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열린광장] 따끈따끈한 지과(地果)

밖에는 겨울비가 조용히 내리고 있다. 따뜻한 온돌방 아랫목이 그리워진다. 황해도 몽금포의 고향 집으로 돌아간다. 온돌방에 이불을 깔고 그 속에 발을 넣고 앉아서, 잿불에 구운 따끈따끈한 지과를 먹으면 눈물겹도록 맛있었다. 황해도에서 고구마를 땅에서 나오는 과일, 地果라고 부른다. 그럴듯한 사투리다.   붉은 흙과 자갈이 섞인 땅에서 거둔 지과가 달고 맛있다. 사람보다 산돼지가 지과를 더 좋아해서 문제를 일으킨다. 넝쿨이 무성하고 고구마가 메추리알처럼 달리기 시작하면 돼지와 싸움을 벌인다. 그들은 밤에 내려온다. 먹는 것은 좋지만 지과 밭을 일구어 망가트린다.   나는 밤에 밭고랑에 거적때기를 깔고 잠을 잔다. 모기를 쫓기 위하여 마른 쑥을 피운다. 가끔 일어나서 양철 대야를 두들긴다. ‘돼지야 물러가라!’ 교가도 소리 높이 부른다. 돼지와 모기와 싸우다 보면 잠을 설친다.   이 지과를 수확해서 집 윗방에 모신다. 광에 저장하면 지과가 냉동된다. 윗방에 수숫대로 둥글게 발을 치고 지과를 바닥부터 천정까지 쌓아 올린다. 겨울에 쪄먹고, 구워먹고, 날것으로 먹는다.     봄이 되면 윗방에 흙을 깔고 지과를 심고 물을 주어 싹을 낸다. 싹이 자라면 밭에 옮겨 심는다. 물지게로 물을 길어다 싹 주위에 물을 부어준다. 허리가 부러지듯 힘든 일이다.   오늘도 점심에 지과를 한쪽 먹었다. 옛날 지과 맛이 나지 않는다. 배가 부른 탓이다. 요즘 모든 음식이 맛이 없다. 우리는 너무 풍요롭고 호화롭게 산다. 풀 단지에 쥐 드나들 듯 시장에 자주 가서 먹을 것을 사 온다. 더 넣을 틈이 없는 냉장고, 스위치만 돌리면 에어컨디션이 나오는 집에서 산다.   부에나파크에 사는 나는 오늘 아침도 마켓에 가다가 바로 담장 밖에서 모포를 뒤집어쓰고 걸어가는 무숙자를 보았다. 비를 맞아 어기적거리며 걷고 있다. 어디서 잠을 잤을까. 얼마나 추웠을까. 노숙자는 미국의 골칫덩어리다. 정부가 수십억 달러를 쏟아 부어도 화로에 눈 녹듯 흔적이 없고, 노숙자의 숫자는 줄어들지 않는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그러면 누가 그들을 구제하는가. 열 숟가락이면 밥 한 그릇을 만든다(십시일반·十匙一飯)는 말대로 모든 종교 단체가 협력하면 좋은 결과가 맺을 것으로 생각한다. LA 한인 타운에 천주교 신부와 울타리 선교회의 목사가 노숙자 쉼터를 운영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두 단체의 지역사회 봉사사업을 높이 평가한다.   몇 년 전 어떤 비교 종교학자의 저서를 읽은 적이 있다. 그는 종교를 세상의 어둠을 밝히는 전구 와트와 비교했다. 내가 소속한 종교 단체는 어두운 이웃을 돕는데 어느 정도 자원을 할애하는가. 10와트부터 100와트 사이 얼마나 밝게 비추고 있는가. 윤재현 / 전 연방정부 공무원열린광장 종교 단체 노숙자 쉼터 비교 종교학자

2025-02-20

뉴욕 한인커뮤니티재단 보조금 수혜단체 리셉션

뉴욕 소재 한인커뮤니티재단(KACF)이 19일(수) 오후 6시 30분 LA 한인타운 채프먼 플라자 내 ‘단비’에서 남가주 보조금 수혜 단체 리셉션을 연다.     KACF는 지난 1월 전국 42개 비영리단체에 총 317만 달러의 보조금 지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중 남가주 지역의 10개 비영리단체가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 이번 모임은 이들 단체 관계자들이 모여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는 자리다.     10개 단체는 남가주 아시안아메리칸 정의진흥협회, 한인가정상담소, 한인타운노동연대, 한인타운 시니어 & 커뮤니티 센터, LA 한미연합회, 한미특수교육센터, 민족학교, 한인타운 청소년회관, 리틀도쿄 서비스센터, 소망소사이어티이다.     이번 전국 보조금 사업은 KACF의 협력 단체이자 재정 파트너인 KACF 샌프란시스코와의 협업을 통해 더욱 강화됐다. KACF 샌프란시스코는 LA 지역의 한인가정상담소와 한미특수교육센터에 대한 보조금 지원에 기여했다.     또한 KACF는 서울메디칼그룹의 기부 프로그램을 관리하며, 이를 통해 한인타운 시니어 & 커뮤니티 센터와 소망소사이어티에 보조금을 제공했다.   행사에서는 간단한 음식과 음료가 제공된다.   ▶문의: [email protected]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게시판 리셉션 단체 리셉션 한인가정상담소 한인타운노동연대 한미연합회 한미특수교육센터

2025-02-18

"대학서 나치주의자 해고하라" UGA 학생들, 공대 소속 매니저 지목

UGA(조지아대학) 학생들이 네오나치(신나치) 성향의 교직원을 해고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액션 네트워크’에 올라온 UGA 서명운동 페이지에 따르면 애슨스-클라크 카운티 커뮤니티 멤버라고 소개한 게시물 등록자는 “조지 레이먼드 헤이니 3세를 학생, 교직원 및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해 즉시 해고하고 UGA 캠퍼스 출입을 금지할 것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학교 홈페이지에 따르면 헤이니는 공과대학 산하 ‘머신샵(Machine Shop)’의 매니저 겸 기술 수퍼바이저로 근무하고 있다. 학생들은 “그가 2023년에 받은 8만3000여 달러는 조지아의 네오나치 세력 확대에 기여했으며, 이 급여는 우리 세금으로 지급됐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그가 텍사스에서 결성된 뒤 조지아까지 진출한 네오나치 단체 ‘아리안 프리덤 네트워크’의 일원이라고 밝혔다. 또 그의 아내 역시 “백인 우월주의와 파시스트 사상을 키우는 비영리단체 ‘샤츠킨드 서비스’를 설립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헤이니 부부가 지난해 10월 26일 자택에서 백인우월주의 행사를 주최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작성자는 “우리 지역 사회의 백인 우월주의, 파시즘, 극우주의에 맟서 애슨스와 함께 서달라”고 호소했다.   UGA 학생신문인 ‘더 레드 앤 블랙’에 의하면 지난 4일 UGA 학생들은 캠퍼스에 모여 헤이니를 네오나치 주의자로 지목하고 그를 즉각 해고할 것을 학교에 요구하는 시위를 가졌다.   지난해 10월 헤이니가 개최했다고 알려진 네오나치 행사에 대해 학교의 기회평등사무소(EOO)는 불만 접수 후 조사를 실시했다. 학교의 성명에 따르면 헤이니는 이 행사가 자신의 자택에서 열렸다는 것은 인정했으나, 직접적으로 연루된 것은 없다고 주장했다.   학교는 수정헌법 제1조와 이사회 정책을 언급하며 “아무리 공격적이거나 혐오스러운 활동이라도 사적 공간에서의 표현 활동으로 직원을 처벌할 수 없다”고 밝혔다. 윤지아 기자네오나치 직원 학생 교직원 네오나치 행사 네오나치 단체

2025-02-05

프리웨이 한복판서 곡예운전.. 오토바이 단체, 경찰과 추격전

경찰은 목요일 저녁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서 고속으로 곡예 운전을 벌이던 대규모 오토바이 단체를 추격했다.     처음에는 두 명의 용의자가 교통 위반으로 단속 대상이 되었으나 정차 명령을 거부하며 공중 및 지상 유닛이 동원된 추격전이 시작되었다.     추격은 오후 4시 직전에 시작되었으며, 용의자들은 고속으로 프리웨이에서 차량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빠져나가며 위험천만한 질주를 이어갔다. 한 용의자는 오토바이로 경찰 모터사이클을 들이받으려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격 도중 남성 라이더들은 서로 대화하거나 휴대폰으로 문자를 주고받는 모습이 포착되었으며, 여전히 고속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710번과 105번 프리웨이를 이용하다가 임페리얼 하이웨이로 빠져나와 일반 도로에서도 추격전을 이어갔다.     한편, 추격 중 약 20명에 달하는 다른 오토바이 및 더트 바이크 라이더들이 이들 두 명의 용의자에게 합류했다. 이들 중 다수는 불법 개조된 오토바이를 타고 있었고, 헬멧이나 보호 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다.    추격 도중 라이더들은 한 주유소에 들러 연료를 보충한 뒤 다시 질주를 시작했다. 경찰이 뒤쫓는 동안 일부는 거리에서 스턴트와 윌리를 선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경찰 모터사이클이 추격을 중단한 후, 이들은 고속도로 아래의 한 다리 밑에서 집결했다.     오후 6시경,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CHP) 헬리콥터는 여전히 두 명의 초기 용의자를 찾기 위해 상공에서 수색을 이어갔다. 현재까지 체포자나 용의자 신원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AI 생성 속보프리웨이 곡예운전 오토바이 단체 프리웨이 한복판 대규모 오토바이

2025-01-17

“산불 피해 성금 모금합니다” 사기꾼도 기승

LA 지역 대형산불이 사상 최악의 재난 사태로 커지면서 피해자와 기부자를 노린 각종 사기 행각도 등장하고 있다. LA 시와 카운티 정부는 산불 피해 지원 서비스 대행 및 구호기금 기부 요청 사기 주의를 당부했다.     현재 팰리세이즈와 이튼 산불 등으로 주택 1만5000채 이상이 전소되는 안타까운 사연이 알려지면서, 전국에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여러 단체에서 산불 피해 모금 및 생필품 기부 활동이 한창이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를 틈탄 사기 행각도 감지되고 있다. 롭 본타 검찰총장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자선단체나 비영리단체 사칭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부 사기 단체는 공신력을 갖춘 단체와 비슷한 이름을 내세워 기부자를 속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본타 검찰총장은 “피해자를 도우려는 선한 마음을 악용해서 돈을 벌려는 사기꾼이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가주 검찰은 사기꾼들이 주로 연장자, 이민자, 영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주민을 노린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가주 검찰은 비영리단체 기부를 통해 이재민을 돕고 싶을 때는 해당 단체의 정보와 활동 내용을 미리 파악해 사기 단체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LA카운티 정부는 검증된 비영리단체 정보는 관련 웹사이트(www.bbb.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적십자와 구세군 등 공인기구, 온라인 기부사이트인 고펀드미 인증 단체(www.gofundme.com/c/act/wildfire-relief/california#)에 기부하는 것도 사기 피해 예방 방법이다.     KTLA5는 재난지원금 신청 대행 등을 이유로 개인정보나 수수료를 요구하는 사기도 주의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연방재난관리청(FEMA)은 재난지원과 관련해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네이선 호크먼 LA카운티 검사장은 13일 산불 피해 지역에서 절도 범죄를 벌인 용의자 9명과 방화 용의자 1명을 기소했다고 밝혔다. 절도 용의자들은 대피령이 발령된 지역을 돌며 빈집털이 등을 저지른 혐의다. 절도 용의자 중 한 명은 뺑소니 교통사고로 중범죄 혐의도 적용됐다. 유죄 인정 시 징역 10년 이상 무기징역까지 가능하다고 전했다.      LAPD와 LA카운티 셰리프국은 팰리세이즈와 이튼 산불 피해지역에서 절도 혐의로 12명 이상 체포했고, 샌타모니카 경찰국도 지난 7일부터 12일 사이 40명 이상을 절도 혐의로 검거했다고 밝혔다.       아주사 경찰국은 호세 에스코바라는 남성을 방화 용의자로 체포했다고 전했다. 홈리스로 알려진 에스코바는 지난 10일 오후 11시37분쯤 풋힐 지역에서 나무에 불을 붙인 혐의를 받고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동정심 주의보 사기 주의보 단체확인 중요la카운티 사기 단체

2025-01-13

한인커뮤니티재단, 42개 비영리단체에 300만불 지원

한인커뮤니티재단(Korean American Community Foundation, 이하 KACF)이 '미주 한인의 날'을 맞아 전국 42개 비영리 단체에 317만 달러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지원은 KACF 역사상 최대 규모다. KACF는 2002년 설립 이후 한인 커뮤니티의 기부 문화를 장려하며 1700만 달러 이상의 기금을 조성해왔다.     KACF는 13일 시니어 복지, 젠더 폭력 생존자 지원 및 옹호, 장애인 직업 훈련, 이민자 소상공인 지원, 시민참여 및 정신건강 촉진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단체 지원계획을 발표했다. 뉴욕·뉴저지 일원에서는 뉴욕한인봉사센터(KCS)·뉴욕가정상담소(KAFSC)·뉴저지한인상록회·시민참여센터(KACE)·한인동포회관(KCC)·시민참여센터(KACE)·아시안아메리칸연맹(AAF)·더나눔하우스 등 19개 단체가 수혜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윤경복 KACF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보조금은 미주 한인의 날을 맞아 우리 커뮤니티의 관대함과 협력의 힘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며 "예산이 줄면서 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이 위협받는 상황 속에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66% 증가하는 등 큰 관심을 받았다"고 전했다.     600명 이상의 뉴저지 거주 한인 시니어를 지원하는 뉴저지한인상록회는 "뉴저지에서 10명 중 7명의 한인 시니어가 기존 생필품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KACF의 지원이 저희 프로그램 성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ACF의 올해 보조금과 수혜단체 전체 목록은 웹사이트(kacfny.org/grantee-partne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한인커뮤니티재단 비영리단체 단체 지원계획 취약계층 지원 소상공인 지원

2025-01-12

메디케이드 및 SNAP 지연 개선 예산 지원 촉구

 수십개의 텍사스 단체가 주정치인들에게 다음 회기에 메디케이드(Medicaid) 및 영양 보충 지원 프로그램(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SNAP)에 대한 주정부 등록 시스템을 정비, 개선하는데 필요한 예산을 지원해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북 텍사스 공영라디오(NPR)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메트로폴리탄 달라스 유나이티드 웨이(United Way of Metropolitan Dallas), 테란드 에리어 푸드 뱅크(Tarrant Area Food Bank), 텍사스 병원 협회(Texas Hospital Association)를 비롯한 총 60개 이상의 단체들이 엄청난 적체를 보이고 있는 메디케이드 및 SNAP 등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관 부처인 보건 복지 위원회(Health and Human Services Commission/HHSC)의 예산을 적극 지원해달라며 주상·하원의원들에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에서는 주민에게 공개되는 웹사이트 ‘텍사스 혜택’(Your Texas Benefits)과 주정부 내부 시스템인 ‘텍사스 통합 자격 재설계 시스템’(Texas Integrated Eligibility Redesign System/TIERS)이 등록 또는 갱신을 원하는 텍사스 주민과 신청을 처리하는 주정부 직원 모두에게 “신뢰할 수 없고” “악명 높게 비효율적”이라고 적시했다. 서한에서 단체들은 “지연으로 인해 텍사스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재정적 안정성이 훼손되고 텍사스 주민에게 중대한 불이익이 초래된다. 신청서를 제대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HHSC 등록 직원이 필요하다. 낙후된 기술로 인해 어린이, 임산부,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메디케이드 신청이 지연, 백로그(backlog) 및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방정부는 일반적으로 SNAP 신청을 30일 이내에 처리하도록 요구하며 메디케이드 신청을 처리하는 기관은 대부분 신청자의 자격을 45일이내에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텍사스 트리뷴의 보도에 따르면, 텍사스는 2019년 이후로 이 두가지 연방지침을 충족하지 못했다. 12월 5일 현재 메디케이드 신청이 처리되는데 걸리는 대기 기간은 약 59일이다. 그나마 이 수치도 11월 22일보다는 개선된 것으로 당시 대기 기간은 71일이었고 적체 건수는 13만건이 넘었다. 이와 관련, 연방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와 메디케이드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등 소관 연방당국은 텍사스 주정부 부처가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주 HHSC는 두 프로그램과 아동 건강 보험 프로그램, 빈곤 가족을 위한 임시 지원에 대한 연방 적시성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약 3억달러의 예산을 요청했다. 비영리 단체인 ‘텍사스 아동 보호’(Texans Care for Children)의 건강 정책 디렉터인 다이애나 포레스터는 입법자들이 등록 자격이 있는 아동이 지연 없이 등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보도자료를 통해, “관련 기술 시스템을 도입해 텍사스 가정에게 등록 시스템이 실제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단체들은 SNAP 및 메디케이드에 대한 개선된 프로세스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북부 텍사스 푸드 뱅크’(North Texas Food Bank)에 따르면, 텍사스는 SNAP 보고 시스템을 간소화하지 않은 5개주 중 하나다. 이 단체는 단순화되고 기술을 수용하는 6개월 자격 확인 시스템(6-month eligibility check system)을 권장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을 도입하면 주에서 연간 3,300만달러 이상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손혜성 기자메디케이드 snap 텍사스 단체 텍사스 주민 텍사스 공영라디오

2024-12-27

AAJA<아시아계미국인언론인협회>, ‘한인 인종차별’ 방송인 강력 규탄

생방송 도중 한인 비하 발언을 쏟아낸 유명 라디오 진행자 빌 헨델(사진)〈본지 12월 13일자 A-1면〉을 언론인들이 규탄하고 나섰다.   아시아계미국인언론인협회(이하 AAJA)는 17일 성명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송출한 아이하트미디어와 라디오 방송국 KFI(AM 640)는 인종차별적 발언을 일삼은 헨델에 대해 하차 등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AAJA는 LA타임스, 워싱턴포스트, AP, KTLA, CNN, NBC, 뉴욕타임스 등 주류 언론에서 활동하는 2200여 명의 아시아계 언론인들로 구성된 단체다.   AAJA는 성명에서 “헨델이 한인과 중국계 미국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조장하는 유해한 내용이 담긴 방송을 KFI가 허용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AAJA 측은 “KFI가 헨델의 인종차별적 발언에 대한 지역사회의 시정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만약 KFI가 이를 거부할 시 아이하트미디어가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AAJA 측은 “헨델의 언행은 반아시아계 사건 및 범죄의 잠재적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이하트미디어는 전국 최대 규모 라디오 방송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헨델의 쇼를 송출하는 아이하트라디오와 헨델의 쇼가 제작 및 방송되는 KFI를 소유한 미디어 기업이다.   헨델은 지난 10월 3일 자신의 방송에서 개가 등장하는 동화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책이 한글로 번역됐냐고 하는가 하면, 지난 9월 25일에는 한국과 중국을 개 식용국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9월 16일 방송에서 헨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아이티 이민자의 개·고양이 식용 발언을 언급하면서 또다시 한국과 중국을 언급했다. 헨델은 “개고기 수프 조리법을 찾았는데 한글과 중국어로만 쓰여 있었다”며 “아이티인들의 개·고양이 식용 조리법은 찾을 수 없었다”고 조롱했다.   아울러 헨델은 개 식용과 별개로 한국인을 겨냥한 인종차별적 발언도 이어갔다. 지난 8월 헨델은 온라인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에 관해 이야기하던 중 한국인을 향해 “영어도 못 하고 완전히 무례한 관광객”이라 지칭했다.   본지는 헨델의 비하 발언 입장과 향후 조치를 묻기 위해 전화, 이메일 등 KFI 측에 수차례 접촉을 시도했으나 18일 오후 5시 현재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다.   한편, AAJA는 지난 10월 글렌데일 지역에서 연례 자선 모금 행사를 진행했었다. 〈본지 10월 21일자 A-2면〉 당시 줄리 파텔 리스 AAJA LA 지부장은 행사에서 “43년 전 소수의 기자들이 LA 리틀도쿄에서 시작한 AAJA는 전역에 20개 이상의 지부가 생기고 소속 기자도 2200명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유명 방송인 '개고기 조롱'으로 한인 비하…라디오 진행자 헨델 발언 파문 "아시아계 기자 육성에 주력" AAJA 연례 자선모금행사 성황 김경준 기자아시아계 라디오 아시아계 단체 진행자 항의 라디오 방송국

2024-12-18

비영리·학술기관 쿼터면제 H-1B<전문직 취업비자> 확대

연간 쿼터에 적용받지 않아 수시로 취득할 수 있는 ‘쿼터 면제’ 전문직 취업비자(H-1B) 발급 기관이 늘어날 전망이다.     국토안보부(DHS)는 17일 쿼터와 상관없이 연중 언제든지 H-1B를 신청할 수 있는 곳으로 비영리 단체와 학술 기관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도 일부 비영리 단체가 쿼터와 상관없이 H-1B 비자를 청원할 수 있었지만, 이 부분을 명확히 해 H-1B 발급을 늘리겠다는 취지다. 앞으로는 ▶비영리 연구 기관 ▶정부 연구기관 ▶비영리 또는 면세 기관 등에서 언제든 H-1B 청원을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H-1B를 신청하려면 신청자의 전공이나 학위가 비자 신청 직무에 직접적으로 적용돼야 한다는 요구가 포함된다. 이민서비스국(USCIS) 직원은 직장에 불시로 찾아가 고용주가 H-1B 규정을 준수하는지 확인할 권한이 강화된다.     학생비자에서 H-1B 비자로 전환하는 유학생들의 합법신분 공백을 막기 위한 ‘캡 갭’(Cap-Gap)도 자동으로 반영된다. 만약 5월에 졸업한 학생이라면 일반적으로 12개월의 OPT가 5~7월 사이에 끝나는데, 다음 회계연도까지 신분에 갭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조치다. H-1B 청원서를 제출했다면 1년간 캡 갭 기간이 적용돼 신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국토안보부 장관은 “미국 기업들은 고도로 숙련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H-1B 비자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러한 프로그램 개선은 고도로 숙련된 근로자가 미국 혁신을 계속 발전시킬 수 있는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학술기관 쿼터면제 학술기관 쿼터면제 전문직 취업비자 비영리 단체

2024-12-17

KAF, 26개 비영리단체에 기금 전달

남가주 최초의 한인 커뮤니티 재단인 KAF(Korean American Foundation)가 한인 비영리 단체 26곳에 기금을 전달했다.   지난 22일 LA한인타운 EK 아트 갤러리에서 열린 기금 수여식에는 한인 커뮤니티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행사를 빛냈다. 이날 행사에는 제리 강 교수(UCLA 법대), 브라이언 정 사장(허비스티보험), 신영신 이사장(한인타운 시니어센터), 토머스 한 박사(치과 전문의) 등이 참석했다.   KAF는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3년간 총 116만 달러의 기금을 지원해왔다. 올해는 지난해(35만5000달러)보다 약 12만 달러가 늘어난 47만5492달러를 26개 단체에 전달했다.   지원 단체도 지난해(16개)보다 10개가 더 늘었다. 지원 단체 범위도 LA를 넘어 오렌지카운티로 확장해 토런스-사우스베이 YMCA와 오렌지카운티 한미노인회도 명단에 포함시켰다.   KAF는 지원 단체 선정 기준으로 주택 지원, 정신 건강, 노인 복지, 커뮤니티 성장, 차세대 육성 등 7개 분야를 심사했다. 지원 금액은 2만 달러, 1만 달러, 5000달러로 분류해 단체의 활동과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 지급됐다.   올해 지원서는 지난 9월부터 접수를 시작해 약 한 달 동안 심사가 진행됐다. 기금에 지원한 단체 수는 작년보다 3배 이상 늘어난 48개였다. KAF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강창근 KAF 이사장은 “비영리 단체 간의 입소문과 보드 멤버 확대가 신청 증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기부자 조언 기금(Donor Advised Fund·DAF)은 이번 지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파운더스 서클’은 10만 달러 이상을 기부한 후원자 그룹이다. 이 중 스캇 양씨는 지난해부터 한미특수교육센터(KASEC)에 매년 10만 달러씩 5년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양씨는 LA한인타운 코리아타운플라자 쇼핑센터를 개발한 인물로 올해도 10만 달러를 전달하며 약속을 지켰다. 그는 “좋은 취지의 프로그램을 돕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파운더스 서클의 한 멤버는 장애인 지원 비영리 단체인 ‘어빌리티퍼스트(AbilityFirst)’에 10만 달러를 기부했다.   KAF는 단순히 기금 지원에 그치지 않고 한인 커뮤니티의 정치력 신장도 목표로 하고 있다.   강창근 이사장은 “유대계, 일본계, 중국계 커뮤니티는 이미 자체 파운데이션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며 “KAF는 한인 커뮤니티가 지속 가능한 발전과 정치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AF에 따르면 차기 이사장으로는 존 림(사진) 림넥서스 대표 변호사가 내정됐다. KAF는 지난 2018년 고 홍명기 회장(M&L 홍 재단)과 데이빗 이 회장(제이미슨 그룹)의 주도로 설립됐다. 현재까지 760만 달러의 기금을 확보했으며, 10만 달러 이상 기부한 ‘파운더스 서클’ 멤버는 53명이다. KAF는 가주 최대 비영리 재단인 CCF(California Community Foundation)와 협력해 기부금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다. 정윤재·강한길 기자완료 단체 단체 지원남가주 지원 단체 비영리 단체

2024-11-24

[중앙칼럼] 같은 비극, 다른 반응

뉴저지의 한인들은 침묵하지 않았다. 공분했고 이어 규탄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지난 7월 뉴저지주 포트리에서 경찰 총격으로 숨진 빅토리아 이(25)씨 사건 얘기다.     이 사건은 지난 5월 LA에서 발생한 양용씨 사건과 닮은 데가 많다. 이씨도 정신질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증세가 심해지자 가족은 당국에 도움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씨가 마주한 건 구급 대원이 아닌 경찰이었다.   경찰이 온다는 소식에 이씨는 칼을 들며 불안감을 드러냈다. 이 사실을 인지한 가족은 경찰이 접근하지 말 것을 간곡히 요청했다. 하지만 경관은 현관문을 10여 차례나 두드렸고, 이씨는 흥분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임에도 경관들은 문까지 부수며 진입했다.     이씨는 왼손엔 흉기, 오른손엔 물통을 들고 있었다. 경관은 두려움에 떨던 이씨가 다가오자 가차 없이 발포했다. 이씨는 범죄자가 아니었다. 정신적인 아픔을 겪는 환자였을 뿐이다. 경찰은 그런 이씨를 범죄자 다루듯 했다. 경찰 총탄에 또 하나의 생명이 사그라졌다.   경찰은 과잉대응 논란에 원론적인 입장만 내놨다. 보디캠을 공개하며 원칙대로 대응했고 조사가 진행 중이란 말뿐이었다. 과연 뉴저지의 한인들이 경찰의 대응 규정을 이해하지 못해서일까. 아니다. 무고한 시민에게 무분별하게 적용했다는 점에 분개한 것이다.   뉴저지 한인회, KCC, 민권센터 등 수많은 한인 단체 관계자들은 곧바로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한인 사회가 움직이자 여러 아시아태평양계 단체들과 주류 기관들이 목소리를 보태기 시작했다.   급기야 사건 발생 지역 인근인 포트리 커뮤니티센터 잔디광장에는 한인 단체를 비롯해 여러 소수계 단체 관계자들이 모였다. 그리고 경찰의 정신질환자 대응 절차 검토를 한 목소리로 요구했다. 더는 억울한 죽음이 없어야 한다는 외침이었다.   빅토리아 이가 양용과 다른 점이 있다면 국적이다. 양씨는 영주권자, 이씨는 시민권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한국 정부를 대리하는 김의환 뉴욕 총영사는 검찰총장실에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를 당부했다. 포트리시의 마크 소콜리치 시장도 만나 빅토리아 이 사건을 언급하며 시스템 개선에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한국 정부의 개입 오해를 살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김 총영사는 미국 내 한인의 60% 이상이 시민권자라는 점을 내세웠다.     그는 “국가적 차원을 떠나 인도적 면에서 접근했다. 편지조차 못 보내면 총영사로서 왜 앉아 있겠는가”라며 뉴욕과 뉴저지 지역 한인 사회의 단합된 대응까지 당부했다.   압박 여론이 거세지자 뉴저지 검찰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새로운 프로토콜까지 발표했다. 의분이 결국 변화를 끌어낸 셈이다.    LA 한인 사회는 어떤가. 양용 사건 규탄 집회에 한인 단체장이나 정치인은 아무도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특히 한국 국민인 영주권자가 피살됐음에도 영사관 관계자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선거 때만 되면 한인 사회를 찾는 존 이 LA시의원(12지구), 미셸 박 스틸 연방하원의원(45지구), 영 김 연방하원의원(40지구) 등 현역 정치인은 공식 성명 하나 발표하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LA경찰국 임시 책임자가 한인인 도미니크 최 국장인데 그에게 부담을 주면 되겠느냐고 말한 전직 한인 단체장도 있었다.     잘못된 공권력 사용으로 인한 비극이 계속되고 있다. 단순히 피해자가 한인이라서가 아니다. 그들의 죽음을 계기로 더는 억울한 희생이 없도록 잘못된 시스템을 바꾸라고 목소리를 내자는 말이다.     17일(내일) LA시의회에서는 양용 씨를 기리는 추모 시간을 갖는다. 유가족은 시의원들과 주민들 앞에서 아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해 발언할 예정이다. 이날 시의회 관람석은 모두에게 열려 있다.     한인 사회의 침묵은 멸시를 자초하는 것이고 무관심은 양용에 대한 2차 가해다. 지금이라도 목소리를 높이고 밖으로 나와야 한다.  장열 / 사회 부장중앙칼럼 비극 반응 뉴저지 한인회 한인 사회 한인 단체

2024-09-15

[사설] 총기 규제 강화도 대선 이슈 돼야

총기 난사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일 시카고에서 전철 내 총기 난사로 4명이 숨진 데 이어 4일에는 애틀랜타 인근 고등학교에서 또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최소 4명이 숨지고 9명이 부상을 입었다.  경찰은 현장에서 이 학교 재학생인 14세 소년을 용의자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용의자는 출동한 경찰과 대치하다 투항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망자 4명 가운데 2명은 교사, 2명은 학생으로 확인됐다. 수사 당국은 범행 동기와 함께 10대 소년이 어떻게 총기를 구해 교내로 반입할 수 있었는지 등도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고교 총기 난사 사건은 개학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발생한 것이라 학부모들의 우려가 크다.     전국에서 올해 들어서만 370여 건의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총기 난사란 4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을 의미하는 만큼 전체 총기 관련 사건은 이보다 훨씬 많다. 한 총기범죄예방 단체의 집계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매일 320건가량의 총기 관련 사건이 발생하고, 110여 명이 목숨을 잃는다. 지난해에도 총기 사건 관련 사망자가 4만 명이 넘었다.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정치권은 규제 강화를 외친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질적인 방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총기 소유 권리를 보장한 수정헌법 2조를 앞세운 보수 세력과 전미총기협회(NRA)의 전방위 로비 때문이다. 4일 사건 직후 바이든 대통령과 카말라 해리스 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즉각 성명을 냈지만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는 침묵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해리스 후보는 “총기 폭력이라는 전염병을 끝내야 한다”며 “대선에서 승리하면 공격용 소총 금지와 신원 확인 강화법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안전한 미국’을 원한다면 총기 규제 강화도 11월 대선의 주요 이슈 가운데 하나가 되어야 한다.사설 강화도 총기 총기 난사로 총기범죄예방 단체 대선 후보

2024-09-04

헤리티지 골프장 일부 재개발 추진

주민들 "지나친 고밀도 개발" 반발   한인들이 많이 찾는 터커 시 헤리티지 골프 링크스가 골프장 일부를 주택 단지로 재개발하는 계획을 밝히자 주민들이 녹지공간 보존 등을 이유로 반발하고 있다.   헤리티지는 I-85번 99번 출구 인근에 있는 27홀 퍼블릭 골프장으로, 골프장 측은 부지의 일부인 9홀 코스 매각을 추진 중이다. 골프장을 소유한 가족은 귀넷 카운티에 골프장을 계속 운영하려면 부지에 있는 댐을 대대적으로 수리해야 하는데, 토지의 일부를 팔고 댐을 비롯한 여러 곳을 개보수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민 대다수는 이같은 계획에 반대하고 있다고 지역매체 채널2 액션뉴스가 보도했다. 골프장 재개발 계획안을 제시한 개발업체 ‘파크랜드 커뮤니티’는 9홀 부지에 타운홈, 단독 주택, 복층 주택 등 총 229채를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브릿 로드와 올드 노크로스 터커 로드를 끼고 있는 부지에 ‘고밀도’ 주택 단지가 들어서면 녹지 공간이 없어지고 교통이 혼잡해진다며 주민들은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 제프 클리브랜드 씨는 “이곳은 2차선 도로다. 개발이 필요하다면 책임감 있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교통 체증을 우려했다.   반면 개발업체는 인근 지역에 보다 저렴한 중산층 주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주민들은 파크랜드 개발사의 재개발 계획을 반대하는 홈페이지(saynotoparkland.com)를 만들고 정보를 공유하고 탄원서를 받고 있다. 주민 단체는 홈페이지를 통해 “헤리티지가 팔려는 부지를 녹지 공간으로 보존할 수 없어 개발이 불가피하다면 책임 있는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개발업체에 주택단지 밀도를 줄여달라는 구체적인 제안서를 보냈지만 업체 측이 거절했다고 주장하며 “커뮤니티로서 우리의 관심사는 커뮤니티 가치와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민단체는 개발 제안서를 인용, "1330스퀘어피트(sqft)에 200개가 넘는 유닛이 지어질 계획이라는데, 우리 조사에 따르면 이런 부동산은 임대 매물로 전락해 제대로 관리가 안된다”고 지적했다.   귀넷 카운티는 오는 23일 커미션 회의에서 헤리티지 골프장 재개발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윤지아 기자골프 헤리티지 재개발 계획안 주민 단체 파크랜드 개발사

2024-07-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