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콜로라도 주내 병원 5개 포함

    미전국 최우수 병원 탑 250에 콜로라도 주내 병원은 총 5개가, 탑 100에는 1개가 포함됐다. 헬스케어 정보 웹사이트인 ‘헬스그레이드’(HealthGrades)는 미전역 총 4,500여개 종합병원들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4,500만개 이상 리뷰 등 모두 31개 지표를 토대로 비교해 ‘미국의 탑 250 병원’(America’s Top 250 Hospitals for 2025)을 선정, 발표했다. 헬스그레이드는 구체적인 순위를 매기지는 않고 전국 병원 상위 1%에 속하는 ‘탑 50’, 상위 2%에 속하는 ‘탑 100’, 상위 5%까지인 탑 250을 공개했다. 콜로라도에서는 탑 250에 총 5개 병원이 이름을 올렸으며 이중 1개는 탑 100에 들었으나 탑 50에 속한 병원은 없었다. 콜로라도에서 유일하게 탑 100에 속한 병원은 HCA 헬스원 오로라(HCA HealthONE Aurora)였다. 헬스그레이드 선정 ‘미국의 탑 250 병원’에 포함된 콜로라도 주내 5개 병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알파벳 순)   ▲오로라 소재 HCA 헬스원 오로라(HCA HealthONE Aurora) ▲덴버 소재 HCA 헬스원 로즈(HCA HealthONE Rose) ▲론 트리 소재 HCA 헬스원 스카이 리지(HCA HealthONE SKY Ridge) ▲잉글우드 소재 HCA 헬스원 스웨디시(HCA HealthONE Swedish) ▲파커 소재 어드벤트헬스 파커(AdventHealth Parker)   이은혜 기자미국 콜로라도 전국 병원 병원 명단 파커 소재

2025-02-12

텍사스 주내 병원 32개 포함, 2025 미국의 탑 250 병원

 미전국 최우수 병원 탑 250에 텍사스 주내 병원 총 32개가 포함됐다. 헬스케어 정보 웹사이트인 ‘헬스그레이드’(HealthGrades)는 미전역 총 4,500여개 종합병원들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4,500만개 이상 리뷰 등 모두 31개 지표를 토대로 비교해 ‘미국의 탑 250 병원’(America’s Top 250 Hospitals for 2025)을 선정, 발표했다. 헬스그레이드는 구체적인 순위를 매기지는 않고 전국 병원 상위 1%에 속하는 ‘탑 50’, 상위 2%에 속하는 ‘탑 100’, 상위 5%까지인 탑 250을 공개했다.   텍사스에서는 탑 250에 총 32개 병원이 이름을 올렸으며 이중 5개는 탑 100에, 1개는 탑 50에 들었다. 타운별로는 달라스와 휴스턴, 그리고 오스틴이 각각 3개로 가장 많았다. 텍사스에서 유일하게 탑 50에 속한 병원은 휴스턴 감리교 병원(Houston Methodist Hospital)이었다. 휴스턴 감리교 병원은 거의 모든 진료과목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고 있지만 특히 외래 정형외과(Outpatient Orthopedic Surgery)의 경우 전국 최고를 자랑한다. 탑 100에 포함된 병원은 휴스턴 감리교 병원 외에 베일러 스캇 & 화이트 메디컬 센터-맥키니(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McKinney), 에딘버그 타운내 닥터스 하스피털 엣 르네상스(Doctors Hospital at Renaissance), 휴스턴 감리교 베이타운 병원(Houston Methodist Baytown Hospital), 달라스 소재 윌리암 P. 클레멘츠 주니어 유니버시티 병원(William P. Clements JR. University Hospital) 등이다. 헬스그레이드 선정 ‘미국의 탑 250 병원’에 포함된 텍사스 주내 32개 병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알파벳 순) ▲Ascension Seton Hays(Kyle, TX) ▲Ascension Seton Williamson Hospital(Round Rock, TX) ▲Baylor Scott & White All Saints Medical Center-Fort Worth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Grapevine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Hillcrest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McKinney ▲Baylor Scott & White Medical Center-Temple ▲Baylor University Medical Center(Dallas, TX) ▲Doctors Hospital at Renaissance(Edinburg, TX) ▲HCA Houston Healthcare Kingwood ▲HCA Houston Healthcare Southeast(Pasadena, TX) ▲Houston Methodist Baytown Hospital ▲Houston Methodist Hospital(Houston, TX) ▲Houston Methodist Sugar Land Hospital ▲Houston Methodist Willowbrook Hospital ▲Houston Methodist the Woodlands Hospital ▲ Las Palmas Medical Center(El Paso, TX) ▲Medical City Arlington ▲Medical City Dallas ▲Medical City McKinney ▲Medical City Plano ▲Memorial Hermann-Texas Medical Center(Houston, TX) ▲Methodist Hospital(San Antonio, TX) ▲Methodist Hospital Stone Oak(San Antonio, TX) ▲St. David's Medical Center(Austin, TX) ▲St. David's North Austin Medical Center ▲St. David's South Austin Medical Center ▲Texas Health Fort Worth ▲Texas Health H-E-B(Bedford, TX) ▲Texas Health Presbyterian Hospital Plano ▲UTMB Health-Galveston Campus ▲ William P. Clements JR. University Hospital(Dallas, TX)   손혜성 기자  미국 병원 methodist hospital houston methodist houston healthcare

2025-02-05

IL 파크리지 애드보킷 루터란 미국 병원 탑 50 올라

시카고 북서 서버브 파크리지 소재 '애드보킷 루터란 종합병원'(Advocate Lutheran General Hospital)이 미국 내 최고 병원 중 한 곳으로 꼽혔다.     헬스케어 정보 웹사이트 '헬스그레이드'(HealthGrades)는 최근 미국 내 병원 탑250을 선정, 발표했다. 모두 4500개 병원을 대상으로 지난 3년 동안 4500만개 이상의 리뷰를 종합해 31개 부문으로 나눠 평가했다.     구체적인 랭킹이 따로 발표되지 않은 가운데 탑50(상위 1%), 탑100(상위 2%), 그리고 탑250(상위 5%)까지만 순위가 공개됐다.     일리노이 주에서는 파크리지 '애드보킷 루터란 종합병원'이 유일하게 탑50에 올랐다. 파크리지를 포함해 오헤어 국제공항, 오로라, 락포드, 멕헨리•레이크 카운티 등을 커버하는 애드보킷 루터란 병원에 대해 이 매체는 "이 병원의 응급실은 연간 4만8000명 이상의 환자를 치료한다"며 "소아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특수 장비도 갖추었다"고 소개했다.     '애드보킷 루터란 종합병원'이 일리노이 주에서 유일하게 탑 50에 포함된 가운데 남서 서버브 오크론의 애드보킷 크라이스트 메디컬 센터(Advocate Christ Medical Center), 북서 서버브 맥헨리의 '노스웨스턴 메디슨 맥헨리 병원'(Northwestern Medicine McHenry Hospital), 그리고 일리노이 북부 락포드의 '자본 비아 병원'(Javon Bea Hospital-Rockton)이 탑100에 포함됐다.     이 외 미네소타 Mayo Clinic, 위스콘신 Froedtert Memorial Lutheran Hospital, 오하이오 Mercy Health와 Summa Health System, 뉴욕 Stony Brook University Hospital, 조지아 Emory University Hospital, 캘리포니아 Scripps Memorial Hospital 등이 탑50에 올랐다.     Kevin Rho 기자미국 파크리지 파크리지 소재 memorial hospital 최고 병원

2025-01-29

시더스·UCLA 전국 최우수 병원…가주 11개 병원 전국 톱 1%

남가주 등 캘리포니아주 11개 병원이 전국 1%대 최우수 병원에 포함됐다.     온라인매체 패치닷컴은 병원정보 제공업체 헬스그레이드가 발표한 ‘2025년 미국 최우수 병원(2025 America’s Best Hospitals Awards)’을 인용, 가주 11개 병원이 전국 1%대인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고 28일 전했다.     헬스그레이드는 전국 4500개 병원을 30개 항목으로 평가했다. 의료진, 진료과목, 환자 진료 및 치료, 환자 만족도 등을 통해 톱 1%에  50개 병원, 2%에 100개 병원, 5%에 250개 병원 목록을 각각 발표했다.     평가 결과 가주 11개 병원은 전국 1%대 최우수 평가를 받았고, 총 31개 병원이 전국 상위 250개 병원에 포함됐다.     11개 병원 중 남가주 지역에서는 시더스-사이나이 메디컬센터가 연속 15년째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 노스리지 호스피털 메디컬 센터(14년 연속), 프로비던스 홀리크로스 메디컬센터(12년 연속), 로널드 레이건 UCLA 메디컬 센터(11년 연속), 스크립스 메모리얼 병원(10년 연속), 스크립스 메르시 병원(8년 연속)도 선정됐다. 〈표 참조〉   2025년 미국 최우수 병원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www.healthgrades.com/quality/americas-best-hospitals)에서 알 수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전국 병원 병원 전국 최우수 병원 전국 최우수

2025-01-28

대규모 아동전문병원 탄생…SD·OC 소재 두 병원 합병

샌디에이고 카운티와 오렌지 카운티의 대표적인 두 아동전문병원이 합병했다. 샌디에이고의 '레이디 칠드런스 호스피탈(Rady Children's Hospital)'과 '칠드런스 호스피탈 오브 오렌지카운티(CHOC)'는 지난 8일 두 병원이 합병해 새로운 건강관리 시스템인 '레이디 어린이 헬스(Rady Children's Health)'로 새롭게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말부터 추진된 두 병원의 합병은 그동안 관련 심사를 거쳐 지닌해 말 주정부의 최종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 병원은 합병을 추진하면서 "미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소아 건강 관리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통합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레이디 칠드런스 호스피탈 측에  따르면 이번 통합을 통해 두 병원은 소아 의료 분야의 연구를 변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병원의 합병으로 이번에 새로 출범한 레이디 어린이 헬스의 공동 CEO는 현 레이디 칠드런스 호스피탈의 CEO인 패트릭 프리아스 박사와  CHOC의 킴벌리 차발라스 크라이프 현 CEO가 맡게 됐다.   이번 합병으로 레이디 어린이 헬스는 샌디에이고 커니메사 지역에 소재한 레이디 칠드런스 호스피탈과 오렌지 카운티 내 오렌지와 미션 비에호에 소재한 두 곳의 CHOC 병원 등 3개의 아동 전문병원을 산하에 둔 거대 헬스그룹으로 재탄생하게 됐다. 레이디 어린이 헬스 측은 병원 시스템은 합병됐지만 각 병원은 각자의 의료진과 이사회를 중심으로 독립적인 현장 리더십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환자들은 치료에 있어 어떠한 중단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민 기자아동전문병원 대규모 대규모 아동전문병원 병원 합병 병원 시스템

2025-01-14

“대형병원 해킹”…환자정보 다량 유출 우려

전산망이 해커들에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     LA데일리뉴스의 13일자 보도에 따르면, 해커들은 남가주 내 여러 곳에 병원을 소유한 ‘PIH헬스호스피털’ 1700만명의 환자 정보를 탈취했다며 자신들이 제시한 요구 조건을 수용해야 암호 해독 키를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만약 요구 조건을 수용하지 않으면 환자 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하겠다고 협박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정확한 해커들의 요구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PIH헬스 병원들은 한인들이 빈번하게 이용해 개인정보 유출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유출된 정보는 환자의 정밀 진단 및 검진 기록은 물론 개인정보 등이다.     병원 측은 자사 시설 중 LA의 굿사마리탄 병원을 포함해 다우니, 위티어 병원들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서 환자 진료 예약 등 관련 서비스에도 지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13일 오후 현재 모든 병원은 운영 중이지만 환자들과의 전화 연락, 메시지 관리, 스케줄 확인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현재 상당수 환자가 진료 시간 확인 및 예약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수술 일정도 취소되거나 연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병원 측은 환자들에게 진료 예약시간보다 좀 더 일찍 방문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진료 스케줄 취소 시 환자들에게 곧바로 알리고 있다고 전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환자기록 병원 병원 환자기록 병원 측은 해당 병원

2024-12-15

시더스 사이나이·UCLA 2년 연속 최우수 병원 선정

시더스 사이나이 병원과 UCLA 메디컬센터가 2년 연속 남가주 최우수 병원에 이름을 올렸다. 두 병원은 주요 진료과목에서 전국 10위권을 차지했다.     지난 10일 US뉴스&월드리포트는 ‘2024~2025 전국 병원평가’를 발표했다. 이 매체는 전국 418개 종합병원을 평가한 결과 남가주에서는 ‘시더스 사이나이 병원·UCLA메디컬센터·UC샌디에이고 병원’이 가주 최우수 병원(Best Hospitals in California) 종합 1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가주에서는 남가주 최우수 병원 3곳과 스탠퍼드 헬스케어, UCSF메디컬센터가 공동 종합 1위에 선정됐다.〈표 참조〉   US뉴스&월드리포트의 전국 병원 평가 기준은 ‘환자 치료성과, 환자 안전, 의학기술 및 평판, 위험관리 수준, 재입원 비율, 간호 수준’ 등이다.   시더스 사이나이 병원은 소화기내과, 암치료, 산부인과, 정형외과 등 11개 진료분야가 전국 우수(Nationally Ranked) 평가를 받았다. UCLA메디컬 센터는 정형외과, 노인병, 이비인후과, 당뇨&내분비 등 14개 진료분야에서 실력을 인정받았다. UC샌디에이고 병원도 호흡기내과, 산부인과, 노인병 등 11개 진료분야가 전국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켁(Keck)메디컬센터-USC, 스크립라호야병원, UC데이비스 메디컬 센터, 토런스 메디컬센터, 호아그 메모리얼 병원이 남가주 최우수 병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인이 자주 찾는 할리우드 차병원은 소화기내과, 노인병, 신경외과, 정형외과 등 7개 진료분야에서 우수(High Performing) 평가를 받았다. PIH굿사마리탄병원은 심혈관, 당뇨&내분비, 노인병, 신경외과, 정형외과 등 6개 진료분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병원평가 보고서는 내용은 웹사이트(health.usnew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메디컬센터 시더스 ucla메디컬센터 최우수 시더스사이나이 병원 최우수 병원 한인사회 미국 한인 미주 한인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LA 로스앤젤레스

2024-12-11

“베테랑 의료진, 건강 지켜드려요”…강남 세브란스 건강검진센터

강남 세브란스 병원 건강검진센터 ‘헬스체크업’의 윤영훈 소장이 직접 LA를 방문해 한인 교민들을 위한 건강검진 프로그램 홍보에 나섰다.   강남 세브란스 병원의 소화기내과 교수로도 활동 중인 윤 소장은 헬스체크업의 가장 큰 장점은 베테랑 의료진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높은 진단 정확성이라고 말했다. 헬스체크업에서는 18명의 교수가 외래진료를 하지 않고 오직 건강검진에만 집중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10년 이상 헬스체크업에서 근무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검진 정확도 면에서 한국 최고 수준임을 자부하고 있다.   최신 의료기기 도입 면에서도 세브란스 병원은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혈액검사를 통해 암을 진단하는 장비와 대장 내시경에 사용되는 인공지능(AI) 기반 장비를 활용해 검사의 정확도를 한층 높였다고 전했다.     윤 소장은 “25년간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해오면서도 사람의 한계로 인해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었는데 AI는 이를 놓치지 않아 사용하는 나도 놀랐다”고 강조했다.   세브란스 병원은 미주 한인 교민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삼호관광과 협력해 제공하고 있다. 교민들이 바쁜 한국 방문 일정 속에서도 신속하게 검진 결과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즉각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윤 소장은 “동유럽 및 아랍 국가에서 오는 환자들의 경우, 통역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해 상대적으로 높은 국제수가가 적용된다”며 “하지만 교민들에게는 일반수가를 적용해 부담을 덜어드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호관광과 세브란스 병원의 파트너십은 15년 전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 삼호관광을 통해서 건강검진을 간편하게 예약하고 다녀올 수 있다.     윤 소장은 전공의 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이 건강검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헬스체크업에서는 전공의가 근무하지 않기 때문이다.     윤 소장은 “처음에는 약간의 혼선이 있었으나 현재는 안정화되었으며, 건강검진은 이전과 다름없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한인 교민들이 안심하고 헬스체크업을 찾아 신속하고 정확한 검진을 받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원희 기자건강검진센터 세브란스 강남 세브란스 베테랑 의료진 세브란스 병원

2024-12-09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 아동 급증

 북 텍사스에 감기와 독감 시즌이 시작되면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에 감염되는 아동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미 공영 라디오 방송(National Public Radio/NPR)이 최근 보도했다. 달라스 소재 아동 병원(Children’s Health) 시스템의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와 둘째 주 사이에 아동 병원 시스템 전체에서 RSV 감염 아동이 67%나 급증해 총 366건에 달했다. 아동 건강 소아 폐질환 전문의인 프리티 샤마 박사는 “11월 중순에서 하순경에 RSV 환자가 증가하는 것은 드문 일은 아니다. 과거에도 급격한 증가를 보인 적이 있었다. RSV는 특히 학교나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들에게 매우 쉽게 전염되며 증상도 빨리 발현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아동 RSV 감염건수는 2023년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추위와 독감 시즌에는 독감과 증세가 유사한 RSV 발병 사례도 늘고 있으며 특히 평상시보다 시기도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샤마 전문의는 “올 시즌이 작년과 어떻게 비교될지 평가하기는 아직 이르다. 그러나 새로운 RSV 백신과 영유아 및 노인을 위한 예방 치료제의 가용성이 사례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연방식품의약국(FDA)은 작년에 감기 및 독감 시즌에 태어난 생후 8개월 미만의 유아, 첫 감기 및 독감 시즌에 접어든 유아, 기저 질환이 있는 최대 19개월 어린이에게 권장되는 항체 주사제인 베이포터스(Beyfortus)를 최근 승인했다. 또한 FDA는 지난해에는 60세 이상 성인과 임신 3기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RSV 백신 접종도 승인한 바 있다. 샤마는 “아기에게 항체를 제공하는 보편적인 기능이 추가되기를 바라며 올 시즌에는 확진자가 줄어들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시그나 헬스케어의 의료 시장 담당 임원인 릭 왓슨 박사는 “가상(virtual) 진료 시스템을 통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가상 진료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부터 수요가 증가했다. 의사오피스가 문을 닫았을 때, 긴급 진료가 종료됐을 때, 늦은 밤 의사 접촉이 어려운 경우 가상 진료가 그 공백을 메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휴식, 적절한 식단, 자주 손 씻기 외에도 독감 및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포함한 모든 예방 접종에 대한 최신 정보를 잘 체크해 시기 적절하게 맞아야 한다. 백신을 맞으면 질병 감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설사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약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손혜성 기자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 아동 호흡기 세포융합 아동 병원

2024-12-02

'괴롭힘 피해' 친구 돕다 중학생 칼 찔려…동급생 흉기에 상처, 병원 이송

샌버나디노카운티의 한 중학교에서 괴롭힘을 막으려던 학생이 칼에 찔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반면, 학교 측의 미흡한 대응은 학부모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KTLA에 따르면 지난 11일 리알토 지역 프리스비 중학교에서 8학년 학생이 다른 학생의 칼에 찔려 병원으로 이송됐다.     당시 라커룸에서 벌어진 상황은 휴대전화 영상에 고스란히 담겼다. 영상에는 두 남학생이 몸싸움을 벌이다 한 학생이 칼을 휘두르는 모습이 포착됐다.   피해 학생의 어머니 산드라 아길라르는 “아들이 괴롭힘을 당하던 학생을 돕다가 공격을 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칼을 든 학생이 다른 아이를 괴롭히자 아들이 ‘그만하라’고 말했지만, 그 순간 싸움이 시작됐고 영상 속에서 칼을 휘두르는 장면이 보인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현장에 출동해 가해 학생을 체포했다. 피해 학생은 팔에 상처를 입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후 퇴원했지만, 아직 학교로 돌아가지 않았다.   사건 이후 학교는 학부모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5일 타운홀 미팅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겪은 괴롭힘 사례를 공유하며 학교 측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아길라르는 “2년 전 아들이 6학년 때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했으며, 여러 차례 민원을 제기한 끝에 가해 학생이 퇴학당했다”며 “그럼에도 학교의 대응은 여전히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작년에는 칼을 소지한 학생을 학교에 보고했지만, 학교 측은 미온적인 대응을 보였고 금속 탐지기 설치를 요청했으나 지역 교육구와 논의하겠다는 답변만 들었다”며 “결국 무작위로 가방을 검사하는 수준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이번 칼부림 사건 당시, 학교 측은 경찰이 출동한 사실만을 이메일로 통보했을 뿐 학생이 칼에 찔려 병원으로 이송된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불안을 느낀 학부모들은 학교로 몰려와 자녀들을 데려갔다.   한 학부모는 “아이를 안전하게 학교에 보내고 싶은데 이런 일이 발생해 매우 걱정된다”고 말했다.   리알토 통합교육구는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학부모와의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길라르는 “교육구에 여러 번 찾아갔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며 “다른 아이들과 부모가 이런 일을 겪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윤재 기자중학생 동급생 상처 병원 동급생 흉기 입고 병원

2024-10-17

8대 암, 혈액검사로 진단

위암, 대장암, 간암 등 8대 암 여부를 혈액으로 진단하는 ‘스마트 암 검진’ 행사가 오는 19일(토) 오전 9시30분 부터 LA중앙일보(690 Wilshire Pl) 1층에서 진행된다.   서울대학 병원이 특허를 가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스마트 암 검진’은 기존의 검사보다 정확도가 2배에 달해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프로그램이다.   비영리단체인 해피빌리지가 지난 2015년부터 매달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1800여명의 검진자가 검사를 통해 암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확인했다.   8대 암 검진은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전립선암, 유방암과 난소암, 췌장암에 대해 내시경이나 조직검사 없는 특수검사법을 통해 진행하게 된다.   서울대 의대 바이오 암센터는 LA에서 채혈한 혈액을 받아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해 암과 관련이 있는 19개 각종 요소의 지표를 검사해 현재 본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한 후 의사 2명이 서명한 결과지를 검사자에게 직접 발송한다. 이를 통해 검사자는 본인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조기에 암 예방을 할 수 있다.   검사비는 1인당 380달러다. 예약자에 한해 검사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피빌리지에 문의하면 된다.   ▶예약 및 문의: (213)368-2630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게시판 검진 검진 행사 서울대학 병원 위암 대장암

2024-10-15

[오픈 업] 은혜를 갚을 줄 아는 한국

몇 년 전 아름다운 모임에 초대받은 적이 있었다. LA총영사 관저에서 열린 평화봉사단(Peace Corps) 단원 초청 만찬 행사였다. 이날 모인 많은 은발의 인사들은 젊은 시절 한국에서 봉사했던 분들이었다.   이날 참석자 중에는 캐서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국대사도 있었다. 그녀는 나의 제2의 고향인 충남 예산군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봉사활동을 했단다. 그리고 그곳 주민들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고 했다. 그때 그녀는 자신이 훗날 미국 정부를 대표하는 대사가 될 것을 알고 있었을까?     그날 그녀가 한 말이 인상적이었다. “많은 평화봉사단 회원들이 세계 곳곳으로 갔습니다. 그런데 이들을 받아들였던 나라 중에서 스스로 봉사단체를 만들어 다른 나라로 파견하는 나라는 한국뿐입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일이 현재 필자의 모교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일어나고 있다. 조선 왕조 말기 암울했던 시기에 에비슨, 알렌 박사 등은 선교활동을 위해 조선 땅에 들어왔다. 이들은 서양 의술을 시술하고,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제중원이라는 병원을 세웠다. 제중원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었다. 에비슨 박사가 미국에 귀국, 카네기 홀에서 조선의 상황을 설명하자 감명을 받은 한 사업가가 그를 찾아왔다. 새 병원을 지을 수 있는 돈을 기부하겠다는 것이었다. 그가 바로 세브란스였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는 등 정치적 사정으로 병원 건축은 지연되었고, 필요한 자금 규모도 늘어만 갔다. 그러나 세브란스는 그때마다 필요한 자금을 추가로 기부했다고 한다. 에비슨 박사는 1910~1911년 사이 선교 본부에 자신이 지향하는 세브란스 병원의 목표를 다음의 10가지 항목으로 기술하였다고 한다.   1. 세브란스 병원은 현재 미국에 있는 병원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2. 그렇게 하기 위해서, 우선 많은 미국 의사들이 일해야 한다. 3. 그러는 동안 한국인 의사들을 열심히 가르쳐서, 미국 의사들이 떠난 뒤에도 높은 의료 수준을 유지하게 한다. 4. 훌륭한 교수들이 있어야 한다. 5. 학생들은 충분히 훈련을 받아야 한다. 6. 의료 시술만이 아니라, 의학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7. 치과 대학이 세워져야 한다. 8. 약학 대학과 , 제약 사업이 있어야 한다. 9. 안과 질환 치료와 안경 제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10. 약품, 안경 제조 등의 사업을 통해서 병원은 독립이 가능해야 한다.   그가 이런 편지를 보낼 당시 한국은 많은 문제로 소용돌이치고 있었다. 세브란스 병원은 1908년 6명의 1회 졸업생을 배출했지만, 2회 졸업생은 그로부터 3년 후인 1911년에야 가능하였다. 교실과 교수의 부족 문제도 있었지만 더 큰  문제는 선교사들의 반대였다고 한다.   그로부터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세브란스 병원은 에비슨 박사가 목표했던 10가지 항목을 모두 달성했다.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 우리가 받았던 사랑과 은혜를 세계의 저개발 국가들에게 나누어 주고 있다.     현재 90여명의 세브란스 졸업생들이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아시아,중동 지역 등에서 인술을 펼치고 원주민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또 다른 특수한 의료 선교 프로그램은 이들 국가의  젊은 의사들을 세브란스로 초청해 이들이 마음 놓고 현대식 대장 검사, 복막경을 이용한 수술 등 여러 가지 최신 의료 시술법과 진단 방법 등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500여 명의 의사가 초청됐고, 그들은 이렇게 배운 의술로 자기 나라에서 많은 기적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한다. 아직 평화봉사단으로부터 받았던 혜택을 다 갚지는 못했지만 한국은 한층 더 진화된 방법으로 이를 갚아가고 있다.   수잔 정 / 소아정신과 전문의오픈 업 은혜 한국 세브란스 병원 한국 최초 시절 한국

2024-10-08

루리-코머-애드보케이트 병원 1∙2∙3위

시카고 지역 어린이 병원의 순위가 발표됐다. 예전과 큰 변동은 없었고 루리, 코머, 애드보케이트 어린이 병원이 차례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전국 어린이 병원의 랭킹을 매년 발표하고 있는 US 뉴스앤월드 리포트는 시카고에서는 루리 어린이 병원이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그 뒤를 시카고대학병원 코머 어린이 병원, 애드보케이트 어린이 병원 순이었다.     중서부로 범위를 넓히면 루리가 3위, 코머가 17위, 애드보케이트가 22위를 기록했다.     시카고 어린이 병원 중에서는 전국 10위권에 드는 병원이 없었다. 루리 어린이 병원이 지난 2018년에 톱 10위에 든 것이 마지막이었다.     어린이 병원 랭킹은 전국에서 108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생존율, 감염률, 합병증 발생율과 환자 안전, 임상 자원, 환자 중심도,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해서 산출한다. 또 11개의 전문 치료 분야로 나누는에 루리 병원의 경우 11개의 전문 분야를 모두 다루고 있다.     전국 톱 25위에 드는 병원은 이 가운데 적어도 9개의 전문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루리 병원의 경우 신경학, 신경외과, 신생아학 등에서 전국 10위권에 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머의 경우 전국 50개 병원만 확보하고 있는 네 개(행동 건강, 암, 신경학, 비뇨기학)의 전문 분야를 확보하고 있으며 애드보케이트는 심장학/심장 수술 한 개였다.     전문가들은 병원 랭킹도 중요하지만 가장 눈여겨 봐야 할 사항으로는 환자가 받을 수 있는 양질의 의료 서비스라며 병원 랭킹 여러 개를 비교하고 의료보험 커버리지와 주치의 권고 등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뉴스위크가 최근 발표한 랭킹에서는 루리 병원이 전세계에서 9번째로 평가됐다.     한편 US 뉴스 앤 월드 리포트의 어린이 병원 랭킹에서 중서부 최고 병원으로 꼽힌 곳은 신시내티 어린이 병원이었으며 오하이오의 네이션와이드 어린이 병원도 전국 톱 10에 선정됐다. 이외에도 보스턴, 콜로라도, LA, 필라델피아, 워싱턴 DC, 샌디에이고 레이디, 시애틀, 텍사스 어린이 병원 등도 전국 최고 수준의 어린이 병원으로 평가됐다.     Nathan Park 기자코머 애드 시카고대학병원 코머 어린이 병원 병원 랭킹

2024-10-08

한인타운내 '사무장 병원' 단속 강화…의사 명의만 빌려 피부과 운영

캘리포니아 의사면허위원회(MBC) 등이 한인타운내 일명 ‘사무장 병원’ 단속에 한창이다. 사무장 병원이란 의사 명의만 빌려 사무장이 운영하는 병원을 뜻한다.   한인 의료업계에 따르면 최근 MBC는 식품의약청(FDA), 법집행기관과 공조해 한인사회 피부 클리닉(Clinic) 등을 상대로 무면허 시술 행위 및 미승인 제품 사용 단속을 벌이고 있다.   실제 2주 전 LA한인타운내 한 ‘O피부미용 클리닉’에는 법집행기관 요원들이 들이닥쳐 전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같은 상가에 자리한 한 스킨케어 업주는 “경찰로 보이는 사람들 여럿이 상가 주차장에 나타났고, 오랜 시간 ‘메디 스파’를 하는 클리닉을 오갔다. 다들 깜짝 놀랐다”고 전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단속 요원들은 해당 클리닉 관리자와 직원들을 격리한 채 여러 질문을 했다고 한다. 단속반은 의사면허 등록 여부, 무면허자 시술 여부, 미승인 피부미용 제품 사용 여부 등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해당 클리닉 관계자는 “가주의사면허위원회(MBC) 의뢰를 받은 단속팀이 조사를 나온 것은 맞다”면서 “무면허자가 시술했다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 한국에서 승인이 났지만, 미국에서는 승인이 나지 않은 보톡스 사용 등이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   의료업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의사면허위원회(MBC)와 공공보건국(CDPH) 등은 최근 한인 피부미용 클리닉 약 5곳을 조사했다고 한다.   한 메디컬그룹 관계자는 “클리닉에는 의사(MD)나 전문간호사(NP) 등 의료인이 상주해야 하지만, 일부 사무장 병원은 간호사가 (의료인이 아닌) 사무장이나 실장의 지시를 받아 보톡스나 필러 등 미용 시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MBC에 따르면 클리닉 등에 의사가 상주할 의무는 없다. 하지만 간호사(RN)나 전문간호사(NP)는 의사의 지시 아래 의료 규정을 지키면서 환자를 다뤄야 한다.   특히 보톡스나 필러 등 시술은 반드시 의료인(RN, NP, PA, MD)만 해야 한다. MBC는 간호사가 보톡스나 필러를 시술할 때도 의료 표준절차(standardized procedures)를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면허 시술에 대한 본지 물음에 MBC 애런 본 대변인은 “환자는 치료를 받기 전 클리닉 등록 및 의료인 자격 여부를 온라인 등(search.dca.ca.gov)으로 확인해야 한다”면서 “의사의 진료 실수, 무면허자 시술 등 신고를 접수하면 자체 수사관이 대면 방문 등을 통해 진상조사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한인의사협회 남가주 지부 폴 장 회장은 “클리닉마다 의사의 면허증, 졸업 및 이력 등을 잘 보이는 곳에 붙여놓게 돼 있다”면서 “무면허 시술이나 미승인 보톡스와 필러 사용을 확인하는 일이 어려운 만큼 환자가 미리 방문하는 곳의 정보를 잘 알아보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MBC 측은 클리닉 등이 미승인 의료 제품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것을 목격할 경우 가주 소비자보호국(www.dca.ca.gov)에 신고하라고 권고했다. 김형재 기자사무장 피부과 사무장 병원 캘리포니아 의사면허위원회 의사 명의

2024-10-01

혈액검사로 8대암 예방하세요

위암, 대장암, 간암 등 8대 암 여부를 혈액으로 진단하는 ‘스마트 암 검진’ 행사가 오는 21일(토) 오전 9시부터 LA중앙일보(690 Wilshire Pl) 1층에서 진행된다.   서울대학 병원이 특허를 가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스마트 암 검진’은 기존의 검사보다 정확도가 2배에 달해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프로그램이다.   비영리단체인 해피빌리지가 지난 2015년부터 매달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1800여명의 검진자가 검사를 통해 암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확인했다.   8대 암 검진은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전립선암, 유방암과 난소암, 췌장암에 대해 내시경이나 조직검사 없는 특수검사법을 통해 진행하게 된다.   서울대 의대 바이오 암센터는 LA에서 채혈한 혈액을 받아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해 암과 관련이 있는 19개 각종 요소의 지표를 검사해 현재 본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한 후 의사 2명이 서명한 결과지를 검사자에게 직접 발송한다. 이를 통해 검사자는 본인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조기에 암 예방을 할 수 있다.   검사비는 1인당 380달러다. 예약자에 한해 검사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피빌리지에 문의하면 된다.   ▶예약 및 문의: (213)368-2630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게시판 스마트 la중앙일보 위암 서울대학 병원 한해 검사

2024-09-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