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236도로 ‘한국이름 넣기’ 공청회, 쌍방 격론 펼쳐져

애난데일의 일부 도로에 한국 관련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 공청회가 열리고 있지만,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 애난데일의 236도로(리틀 리버 턴파이크) 중 허머 로드부터 에버그린 레인까지 약 1.4마일 구간의 도로에 한국 관련 이름을 추진해 왔으나, 주민들은 200년 이상 된 애난데일의 역사를 외면하고 왜 하필 한국 이름을 넣으냐고 항의했다.   19일 메이슨 디스트릭 정부청사에서 안드레스 히메네즈 수퍼바이저가 직접 주관한 공청회에 10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해 각자 찬반 의사를 개진했다.     히메네즈 수퍼바이저는 발언권을 요청하는 주민들과 실랑이를 벌일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한 주민은 “85년 동안 애난데일에 살아왔는데 이 곳에 한국관련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전했다.   한 여성은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5페이지 짜리 문건을 직접 작성해 수십여 부를 배포하기도 했다.   정부 측은 주민들의 반발을 가라앉히기 위해 “주소 등의 변경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명예도로 명칭을 부여하는 것일 뿐”이라고 설득했으나, 공청회 참석자 대부분은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한국 관련 이름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때에는 야유가 나오기도 했다.   한 한인은 “애난데일의 수백년 역사와 수십년 살아온 주민들을 존중하지만, 우리를 ‘코리안-어메리칸’이 아닌 ‘코리안’으로 지칭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오후 6시부터 시작해 한 시간 넘게 진행되는 동안 갈수록 과격한 의사표현이 속출했으며, 특정 인종을 비하하는 듯한 발언도 나와 좌중이 술렁이기도 했다.       공청회가 끝나고 기자와 접촉한 한 백인은 “한인들이 과거 민주당 정권에서 페어팩스 카운티 정부를 구슬려 이같은 일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금은 도날드 트럼프가 대통령”이라며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었다.   한 한인은 “이미 결정된 것이나 다름없는 사안이기 때문에 반대가 심하더라도 결국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황원균 전 민주평통 부의장, 김인철 재향군인회 미동부지회 회장, 스티브 리 워싱턴턴한인연합회장 등 한인 20여명도 참석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이름 공청회 공청회 쌍방 공청회 참석자 한국관련 명칭

2025-02-20

236도로 ‘한국이름 넣기’ 공청회 쌍방 격론 펼쳐져

버지니아 애난데일의 일부 도로에 한국 관련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 공청회가 열리고 있지만,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 애난데일의 236도로(리틀 리버 턴파이크) 중 허머 로드부터 에버그린 레인까지 약 1.4마일 구간의 도로에 한국 관련 이름을 추진해 왔으나, 주민들은 200년 이상 된 애난데일의 역사를 외면하고 왜 하필 한국 이름을 넣으냐고 항의했다.     19일 메이슨 디스트릭 정부청사에서 안드레스 히메네즈 수퍼바이저가 직접 주관한 공청회에 10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해 각자 찬반 의사를 개진했다.   히메네즈 수퍼바이저는 발언권을 요청하는 주민들과 실랑이를 벌일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한 주민은 “85년 동안 애난데일에 살아왔는데 이 곳에 한국관련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전했다.   한 여성은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5페이지 짜리 문건을 직접 작성해 수십여 부를 배포하기도 했다.   정부 측은 주민들의 반발을 가라앉히기 위해 “주소 등의 변경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명예도로 명칭을 부여하는 것일 뿐”이라고 설득했으나, 공청회 참석자 대부분은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한국 관련 이름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때에는 야유가 나오기도 했다.   한 한인은 “애난데일의 수백년 역사와 수십년 살아온 주민들을 존중하지만, 우리를 ‘코리안-어메리칸’이 아닌 ‘코리안’으로 지칭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오후 6시부터 시작해 한 시간 넘게 진행되는 동안 갈수록 과격한 의사표현이 속출했으며, 특정 인종을 비하하는 듯한 발언도 나와 좌중이 술렁이기도 했다.       공청회가 끝나고 기자와 접촉한 한 백인은 “한인들이 과거 민주당 정권에서 페어팩스 카운티 정부를 구슬려 이같은 일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금은 도날드 트럼프가 대통령”이라며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었다.   한 한인은 “이미 결정된 것이나 다름없는 사안이기 때문에 반대가 심하더라도 결국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황원균 전 민주평통 부의장, 김인철 재향군인회 미동부지회 회장, 스티브 리 워싱턴턴한인연합회장 등 한인 20여명도 참석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이름 공청회 공청회 쌍방 공청회 참석자 한국관련 명칭

2025-02-20

윤 대통령 의회연설…‘자유’ 46번 언급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워싱턴DC 연방의회를 방문, ‘자유민주주의’ 가치에 방점을 찍은 연설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한미동맹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꿰는 키워드로 ‘자유’를 제시했다. 43분간 이어진 연설에서 ‘자유’를 46번이나 언급했다. 역대 한국 대통령의 의회 연설 중 가장 많이 자유를 언급한 연설로, 윤 대통령의 취임 후 연설 중에서도 최다 언급이다. 동맹(27회), 북한(21회), 민주주의(19회) 등도 반복해서 말했다.     연방의원들은 43분 간의 연설 중 56번의 박수로 화답했고, 기립박수는 23번 나왔다. 특히 연방의원들은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발언이 나올 때마다 환호했다. 기립박수가 나올 때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도 함께 일어나 윤 대통령에게 박수를 보냈다.   윤 대통령은 특히 한미 양국 문화 콘텐트를 언급할 때에는 “BTS는 저보다 먼저 백악관을 찾았지만, 저는 BTS보다 먼저 의회에 왔다”며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할리우드 영화 ‘탑건 매버릭’과 ‘미션 임파서블’을 좋아한다고 말할 때는 장내에서 웃음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연설 도중 원주 324 고지전에 참전, 오른쪽 팔과 다리를 잃은 고 윌리엄 웨버 대령의 손녀 데인 웨버를 지목해 박수를 보냈고, 앤디 김(민주·뉴저지), 영 김(공화·캘리포니아), 메릴린 스트릭랜드(한국이름 순자·민주·워싱턴), 미셸 박 스틸(한국이름 박은주·공화·캘리포니아) 등 한인 의원들도 거명했다.   한미 경제협력을 언급할 때에는 미국 내 공장을 건설한 삼성전자·현대차·SK실트론 CSS 등을 거론했고, 공장이 설립된 텍사스·조지아·미시간주 지역 의원을 지목해 감사를 표했다.   역대 한국 대통령 중 상·하원 합동 연설에는 이승만,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 등이 나선 바 있다. 이승만, 노태우, 김대중, 박근혜 전 대통령 등에 이어 윤 대통령도 영어로 연설했다. 한편 매카시 하원의장은 이날 트위터에서 “오늘 연설은 한미 동맹을 한층 강화하는 역사적 한 걸음”이라고 평가했다.       >> 관계기사 한국판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의회연설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매카시 하원의장 한국이름 박은주

2023-04-27

바이든 한국이름은 '배지성'

  ■  「   」   조 바이든 대통령이 25일 ''배지성(裵地星)''이라는 한국식 이름을 얻었다.   미국을 방문 중인 한미동맹재단 대표단에 따르면 방미에 동행한 한미동맹친선협회 우현의 회장은 이날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과 워싱턴DC 한 호텔에서 가진 면담 때 바이든 대통령의 한국식 이름을 담은 액자를 전달했다.   우 회장은 바이든 대통령의 성을 배씨로 하고 본관은 미군기지가 있는 평택으로 정했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평택 배씨''의 일원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름인 지성은 하늘과 땅을 하나로 잇는다는 의미인 ''지구의 별''을 뜻하는데 재임 기간 전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해 후대까지 이름이 오르내리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반도 평화를 수호한 것처럼 세계 평화 유지에 더 힘써줄 것을 바라는 뜻으로 작명 액자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미동맹친선협회는 과거에도 미국의 대통령 등 유력 인사들의 한국식 이름을 지어줬다. 협회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게 오한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는 우대일이라는 한국식 작명을 했다.   또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에게는 한휘숙 로버트 게이츠 전 국방장관에게는 계의치라는 이름을 만들었다.한국이름 배지성 한미동맹친선협회 우현 한국식 이름 한국식 작명

2022-07-25

한국 스킨케어 제품으로 연매출 1억불

미국에서 K-뷰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스킨케어 제품으로 급성장 중인 업체가 있어 주목된다.     경제전문매체 CNBC는 최근 자본금 5만 달러로 출발한 ‘글로우레시피(Glow Recipe)’가 8년 만에 연매출 1억 달러 기업으로 급성장했다고 소개했다.     뉴욕에 본사가 있는 글로우레시피는 2014년 회사 동료였던 새라 리(한국이름 이승현)와 크리스틴 장(한국이름 장미)씨가 창업했다.     장 대표와 이 대표는 프랑스 화장품 업체인 로레알 한국지사에서 함께 일하다 친구가 된 사이. 이후 뉴욕지사로 함께 발령을 받았다.     이 대표와 장 대표는 글로벌 마케팅 업무를 하며 “트렌디한 한국 스킨케어 제품들이 각광을 받는 것이 보였다”며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둘은 과감하게 회사를 그만두고 2014년 창업을 했다.     창업 직후에는 한국 소규모 화장품 브랜드들의 미국 진출을 도왔다. 그리고 3년 후, 자사 스킨케어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대표는 “미국 소비자들은 피부 관리에 많은 시간과 돈을 들이지 않는다”며 “피부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좋은 스킨케어 제품을 소개해주고 싶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글로우레시피’라는 회사 이름도 한국의 스파나 피부과에서 볼 수 있는 ‘물광피부’ 또는 ‘꿀광피부’에서 영감을 얻어 ‘광이 나는 피부를 위한 브랜드’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어려움도 많았다. 워낙 다양한 인종에  피부 타입도 달라 제품 출시 전 더 신중하고 다양한 테스트가 필요했다고 회고했다.   첫 자사 제품으로 선보인 것이 ‘수박 슬리핑 마스크’. 수박은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다는 것이 주목했다.     제품은 대박을 터트렸고 글로우레시피의 대표 제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이어 딸기와 아보카도 등 과일 성분이 들어간 피부 컬렉션이 출시됐다.   장 대표는 “한국의 스킨케어 제품을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소개할 수 있어 기쁘고 영광”이라며 “타인종 고객들이 한국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애용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예진 기자스킨케어 연매출 스킨케어 제품 한국 스킨케어 한국이름 이승현

2022-06-02

이름과 트러스트 상속계획 [ASK미국 유산 상속법-박유진 변호사]

▶문= 상속계획상에 나온 이름과 실제 이름이 다른 경우 어떻게 하나요?       ▶답=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에 이민 온 미국교포들의 경우 부모님이 지어주신 이름과 다른 이름으로 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때 상속계획상에 나온 이름과 실제 신분증명서에 나오는 이름이 다른 경우가 꽤 발생한다. 예를 들어 김철수씨가 Chul Su Kim으로 The Chul Su Kim Living Trust를 만들었다면 실제 정식명칭은 Chul Su Kim Trustee of the Chul Su Kim Living Trust가 된다. 그 후 시민권을 획득하며 Charles Kim으로 이름을 바꾸었다면 재산의 명의를 되도록 Charles Kim 이름이 반영되도록 명의교정을 해야 한다. 이때 새 이름으로 트러스트를 새로 만들거나 이름만 교정해서 기존의 트러스트를 그대로 쓸 수 있다. 예로 들면 Charles Kim Trustee of the Chul Su Kim Living Trust가 되는 것이다.   예전 이름을 그대로 둔 재산이 있는 상태에서 세상을 떠난 경우 사망증명서 발급시 예전 이름에 대한 언급을 꼭 해야한다. 한국에 재산이 있다면 해당 재산의 이름 또한 미국에서 발행하는 사망통지서에 명시되어야 사망통지서 번역본에 예전 이름을 반영해서 한국상속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자녀의 이름이 바뀌었다면 자녀의 바뀐 이름도 트러스트에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다. 딸이라서 사위의 성을 따라서 이름을 바꾸는 경우는 그나마 크게 걱정을 안 해도 된다. 하지만 예전 한국이름에서 아예 미국이름으로 바꾸었다면 미국이름을 주로 넣고 오히려 한국 이름을 also known as로 넣는 것이 좋다.   주민 발의안 19에 의하면 부모가 자녀에게 살고 있는 집을 판매/증여/상속할 시 해당 자녀도 그 집에 들어와서 살아야 재산세가 올라가지 않는다. 이때 집을 상속받게 되는 자녀의 이름을 보고자 (즉 부모 자녀 간의 증명을 위해) 재산세 당국에서 트러스트 복사본을 보여달라고 요청한다. 자녀의 현 이름(즉 부동산 명의에 새 주인으로 올라올 이름)과 트러스트에 명시된 이름이 너무 다르다면 결국 동일인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추가로 또 보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의: (213)380-9010                   (714)523-9010 박유진 변호사미국 트러스트 트러스트 상속계획 예전 한국이름 예전 이름

2021-12-22

친모 만남 위해 한국어 배우는 입양한인 뉴욕 거주 문정현씨 "엄마 고향은 거제"

  "저를 낳아준 어머니를 미워하지 않아요. 오히려 제가 잘되라고 미국에 입양 보낸 어머니의 용기에 감사를 드립니다."   친모와의 만남을 고대하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미국 입양 한인 사라 잔(한국이름 문정현·37·사진) 씨가 친모를 찾고 있다.   22일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에 따르면 사라 잔 씨는 1984년 11월 14일 경남 통영시(당시 충무시) 북신동 일신조산소에서 태어나 다음날 입양기관인 동방사회복지회에 입양 의뢰됐다.   그의 친모는 아이를 낳은 뒤 일산조산소 원장에게 아이의 미래를 위해 입양을 부탁했다고 한다. 친모는 거제도 출신의 22살 미혼모였고, 공장 노동자였다. 부친에 대해서는 어떠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다.   문 씨는 한 달 뒤인 12월 21일 위탁가정에 들어갔고, 이듬해 4월 6일 미국에 입양됐다.     현재 뉴욕주 버펄로에서 거주하는 그는 특수교육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저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 있습니다. 가장 좋아하는 음악 장르는 K-팝이며, 특히 방탄소년단(BTS), 5인조 밴드 '데이식스(DAY6)', 에릭 남 등의 노래를 좋아합니다."   2019년 여름 '미 앤 코리아'(Me and Korea)라는 입양인 단체를 통해 한국을 처음 방문한 그는 동방사회복지회, 아동권리보장원 등을 방문, 친모를 찾기 위해 관련 정보를 문의했다. 부모는 물론 친척들을 찾아 누구를 닮았는지 확인하고, 유전질환 같은 의료정보도 물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는 "한국의 친척들과 소통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라며 현재 한국어를 배우면서 한국인 친구들도 열심히 사귀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입양한인 한국어 입양한인 뉴욕 현재 한국어 한국이름 문정현

2021-12-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