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삶의 뜨락에서] 뭐든지 물어보세요 -베니스,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여행기 (5·끝)

코로나바이러스 바로 직전 두바이-아부다비를 여행했다. 현지 가이드는 우리를 전통적인 두바이 가정으로 데리고 갔다. 고유 의상을 입은 젊은 여인은 미국인들에게 “뭐든지 물어보세요” 했다. 그녀는 많은 미국인이 아랍인들을 오해하고 있는 것 같으니 이 기회에 조금이나마 해소했으면 하는 것 같았다. 뭐든지 질문하라고 해서 아무거나 물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왕족에 대한 비판은 허용되지 않고, 테러리즘도 조심해야 할 것이다.     나는 “지금 당신이 입고 있는 옷은 종교와 관련이 있느냐”고 물었다. 그녀는 “그렇지 않다. 고유 의상이다. 워낙 볕이 따가워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고 대답했다. “UAE는 현재도 일부다처제가 허용되느냐” “옛날이야기다. 당신은 과거를 말하고 있다. 요즘은 절대다수가 한 남편, 한 아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선 데이트하기가 어려워 일단 결혼부터 하는 경우가 많아 이혼율이 높다.”   이번 여행 중 두 번 현지 가정, 농장에 초대받았다. 크로아티아에서 400년 된 가족농장에서 재배한 채소, 직접 기른 돼지, 닭고기를 먹었고, 손수 빚은 와인을 마셨다. 주인은 전통악기를 연주하고, 아들, 딸이 춤을 추었다. 슬로베니아에서도 현지 유명 식당에 초대되었다. 그들은 전통 아코디언을 연주하며 나이든 댄서가 관광객들과 어울려 한바탕 춤을 추었다.     내가 이용하는 미국 여행사는 어느 나라를 가든지 현지인과의 문화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오바마 시절, 쿠바는 잠깐 미국 여행자를 받아들였다. 여행 목적은 교육 및 문화교류, 그렇지 않으면 입국비자를 받을 수 없다. 하바나에서 현지 아티스트를 만나고 커뮤니티 센터를 방문했다. 루마니아, 베트남에서는 잘 사는 가정을 방문했는데 그들은 아메리칸이 찾은 것을 무척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 같았다. 남미의 에콰도르, 페루에서는 현지 와이너리, 흙담집을 찾아 고유 음식을 같이 했다.     나는 에세이를 쓰기 때문에 여행을 ‘심각하게’ 하는 편이다. 출발 전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고 질문을 준비한다. 여행 중 나처럼 질문을 많이 하는 사람은 드물다. 대부분 미국인은 책을 읽고 오지 않고 묻지도 않는다. 그저 아름다운 경관을 구경하고, 맛있는 음식 즐기고 와인을 마신다. 젊은 배낭족들은 캐슬 꼭대기까지 올라가고, 험한 트레일을 완주하며 싼 호텔에 머무른다. 골목 뮤지엄을 찾고, 현지인과도 쉽게 어울린다. 발칸 반도에는 인구 수백만의 작은 나라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수 세기 동안 종교분쟁을 겪었고 크고 작은 전쟁에 휩쓸렸다.     여행을 떠나가 전 ‘나를 기다리는 사람이 있을까’ ‘돌아왔다고 반가워할 이가 있을까’ 생각했다. 또 언제 어디로 떠날지 모르겠다. 내 이야기를 들어준 독자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최복림 / 시인오피니언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여행기 베니스 크로아티아 고유 의상

2023-04-12

[역지사지(歷知思志)] 한복

 “내가 철이 나서도 조선옷을 한복(韓服)이라고 부르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그러나 한복(韓服)하면 어쩐지 한복(漢服)을 연상케 된다. 한복(韓服)보다는 조선(朝鮮)옷이라는 말이…역시 조선 사람에게는 조선복이 어울린다.”   1940년 2월 1일자 조선일보에 게재된 소설가 이무영의 기고 중 일부다. 당시 한복(韓服)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다. 또 중국옷(漢服)과 발음이 같아 혼동될 수 있으니 ‘조선옷’으로 부르자는 것을 보면 한복(韓服)이 중국옷과 다르다는 구별도 자리잡고 있었던 것 같다.   베이징 겨울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 내 소수민족 대표로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하자 ‘문화 동북공정’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반면 중국 내 조선족을 감안하면 한복이 소수민족 의상으로 등장한 것을 문제 삼을 필요는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하지만 이번 논란은 매우 복잡한 배경을 안고 있다.   그동안 중국 측에서는 한국 사극의 한복이 중국의 ‘한푸(漢服)’를 베낀 것이라며 깎아내렸다. 한국 측에서는 이를 문화 공격으로 간주하고 날카롭게 대응했다. 중국은 문화뿐 아니라 역사와 영토 문제로도 주변국과 마찰을 빚고 있다. 인도·대만·일본·베트남·한국 등 중국 주변국 중에서 이런 갈등에서 비껴간 것은 과거 공산주의 형제국이던 러시아와 북한뿐이다.   아시아의 번영과 우호의 증진을 내세우는 중국에 대해 주변국의 반응은 왜 냉담한지 고민할 때가 됐다. 유성운 / 문화팀 기자역지사지(歷知思志) 한복 당시 한복 문화 동북공정 소수민족 의상

2022-02-09

앤디 김 의원 의사당 청소 다시 화제

앤디 김(뉴저지 3지구) 민주당 연방하원의원이 지난해 연방의회 의사당에 남아 뒷정리를 한 모습이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해 1월 6일 의사당 난입사태 뒤 김 의원의 청소 모습을 NBC뉴스가 6일 재조명했다. 당시 김 의원이 쓰레기를 치우고 의사당을 정리하는 모습은 동료 의원과 취재진에 포착돼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졌다. 김 의원은 물병과 옷, 트럼프 깃발, 성조기 등 시위대가 휩쓸고 바닥에 널브러진 잔해를 직접 주워 봉투에 담고 치웠다.     전날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승리를 확정하는 상·하원 합동회의가 열리는 오후 1시에 맞춰 수천 명의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이 의사당 건물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워싱턴DC 곳곳에서 시위를 벌이다 의사당으로 행진했고, 일부 지지자들은 바리케이드를 넘어 난입했다.   수천 명이 성조기를 들고 외부 계단을 점거해 경찰과 대치했고 일부 시위대는 유리창을 깨고 의사당 안으로 들어와 문을 부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난리통이 지나간 후 무거운 마음으로 의사당 안을 걷다가 경관이 쓰레기봉투에 피자 박스들을 넣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했다. 그는 경찰관에게 ‘나도 (봉투를) 하나 달라’고 하고 같이 청소를 시작했다고 한다.   김 의원은 “누구든 좋아하는 것이 망가지면 고치고 싶지 않겠나”라며 “나는 의사당이 좋다. 이곳에 있게 돼 영광”이라고 했다. 이어 “정말 가슴이 아팠고 그저 뭔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같은 뉴저지주 동료 하원의원인 톰 맬리노스키는 김 의원이 의사당을 치우는 모습을 직접 목격했다고 했다. 그는 “새벽 1시쯤이었던 것 같다”며 “경비대원 두 명이 지킨 옆에 다른 누군가가 벤치 아래 무릎 꿇고 뭔가 줍는 걸 봤다”고 했다. 그는 “조용히 잔해를 치우고 비닐봉지에 넣고 있던 건 앤디였다”며 “앤디는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려고 청소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뉴저지에서 학창 시절을 보내고 시카고대를 졸업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오바마 행정부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이라크 담당 보좌관을 지냈다. 2018년 연방하원의원으로 선출되며 김창준(공화) 캘리포니아 연방하원의원 이후 20년 만에 탄생한 두 번째 한인 연방하원의원 기록을 세웠다.     김 의원은 올해 11월 3선에 도전한다.     원용석 기자앤디김 의상 앤디김 의원 26면 앤디김 청색정장 박물관

2022-01-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