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메트로 애틀랜타 렌트비 하락세...테넌트들 '숨통'

조지아주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지난 3월 주택 렌트비가 작년 대비 하락하며 테넌트들의 숨통을 틔워주고 있다.   지난달 30일 발표된 부동산전문업체 리얼터닷컴의 렌트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3월 기준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의 2베드 이하 주택(스튜디오 포함) 렌트 중간값은 1626달러로 작년 같은 달 대비 3.7% 하락했다.   텍사스주 오스틴(-4.7%), 테네시주 멤피스(-4.4%),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4.0%)에 이어 전국 4번째로 렌트 하락폭이 컸다.   전국적으로도 렌트비는 안정되는 추세다. 전국의 3월 렌트 중간값은 1722달러로 8개월 연속 하락했다. 특히 남부 대도시의 경우 작년 대비 1.5% 하락한 안정세를 보였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2019년 2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중간값이 313달러 높다. 샌디에이고, 로스앤젤레스 등 서부 도시와 뉴욕, 보스턴 등 동북부 지역의 렌트 부담이 여전히 큰 탓이다.   리얼터닷컴의 다니엘 헤일 이코노미스트는 "임대료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부추기는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며 "남부를 중심으로 많은 대도시 임대료가 하락하며 테넌트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같은 렌트비 하락 폭으로 주거 안정을 이루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다. 지난달 29일 부동산 업체 질로의 분석에 따르면 애틀랜타 지역의 시급은 2020년 3월 이후 4년간 13% 오른 반면 임대료는 35%나 상승했다. 이로 인해 백인 가구의 경우 소득의 평균 28.6%를, 유색인종(BIPOC) 가구의 경우 소득의 36.1%를 렌트비로 지출한다. 장채원 기자 jang.chaewon@koreadaily.com애틀랜타 렌트비 애틀랜타 지역 임대료 하락폭 기준 애틀랜타

2024-05-01

집값 하락폭 미미, 렌트비 여전히 높다

남가주, 그중에서도 LA 지역의 향후 부동산 시장 전망은 어떻게 될까. 남가주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LA카운티-롱비치카운티-OC 광역도시(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이하 LA-롱비치-OC MSA)의 인구는 1300만명에 달하고 2021년 GDP는 9500억 달러 이상으로 전국 2위, 이 지역을 국가로 가정했을 땐 세계 18위에 랭크될 만큼 거대 경제 규모다. 따라서 전국 부동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팬데믹 동안 이 지역은 전국 시장과 마찬가지로 재고 부족, 높은 집값, 입찰 전쟁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그러나 올해 초부터 집값이 조금씩 떨어지면서 매매가 주춤하고 있다. 그러나 한인 부동산 에이전트들에 따르면 LA한인타운을 비롯해 일부 인기 지역은 가격 하락세도 미미하고 팬데믹보단 덜하지만 여전히 복수 오퍼가 있을만큼 큰 변화가 없다고 한다. 한인들도 많이 거주하고 있는 이 LA-롱비치-OC MSA의 현재 시장 상황과 향후 동향을 알아봤다.     ▶공급과 수요   전국적으로는 바이어 시장이라고는 하나 남가주는 여전히 셀러 마켓이라는 것이 부동산 중개인들의 전언. 연방센서스국 통계에 따르면 2019~2021년 사이 LA-롱비치-OC MSA에는 연 8만 가구가 유입돼 총 445만 가구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1년 이후 치솟는 주거비로 인해 인구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통계에 의하면 2021~2022년 LA카운티와 OC에서 10만여 명이 전출됐으며 리버사이드와 샌버나디노 카운티에서는 21만5000명이 빠져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지역 부동산은 전국 시장과 비교하면 집값 하락폭도 크지 않고 리스팅에 머무는 시간도 그리 길지 않다. 지난해 LA-롱비치-OC MSA에서 리스팅 후 집 판매까지 걸리는 기간이 작년 3월 1.55개월이었던데 비해 11월엔 3.6개월로 늘어났다. 그러다 올해 1월 3.01개월로 앞당겨졌다가 2월엔 3.25개월로 다시 조금 늘어났지만 지난해 말보다는 상황이 좋아졌다.       ▶집값 및 임대료   지난 1월 LA-롱비치-OC MSA 주택 중간값은 전년 동기대비 3.2% 하락한 79만9000달러를 기록했다. 2월 평균은 이보다 조금 더 떨어진 79만5000달러. 이는 지난해 최고치를 기록했던 90만달러보다는 11.2% 하락한 가격이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인 38만3000달러보다는 두 배 이상 높다. 이런 높은 집값은 임대료 상승에도 영향을 미쳐 지난해 이 지역 임대료는 천정부지로 올랐다. 질로(Zillow)가 제공하는 임대료 지수(Observed Rent Index)에 따르면 이 지역 임대료 중간값은 지난해 9월 월 2931달러까지 치솟았다 현재 2905달러로 0.9%포인트 하락했지만 이 역시도 전년 동기대비 4.3% 상승한 수치다. 이처럼 식을 줄 모르는 임대 시장 열기는 공실률에서도 잘 드러난다. 연방센서스국의 지난해 12월 통계에 따르면 LA-롱비치-OC MSA 공실률은 3.3%로 이는 전년 대비 0.1% 하락한 수치다. 그러나 이는 2021년 1월 2.3% 보다는 그나마 올라간 수치다. 임대 시장에선 수요와 공급의 적절한 균형 유지를 위한 공실률 5%로 간주하는데 LA-롱비치-OC MSA는 이보다 한참 낮은 3%대 공실률를 기록하고 있어 집주인과 셀러 시장임을 알 수 있다.   ▶신규 주택   투자자가 아닌 실거주를 위해 집을 구입하려는 바이어들은 턴키 홈(turn key homes), 그러니까 구매 즉시 바로 거주할 수 있게 완벽하게 리모델링된 집이나 새집을 원한다. 신규 주택 정보 업체 존다 어드바이저리( Zonda Advisory)에 따르면 LA카운티의 경우 신규 주택 건설은 다운타운에서 웨스트 지역까지 산재해 있다. 또 샌퍼낸도밸리, 산타클라리타도 상황이 비슷해 신규 주택을 구입을 원한다면 일단 개발 지역에 거주하는 것이 괜찮은지 여부부터 결정하고 쇼핑을 시작해야 한다. 신규  주택은 가격이 비싸고 인기 지역이 아니라는 한계는 있지만 가격 협상 면에서는 비교적 유리하다. 가주 건설협회(CBIA) 톰 그라블 부회장은 "분양 중인 새집 할인 및 인센티브는 집값의  8~10% 정도"라며 "그러나 이때 구매자들은 가격이 싸진 만큼 옵션 사항이 빠지는 게 없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구매해야 이후 낭패를 방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연체 및 차압율     부동산 정보 플랫폼 블랙나이트에 따르면 최근 가주의 모기지 상환 연체율과 압류는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2년 12월 기준 전국 차압율이 0.37%인데 반해 가주는 0.1% 미만으로 나타났고 연체율 역시 전국 평균이 3%를 상회한데 비해 가주는 1.8%를 기록했다. 이는 타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업률과 현재 주택 소유주들이 역대 최저 모기지 이자율을 상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주현 객원기자하락폭 렌트비 집값 하락폭 부동산 시장 전국 시장

2023-04-19

[한국은행 칼럼] 집값과 달리 렌트 오르는 이유

세계 금융시장이 미국발 인플레이션 우려로 대혼란을 겪고 있다. 사실 9월 들어서 시장은 인플레이션이 진정될 수 있다는 막연한 희망을 품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중의 관심이 집중된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떨어지기는커녕 전월보다 0.1% 증가한 것으로 발표되면서 그 희망은 산산히 부서진 것 같다.   논란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이하 CPI지수)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무엇보다도 주거비 증가가 눈에 띈다. 가솔린가격이 전월보다 10.6%나 떨어졌지만 CPI지수에서 32%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비가 0.7% 오르면서 CPI 상승을 이끌었다. 그리고 이 주거비는 렌트 상승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왜냐하면 노동부는 CPI지수 산정시 주거비로 집값은 반영하지 않고 렌트만 반영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최근 렌트를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이를 체감하고 있는 입장이다. 금년 8월 뉴욕사무소로 발령받은 이후 거주할 아파트를 알아보기 시작했는데 2년전보다 30% 넘게 급등한 렌트에 충격을 받았다. 이렇게 비싼 렌트 아파트를 찾는 수요가 얼마나 많은지 인터넷에서 매물 리스트를 보고 한국에 있는 가족과 딱 하루 고민한 후 중개인에게 연락해보면 누군가가 계약을 해버렸단다.    최근 30년 기준 모기지 금리가 7% 수준으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걸 보면 모기지 대출을 이용해 집을 사는 건 정말 어려워졌다. 결국 주택구입 수요는 줄 것이고 집값은 하락압력을 받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지금과 같은 급격한 금리 인상기에는 집값이 떨어지는 속도보다도 모기지로 집을 사는 비용이 더 빠르게 올라간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집구매 비용보다 렌트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다보니 집값이 더 떨어질 때까지 구매를 늦추고 렌트를 선택하는 것이다. 결국 금리인상이 렌트수요를 늘려 렌트와 CPI 주거비를 오히려 상승시키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렌트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우선 매매시장을 보면 최근 미국 집값이 조정을 받고 있는걸 알 수 있다. 기존 주택가격(중간값)은 7월과 8월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집값이 계속 하락하면 집구매로 수요가 다시 이동하기 때문에 렌트도 결국 떨어질 수밖에 없다. 다만 시점과 조정 폭이 문제다. 많은 시장 전문가들은 금년 중에 렌트가 정점을 찍고 조정되리라 예상한다. 렌트 하락폭은 대체관계에 있는 집값이 얼마나 떨어지느냐에 달렸는데 이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급격한 모기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집값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가 하면 매물로 나오는 주택이 많지 않아 하락세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30년만기 모기지 대출을 고정 금리로 많이 받기 때문에 저금리시기에 대출을 받은 집주인들이 굳이 떨어진 가격에 집을 팔기보다 매물을 거둬들이고 장기보유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높아진 렌트는 CPI지수에 반영되면서 미연준의 금리인상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나 최근 2년간 급증한 렌트는 CPI지수에 1~1.5년정도 지연되어 반영되기 때문에 앞으로도 상당기간 CPI지수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존 렌트의 경우 계약기간(통상 1~2년)동안 렌트가 유지되다가 새로 계약될 때가 되서야 현재 렌트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지난 해만해도 미 연준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높은 가솔린 가격, 경제 재개에 따른 공급 장애 등에 기인하며 이는 일시적 현상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이제는 분명히 다른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주거비는 임금과 더불어 대표적인 sticky price다. 한번 올라가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가격이라는 말이다. 과연 이러한 sticky한 인플레이션 압력에 맞서 금리를 얼마나 더 올려야 하는 것인가? 미 연준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노진영 / 뉴욕사무소 차장한국은행 칼럼 집값 렌트 렌트 하락폭 렌트 상승 렌트 아파트

2022-10-04

[시장변동성과 401(K)] 은퇴투자자, 펀드 팔아 현금자산 이동 피해야

변동성이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불안해지기 마련이다. 올 들어 시장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이제 이른바 ‘베어마켓’으로 ‘공식’ 진입했다. 고점에서 20% 이상 내려가면 흔히들 베어마켓이라고 부르는데, S&P 500은 2022년에만 약 23%가 빠졌다. 은퇴플랜도 예외는 아니다. 직장의 401(k)를 활용하거나 개인적으로 IRA 계좌를 통해 은퇴투자를 하고 있다면 어려운 투자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타겟데잇 펀드(target-date fund)도 안전하지 않다 = 타겟데잇 펀드는 401(k) 플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펀드 중 하나다. 은퇴 예상시기에 맞춰서 주식형 자산과 채권형 자산의 구성비율을 알아서 정해주기 때문에 편리하다. 은퇴시기가 다가오면 이 구성비를 점차 보수적인 쪽으로 자동 조정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 이름 끝에 해당 은퇴예상 시기의 연도로 표시된다. 어떤 타겟데잇 펀드가 2025로 끝난다면 이는 2025년을 은퇴시기로 보고 이에 맞는 리스크 수준에 적합하도록 주식형 자산과 채권형 자산의 비율을 정해준다는 뜻이다.   그런데 최근의 하락장세 속에서는 2025년에 맞춰진 타겟데잇 펀드도 만만치 않게 고전하고 있다. 대부분의 타겟데잇 펀드 2025 역시 두 자리수 하락 폭을 기록하고 있다. 은퇴가 이제 3년 남았는데 이런 식이라면 해당 은퇴 예비자들로서는 더욱 불안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채권자산의 분산기능 약화 = 올 하락장에서 타겟데잇 펀드가 특히 고전하고 있는 이유는 분산투자를 위한 채권 자산의 기능이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이다. 분산투자는 기본적으로 리스크(risk) 분산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방식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서로 상관성이 적은 자산을 배치하게 된다. 전통적으로 채권 자산은 주식 자산과 함께 배치돼 포트폴리오 전체의 리스크를 줄이는 기능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의 시장환경은 채권의 분산기능을 약화시켰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이에 따른 금리인상이 채권값을 떨어 뜨리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주식형 자산과 채권형 자산의 상관성이 높아진 것이다.     실제로 올 들어 주요 채권형 펀드들 역시 대부분 두 자리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타겟데잇 펀드 2025는 불과 3년후를 은퇴시기로 보고 운용되는 펀드이기에 보수적 성격이 강하고, 그만큼 채권형 자산 비중이 높은 펀드다. 그럼에도 불구, 두 자리수 하락폭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리스크 분산을 위해 기용된 채권 자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주식시장과 함께 동반 하락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표 참조〉   ▶어떻게 해야하나? = 401(k)와 같은 은퇴플랜 내에서 이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옵션은 사실 제한적이다. 능동적인 리스크 관리형 자산운용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은퇴시기가 가까울수록 사실 ‘계획’이 필요하다. 이 시기는 투자와 수익 극대화가 주된 목적이 되는 시기라기 보다는 리스크 관리와 ‘income planning’이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Income planning’은 다른 말로 인출계획, 사용계획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모아온 자금을 잘 관리하며 은퇴기간 중 필요를 위해 요긴하게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해지는 시기라는 의미다.     개인 IRA나 일반 브로커리지, 투자성 연금 등의 자산도 현재 자신의 투자목적과 투자기간, 수용 가능하거나 필요한 리스크 수준을 고려해 어떤 계획에 비중을 두어야 하는 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런 개인 계좌들은 직장 내 은퇴플랜과는 달리 좀 더 다양한 투자 및 관리 옵션이 있을 수 있다.     ▶팔고 나오는 것은 답이 아니다 = 지금처럼 하락세가 지속성을 띠게 되면 불안해지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그렇다고 지금 보유하고 있는 펀드를 팔고 현금 자산으로 옮겨 놓는 식이 정답은 아니다. 지금까지의 하락을 손실로 기정사실화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보다는 현재 자산 중 시장의 리스크에 노출되어도 장기적인 수익성을 위해 유지할 부분과 인출 계획을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 나눠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좀 더 미리 준비할 수 있었다면 더 좋았겠지만 지금이라도 늦지 않다.     일부는 꾸준히 투자를 지속하면서 반등의 기회와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일부는 필요한 소득을 제공해줄 수 있는 안전자산으로 재배치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은퇴시기가 비교적 가깝다고 판단될 때 특히 유효한 접근법일 것이다.   반면 아직 은퇴시기까지 기간이 많이 남았다면 지금의 하락장에 너무 민감하게 대응하지 않는 것이 보다 현명하다. 물론, 자신의 리스크 성향과 수용능력을 감안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을 경우를 전제로 그렇다.     401(k)와 같은 은퇴계좌는 대체적으로 급여일마다 꾸준히 적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장이 내려갈 때는 ‘dollar cost averaging’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매하는 투자자산의 평균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는 뜻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잠재적 기초가 될 것이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kenchoe@allmerits.com시장변동성과 401(K) 은퇴투자자 현금자산 채권형 자산 자리수 하락폭 주식형 자산

2022-06-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