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젊은 느티나무로, 그래도 살아

깃털까지 붙잡고 살자. 후회 없이 사랑하며 살다 떠나자. 죽을 때까지 죽은 게 아니다. 남은 시간이 살아온 시간보다 적다 해도 슬퍼하지 않기로 한다.   늘 하던 것들이 힘에 부대끼고, 기억의 창가를 맴도는 강물이 느리게 흘러도 절망하지 않기로 한다. 과속으로 달리던 브레이크를 급히 잡으면 전복되기 쉽다. 과욕 부리지 않고 정성을 다하면 크게 떠벌리던 일들도 별 거 아니란 걸 알게 된다.   청춘은 불에 댄 사랑처럼 뜨겁고 힘겨웠다. 소용돌이 치는 파도와 힘겨루기 하며 피를 철철 흘리며 장년을 보냈다. 세월이 마디마디 금을 긋고, 타다 남은 촛불처럼 삶이 흘려내려도, 기적처럼 버텨온 생의 순간들을 붙잡고 버티기로 한다.   꽃잎들은 겨울동안 말라 비틀어진 가지 추스르며 다투어 햇살 아래 속살 드러낸다. 맨 땅이라도 뿌리만 땅속 깊이 내리면 싹이 돋고 잎이 자란다. 사랑이 허허벌판 굳은 땅에서 느티나무로 뿌리내리는 것처럼.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로 시작되는 강신재의 젊은 느티나무는 부모의 재혼으로 오누이가 된 청춘남녀의 사랑을 감각적이고 세련된 문체로 그려 싱싱하고 풋풋한 사랑을 담아낸다. 윤리의 껍질 벗고 연인으로 사랑해도 괜찮을 방법을 찾자며, 각자가 처한 현재의 길을 걷자고 맹세하는 사랑은 아름답다.   느티나무는 사회적 통념에 굴하지 않는 젊은 남녀의 순수한 사랑을 상징한다.   느티나무 꽃말은 ‘운명’이다. 느티나무는 운명을 거스르지도 운명에 굴복하지도 않는다. 운명을 바꾸려 용쓰지 않고 처음 뿌리내린 곳에서 목숨이 다하는 날까지 그 자리를 지킨다. 비바람 눈보라에도 쓰러지지 않고 무성한 잎을 가지마다 매달고 넓은 그늘 만들어 그대가 돌아올 시간을 기다린다. 천년을 하루같이 올곧은 사랑의 약속을 지킨다.   언젠가부터 단단했던 느티나무의 몸에 옹이가 생기기 시작했다. 옹이는 나무의 몸에 박힌 가지의 일부분이다. 길고 긴 세월 동안 세월을 견뎌낸 뒤틀린 아픔이다. 살아남기 위해. 더 단단해지기 위해, 느티나무는 품 속에 가지를 키웠는지 모른다.     천년을 견디는 느티나무도 사는 것이 녹록지 않았을까? 옹이가 많은 나무는 갈라지거나 뒤틀려서 목재로서 가치가 없어진다. 옹이가 껍질을 허물고 상처를 도려내도 느티나무는 옹이를 품고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사랑에 불씨 하나 가슴에 불 질러놓고/ 냉정히 등을 돌린 그 사랑 지우러 간다/ 얼마나 달려가야 이 사랑 내려놓을까/ 어디쯤 달려가야 그리움도 내려놓을까/ 너무 깊어 옹이가 된 사랑 때문에 내가 운다(중략) 빼지 못할 옹이가 된 사랑 때문에 내가 운다’ -조항조 노래 ‘옹이’ 중에서   산다는 것은 수많은 옹이를 품고 견디는 일이다. 옹이는 휘몰아친 생의 고난과 시련이 남긴 못자국이다. 지게꾼으로 자식을 키운 아버지의 손에 남은 인고와 흔적이다. 산다는 것은 아버지의 손바닥에 굳은 살로 남은 옹이가 아닌지.   아프지 않는 것은 없다. 성장은 고통의 흔적을 남긴다. 청춘의 불길이 뜨겁고 목말라도 상처와 고통으로 옹이 진 그대 심장에 사랑은 작은 동그라미를 그린다.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감당해야 할 몫이다.   사는 것이 힘들고 외로워도, 젊은 느티나무로, 그래도 살아있기를. (Q7 Fine Art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느티나무 느티나무 꽃말 옹이가 껍질 사랑 때문

2024-05-21

[열린광장] 초근목피 (草根木皮)

북한에서 굶어죽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한다. 먹지 못하면 단백질 결핍과 수분 축적으로 배가 붓는다. 뉴스를 통해 울기운도 없이 늘어져 있는 아프리카 어린이를 보면 가슴이 아프다.     실향민인 나는 한국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만 해도 북한에서 굶어죽는 사람이 생겼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 곡물은 없어도 초근목피, 즉 풀뿌리와 나무껍질은 풍부했기 때문이다.   보리 타작 전 즉 ‘보릿고개’가 가장 어려운 시기였다. 어느 집이나 쌀독이 거의 바닥나면 저녁에 죽을 쑤어먹었다. 묽은 죽을 두 사발씩 먹으면 배가 부르지만, 화장실 몇 번 다녀오면 다시 배가 고팠다. 아침에는 팥이나 녹두를 섞은 조밥을 먹는다. 우리 마을 사람들은 고구마나 옥수수 같은 거친 음식은 먹었지만 굶지는 않았다.   뒷산에 가 나물을 뜯어왔다. 가장 흔한 나물이 찻잎과 비슷한 ‘혼잎’이다. 봄에 싹트는 풀은 할미꽃 같은 독초를 제외하고 모두 뜯어다 데쳐 먹었다. 그 가운데 개두릅과 참두릅은 고급 나물이다. 옛날 튀긴 참두릅은 임금님의 밥상에도 올랐다고 했다. 더덕도 인삼 못지않게 귀한 뿌리다. 나는 어디에 가면 더덕이 있는지 알고 있었다. 열 발자국 전에 더덕 냄새가 코를 찌른다.     바다에서도 나물을 뜯어왔다. 개흙 바닥에 자라는 알파파와 비슷한 ‘행이’ 나물은 부드럽고 감칠맛이 있었다. 개흙에 사는 ‘칡바리’ 게는 너무 많고 맛이 없어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바다에서 조개, 굴, 게, 새우를 잡아 오고, 집에서 기르는 닭과 달걀, 그리고 돼지 등은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나는 콩새 사냥을 해서 할머니를 즐겁게 해드렸다. 콩새는 블루 제이와 비슷한 크기의 새로 흔히 콩밭에 산다. 이 새를 우리는 ‘바보 새’라고 불렀다. 콩새 떼가 있는 앞에 먹이를 매달은 쥐덫을 놓고 몰이를 하면 그 대로  덫에 걸렸다.   한 해는 흉년으로 보릿고개가 일찍 왔다. 산에는 눈이 쌓여있고 바다는 꽁꽁 얼어붙었다. 아이들과 함께 동네 어귀에 아름다운 소나무에 낫을 대었다. 것 껍질을 벗긴 다음 낫 끝으로 사방 한 자 칼자국을 내고 위를 두 손으로 잡아당겨 벗겼다. 소나무 껍질을 물속에 담아 솔 냄새를 우려낸 다음 햇볕에 말렸다. 말린 껍질을 절구에 넣고 찌어서 가루를 만들었다. 통밀가루 사이에 소나무 가루를 넣고 시루떡을 만들었다. 송진 냄새가 나서 나는 먹지 않았다.     북한에서 굶어죽는 사람이 생긴다는 말은 초근목피도 없다는 말이다. 왜 그럴까. 나무와 낙엽은 모두 베고 긁어서 땔감으로 사용했다. 북한의 산은 거의 붉은 민둥산이 되었다.     북한에 식량 원조를 하면 곧바로 군량미가 될 것이다. 굶어죽는 북한 동포를 도와줄 방법은 없을까? 풀기 어려운 수수께끼다.   윤재현 / 전 연방정부 공무원열린광장 초근목피 소나무 껍질 소나무 가루 더덕 냄새

2023-08-27

[수필] 끝이 보이는 언덕에서

‘이제 어쩔 것인가 /  아쉬워 뒤돌아본들   흘러간 것은 / 잡을 수 없는 걸/   나 있을 자리 아니라고/   내 자리 마음에 들지 않아/   탈출을 꿈꾸고/ 자유를 갈망했는데   막상/ 떠나려니 넘치는 아쉬움/   낙엽 밟히는 가을 길에/   눈물처럼 떨어지네.’   하던 사업을 정리하면서 잠시 마음이 허전하여 써본 글이다. 가게에 몸은 잡혀있지만 마음이라는 형상은 자주 몸에서 빠져나와 먼 곳을 멋대로 방황하다가 돌아오곤 했다. 오늘도 운전대에 앉아 갈 곳을 무심히 지나쳐버렸다.   아, 내가 왜 이럴까? 다시 말머리를 돌려 목적지에 갔지만 나의 마음 내 혼이 육체에서 빠져나와 어디론가 헤매다가 돌아온 것이 틀림없었다. 지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지켜야 할 일정을 이탈해 버리고 백일몽이나 꾸며 한가로이 유유자적할 처지도 못 되는 형편인데, 어쩌자고 마음은 몸 가는 곳에 함께 가주질 않는지 모르겠다.   삶에 지쳐 숨 막히던 혼이 틈새를 엿보다가 쏙 빠져 도망쳐 버리는 탓일까, 남보다 더 먹고 더 길게 살 것도 아닌데 왜 이리 바쁜지 모르겠다. 세끼 입에 풀칠이나 하면 될 것을….   이 나라에 산지 반평생 꽤 오래되었는데 항상 무엇에 쫓기듯 바쁘고 어쩌다 한가한 시간을 만나면, 내가 이래도 돼? 스스로 반문할 때가 있다.     긴장의 연속, 삶의 경주에서 뒤지지 않으려고 발버둥 치던 지난날들, 하루라도 방심을 하면 삶의 대열에서 나만 낙오자가 되고 인경이 울려 성문이 닫히면 나만 못 들어갈 것처럼 불안·초조 했었다. 오십여 년을 이 땅 한 모퉁이에서 끊임없이 허덕이며 지나온 날들이 돌아다보니 지금은 오히려 짧게 느껴진다.     정녕 이젠 수고롭고 바쁜 시절은 다 보냈구나.   언제 신록의 봄이 왔다 갔는지, 여름이 어느새 왔는지, 풀꽃 향기가 얼마나 향기로운지, 미쳐 느끼거나 만져보지 못한 자연을 이제야 여유롭게 감상해도 될 때가 온 것 같아서 마음이 설렌다. 어깨에 짊어졌던 배낭 같은 책임, 의무를 벗어 던지고 지는 저녁 해를 보려 바닷가를 서성여도 아무도 나무라지 않을 지점까지 온 것 같다   그런데, 왜 이토록 가슴이 허전해지는지 모르겠다. 힘차게 달리던 차가 갑자기 급정거하면 그 반동으로 킥 쓰러지는 현상일까? 아니라면 매일 반복적으로 하던 일을 놓는 허전함일까? 그럴지도 모르지. 에스크로 회사에 가서 사인하고 돌아서는 마음이 허전했지만, 시원했었다.   많은 것을 하고 싶던 지난날들, 좋아하는 소설도 읽고, 촉촉이 봄비 나리는 날, 추녀 끝에 떨어지는 물방울을 세면서 향기로운 커피잔에 모차르트를 담가 보는 낭만을 미루고 살아왔다. 한적한 시간 사업체에 앉아 눈을 감으면 모처럼 이어지는 영감(靈感))의 줄을 툭툭 끊어버리던 손님들, 지나간 추억 속에서나 만나 봐야겠지.     오늘 아침 한국서 보내오는 월간 문학잡지가 도착했다. 첫 장을 여니 파란 신록의 사진과 함께 미당의 시 한 수가 실려 있다. 백양나무가 뻗어있는 오솔길과 연녹색 나뭇잎이 가슴을 설레게 한다.     ‘아- 난 이제 자유랍니다. 삶의 무서운 경쟁을 끝냈답니다. 애지중지 사랑하는 자식들도 잘 키워서 저희가 원하는 세상으로 내보냈습니다. 마음껏 저 오솔길을 걸어도 시간이 날 속박할 수 없을 터, 백양나무 껍질에 시를 써놓고 바람 따라 구름 따라 끝없이 터벅터벅 걸어가다가 흩날리는 길 먼지를 뒤집어써도 행복할 것 같습니다. 느긋한 마음으로 하늘을 올려보며 오랫동안 못 보던 친구를 찾아 점심을 함께해도 시간에 쫓길 일도 없을 것입니다. 스케줄이라는 강박관념조차 힘을 못 쓸 것이니까….’   ‘Retirement’ 라는 낱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니 은퇴, 은거, 퇴직, 은거하는 것, 외딴곳, 벽촌이라고 되어 있다. 그래, 나는 이제 은거하는 삶을 살 것이다. 흐드러지게 단풍이 진 산록에서, 청풍명월 산정에서, 펄펄 끓는 열대 사막 온천에서 나만의 삶을 산들 그 누가 탓할까. 겁날 게 없다.   돌이켜 보면 감사한 세월이었다. 역병에 시달림도 안 받았고, 식구들 모두 건강하게 제할 일 다 하고, 부자는 못돼도 그럭저럭 잘 살았다. 그런데 어느 시인의 시구처럼 왜? 나는 그대 떠난 강가에 홀로 남겨진 빈 배처럼 끝없는 수평선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제3의 삶이 시작되는 것에 대한 불안인가?     지난날들이 아득한 전생이라면, 지금은 고요한 아침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남아있는 날들을 더 알차게 보람되게 살기 위하여, 언덕에 서서 저문 하늘에 떠오르는 달빛도 바라보고, 사막에서 불어오는 바람 따라 구름 따라 동 가숙 서 가숙 자유를 누리며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르도록 살아야겠다.  김명선 / 소설가수필 언덕 은퇴 시간 사업체 자리 마음 백양나무 껍질

2023-05-11

[수필] 계란 껍질을 깨면

난 어렸을 적에 사람들이 멋있어 보이려고 안경을 쓰는 줄 알았다. 아니, 안경을 쓰면 멋있어지는 줄 알았다. 여대를 졸업하고 곧바로 산골 학교 까까머리 중학생들의 국어 교사로 부임하신 우리 여선생님은 잘 어울리는 안경을 쓴 아담한 체격의 아주 예쁜 미인이셨다. 그의 옷매무새는 항상 세련되고 우아했다. 그의 천진스런 미소에 사춘기 소년들은 숨쉬기도 어려웠다. 그리고 모두 자신들도 그런 자기의 소녀를 만나고 싶어했다. 그는 유식한 고시조(古時調)를 품위 있게 외워 주셨고, 가끔 들려주신 재미있는 고사(古史)들로 우리는 문화인이 되는 흡족함을 누렸다. 그때부터 안경을 쓴 사람은 다 멋있었다. 안경에는 공부도 잘하고 깔끔한 외모에 세련된 매너가 있어 보이게 만드는 마력(魔力)이 있었음이 틀림없다.   그 무렵 먼 친척뻘 서울 친구가 하나 있었다. 그는 음색이 무척 굵고 깊고 아름다운 선율의 한 커다란 낯선 악기를 잘 다뤘다. 첼로보다 훨씬 큰 악기였는데 그 이름이 너무 어려워서 난 잊어버렸다. 그는 이런저런 연주 여행을 자주 다니고 키가 훤칠하게 크고 잘 생긴 부러운 녀석이었다. 사람이 너무 똑똑하고 잘생기고 뛰어나면 그것도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 그것은 아마도 어린아이들까지도 가지고 있는 인간의 못된 심리(心理) 가운데 하나인 모양이다. 어쨌든 우리는 그 녀석을 곧잘 골려 먹었다. 그런데 그 아이는 유난히 두껍고 무거운 안경을 썼었다. 눈이 아주 나빴던 게다. 장난을 치며 실컷 약을 올려놓고는 안경을 벗겨버리면 씩씩거리면서도 우리를 잘 찾아오지 못했다. 우린 그걸 그렇게 재미있어했다. 그에게 그것이 얼마나 큰 상처를 주는 고통이었는지 우리는 잘 몰랐다. 오히려 안경 없이는 찾아오지 못하는 모습이 재미있어서 그 짓궂은 장난을 거듭하고... 나쁜 놈들이지! 어린 시절은 그렇게 지나고, 잘못하면 사람이 안경 때문에 낭패를 당할 수도 있겠다는 안경에 얽힌 또 하나의 추억이 내 뇌리에 쌓인 셈이다.   시대가 많이 흘러 이제는 안경이 아주 보편화되었다. 사방에 안경 쓴 사람이 숱하게 많고, 멀쩡해 보이는 사람들마저도 알고 보면 사실은 콘택트렌즈를 끼고 있다니 아마 이건 일종의 문화병인 모양이다. TV나 게임기를 좋아하는 세대, 더구나 컴퓨터에 버금가는 휴대폰에서 어딜 가든 눈을 떼지 못하는 젊은 세대에서는 희생자가 더 많이 나올 것 같다. 그래서 안경에 대한 이미지도 예전 같지 않다. 내 경우는 검정고시를 치를 때 눈을 망가트려 버렸다. 아직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연령대에서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고 눈을 혹사했기 때문이란다. 하기야 하루에 잠을 두세 시간밖에 못 자며 오랫동안 책과 씨름했으니 심한 가성근시가 걸린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그 후에 점차 회복되기를 기대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았다.   가성근시는 조만간 회복될 수 있다는 얘기도 들은 데다, 안경값이 만만치도 않았고, 더구나, 자꾸만 김이 서려 불편해하는 이들을 보면서 안경 구하는 일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다. 마침내 김포에서 일할 무렵에 눈이 몹시 아프고, 정상적으로 생활하기가 힘들어서 처음으로 안경을 하나 맞추어 쓰게 됐다. 꽤 비싸고 좋다는 안경이었다. 하지만 콧잔등이 어찌나 아프고 무거운지 나는 차라리 안경 없이 버티는 편을 택했다. 도대체 그 불편한 안경을 왜 써야 하나 하면서…   그런데 아무래도 이제 내 차례가 되었나 보다. 눈에 좋다는 음식을 다 찾아 먹어도 별 효과가 없다. 걸핏하면 눈이 아파서 안면 근육이 수축하니 앞사람과 마주 보고 얘기하기가 민망하다. 사람들은 속도 모르고 내가 예전과 달리 표정이 굳었다고 한다. 속 터지는 얘기다. 아닌 게 아니라, 나는 좀 힘들고 피곤하면 눈이 제일 먼저 안다. 어쩔 수 없이 의사의 조언을 구했다. 다행히 요즘 안경은 훨씬 가볍고 덜 불편하다나? 직업인의 아주 전문적 화법이다. 결국 나는 거금을 들여 두 벌의 안경과 선글라스를 맞췄다. 히야, 그런데, 눈이 덜 아픈 것만도 좋은데, 이렇게 선명한 세상도 있었다니…! 꽤 멀리 떨어진 물체도 이제 선과 색조가 뚜렷하다. 자동차 운전도 훨씬 수월해졌다. 그러면 그 오랜 세월 동안 나는 어리석게도 많이 손해를 본 셈이다….   그래, 아직도 내가 알지 못하는 더 밝고 환한 세상, 더 아름답고 소중한 가치관, 더욱 확실한 진리가 있나 보다. 내 고정관념 (固定觀念)의 틀을 벗어나면 다른 세계가 있음이 분명하다. 안경 낀 여인은 지금도 여전히 멋있고. 유진왕 수필가수필 껍질 요즘 안경 안경 때문 자동차 운전도

2022-11-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