55.05점), 애틀란타(93위/54.27점), 댈러스(111위/51.50점), 라스베가스(133위/48.61점) 등이다.   이은혜 기자미국 행복 도시 순위 고용률 부문 환경 부문

2022-03-18

캐나다 | 전국적으로 고용 대유행 이전으로 회복세

 전국의 노동시장이 점차 코로나19 대유행 위기 상황을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며 10월의 전국 고용률은 상승하고, 실업률은 하락했다.       연방통계청이 5일 발표한 10월 전국 노동시장 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실업률은 전달에 비해 0.2% 포인트 하락한 6.7%로 나타났다.         BC주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5.6%를 기록했다. 작년 10월 비교 했을 때 BC주의 실업률은 2.4% 포인트가 하락했다.   BC주보다 실업률이 낮은 주는 5.3%의 마니토바주 하나 밖에 없고, 퀘벡주가 같은 실업률을 보였다.       전국의 고용은 전달에 비해 0.2% 증가하면서 총 1916만 2000명을 기록했다. 이 숫자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직전인 작년 2월의 1913만 300명보다 많은 수이다.       하지만 노동시간만 두고 볼 때 대유행 이전보다 0.6%가 감소했다. 대체적으로 고용 인구는 늘어났지만, 시간까지는 늘어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BC주의 고용인구 비율은 61.5%로 전달에 비해 0.1% 포인트 늘어났다. 전체 노동인구 285만 2300명 중에 고용 상태인 인구가 269만 2300명이었다. 이중 풀타임 고용이 210만 9900명, 그리고 파트타임이 58만 2400명이다.       전국적으로 인종별 고용 상황에서 라틴 아메리카 노동자는 5.2% 포인트가 증가해 75.7%의 고용률을 기록했다. 필리핀계도 2.3% 포인트가 높아진 80.2%를 보였다. 반면에 흑인은 3% 포인트가 하락해 69%를 보였다. 전통적인 유럽계 백인은 큰 변화가 없이 70.9%의 고용률을 보였다.       대유행이 시작된 작년에 최근 이민자 수가 줄었다가 올해 다시 그 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캐나다 온 지 5년 이내의 이민자 중 15세 이상 인구는 1.8%가 2년 전보다 높았다. 그런데 이들의 고용증가 인구는 지난 2년간 11%가 늘어났다.       이로써 최근 이민자의 고용률은 2019년 10월에 비해 5.9% 포인트가 높아진 71%를 기록했다. 반면에 캐나다 정착한 지 5년 이상 된 이민자들의 고용률은 59.6%로 2019년 10월에 비해 0.6% 포인트 하락했다. 캐나다 출생자는 2% 포인트가 하락한 61%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자기고용이 가장 큰 타격을 입으면서 2007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자기고용자 수를 보였다. 작년 2월 수준에 비해 9.7%나 감소한 수치다.       이런 고용시장의 어려움 속에서도 임금은 지난 2년간 5.1%가 상승했다. 그 이유 중의 하나가 저임금 저숙련 노동자들이 가장 먼저 코로나19 영향으로 노동시장에서 퇴출 되면서 상대적으로 고용 상태의 노동자 임금이 올라갔기 때문이다.       2019년 10월의 평균 임금에 비해 올 10월 평균 임금이 고용 구성을 감안할 경우 5.1%로 1.43달러 상승한 29.49달러가 됐다. 고용 구성을 감안하지 않는다면 더 높아져 7.5% 즉 2.12달러가 오른 30.26달러가 됐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대유행 전국 고용률 고용 대유행 고용증가 인구

2021-11-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