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시론] 사라져야 할 단어 ‘혼혈아’
세상이 좋은 쪽으로 바뀌는지 그 반대인지 알 길은 없지만 타인을 배려하는 면에서만은 좋은 쪽으로 바뀐다고 본다. 타인에 대한 배려가 굉장히 둔감하던 시절, 우린 가사도우미를 식모·가정부라고, 공장노동자를 공돌이·공순이라고 불렀다. 이들 단어 속엔 멸시와 냉대의 의미가 담겨 있다. 다행히 세상은 이에 대해 자정 작업을 해왔고 이제 그 단어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몇몇 단어들은 아직도 생각 없이 사용되고 있고 놀랍게도 일부 언론조차 버젓이 쓰고 있다. 얼마 전 미주지역의 한 유명 인사를 소개하는 한국 언론의 기사를 읽던 중 혼혈아라는 표현이 눈에 들어왔다. 혼혈아? 이 세상 사람들은 모두 피와 피가 섞여서 태어나는 게 아니던가? ‘배달의 겨레’ 한민족의 피는 빨간색이고 타인종, 타민족의 피는 다른 색이라서 나온 말인가? 혼혈아라는 표현은 한국전쟁 이후 한국에 온 미군과 한국 여성 사이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늘면서 많이 쓰이게 된 말이 아닌가 추측된다. 글쎄 몽골의 침입이나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수 많은 국난 때마다 거쳐 간 외국 군인들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도 당시 혼혈아라고 불렀는지는 모르겠다. 혼혈아라는 단어의 의미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우리에게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그런데 굳이 이런 단어를 사용해야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듣기 거북한 혼혈아라는 말 대신 그냥 한인 또는 한국계라고 불러도 될 일이다. 혼혈아와 함께 우리가 귀가 따갑게 듣고 자라난 단어가 양공주, 국제결혼이다. 이것도 멸시와 냉대가 가득한 단어들이다. 다행히 요즘 양공주라는 말은 거의 사라졌다. 그런데 한인들 가운데서도 한인이 타인종과 결혼하면 이를 국제결혼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아직도 있어 안타깝다. 필자는 나름 민족주의 역사우파라고 생각하지만 배달겨레 한민족은 결코 하나의 민족 집단이 아니라는 역사적 현실을 받아들인다. 우리 한민족은 시작부터 동북아, 만주, 시베리아, 몽골지역의 여러 유목민족과 대만, 동남아쪽에서 한반도로 온 민족들이 뒤섞이면서 출발했다. 청동기 고대국가시대를 거쳐 중세, 근세, 현대로 이어져 오면서 수많은 전쟁이 있었고 외국과의 교류도 있었다. 고려시대 후기 고려왕실은 사실상 ‘몽골반, 고려반’의 피가 흐르고 있었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지금으로치면 미주 한인동포 6세쯤 되는데 고려말을 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높고 심지어 이성계가 고려인이 아니고 여진인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이성계가 지휘하던 가별초엔 고려인 외에도 몽골, 여진인들이 많았고 이들은 이성계를 따라 조선건국에 참여했고 조선에 정착했다. 임진왜란 때 조선 땅에 들어왔던 일본, 명나라 군인이 족히 30만명은 되고, 한국전쟁 이후에도 미군을 비롯한 많은 외국군이 들어왔다. 체모가 많고 콧대가 높은 필자는 고려에 들어왔던 몽골군 소속 터키계 병사의 후손일 수 있다는 우스갯소리도 듣는다. 한인 이민역사가 깊어지면서 가족 중 타인종이나 외모가 다른 구성원이 있는 한인 가족이 흔해지고 있다. 그들의 자녀는 혼혈아가 아니고 그냥 한인, 한국계다. 새해부터는 혼혈아란 말이 사라지길 바란다. 김윤상 / 변호사중앙시론 혼혈아 단어 배달겨레 한민족 이들 단어 미주 한인동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