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북미지역 4000명 효과] 막강 '한인교수 네트워크' 영향력 커진다

북미 지역에 한인 학자가 40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면서〈본지 5월 5일자 A-1면〉 이들이 형성한 네트워크의 시너지 효과가 주목을 받고 있다.   북미한인교수협회(KAUPA)는 최근 들어 ▶학제간 공동연구 활동 ▶종신교수 임용심사 관련 세미나 ▶연구비 지원 관련 발표회 ▶학부 및 대학원생 대상 장학금 제공 ▶아시안 혐오범죄 규탄 성명 발표 등 학계는 물론 사회 문제에도 적극 목소리를 내고 있다.   KAUPA 회장 최영배 교수(리전트대학)는 “타인종 교수들을 봐도 한인 교수들과 같이 같은 민족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 단체나 협회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한국이 세계적으로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인 교수들의 활동 역시 북미 학계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며 “특히 21세기는 워낙 다양한 사회이다 보니 한 분야가 아닌 다제간 공동연구가 대세다. 한인 교수들은 이를 시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미 갖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KAUPA는 이공계를 중심으로 인문대, 사회과학, 법대, 예술대, 신학대 등 북미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분야의 한인 교수가 소속돼 있다. 미국물리학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시카고대 물리학과 김영기 교수같이 세계적인 학자들이 있는가 하면 물론 래리 호건 매릴랜드 주지사의 부인인 유미 호건 교수(매릴랜드 아트칼리지)도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1월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두보이즈 캠퍼스 총장으로 선임된 류정우 교수〈본지 2월1일자 A-22면〉 역시 KAUPA에 소속돼 있다.   KAUPA와 연계된 전공별 한인 학술 단체도 많다. 전공 분야별로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 한인신경과학회(AKN), 한미엔지니어링프로젝트매니지먼트협회(KACEPMA), 한미수학자협회(KAMSA) 등 30여 개의 세부 전공별 단체가 KAUPA와 함께 한인 학자 간 네트워크를 형성중이다.   KAUPA는 북미 지역을 넘어 유럽 학계에서 활동하는 한인 교수들과도 접촉중이다. 유럽 유수의 대학에서도 한인 교수들이 다수 활동중이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는 한인 교수들은 국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인 학자들도 노벨상 등을 받도록 긍정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 쓰고 있다”며 “전세계 한인 교수들이 한자리에 모여 학술회의를 개최하게 될 날도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북미한인교수협회는   1985년 10월12일 버지니아주 해리슨버그 지역 제임스매디슨대학에서 출범했다. 당시 이성형 교수(애팔란치안주립대학), 최인달 교수(제임스메디슨대학), 신의항 교수(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등 세 명이 의기투합해 창설했다. 현재 북미 지역에서 활동하는 교수를 포함, 한국에서 활동하는 학자까지 합하면 5300명 이상의 회원이 가입했다. 최영배 교수는 오바마 정부 시절 백악관 과학기술자문위원이었던 매릴랜드대학 짐 게이츠 교수와 나눈 대화를 잠시 들려줬다. 최 교수는 “타인종 교수 중에는 이렇게 민족별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하더라. 이러한 네트워크는 앞으로 한국과 미국, 양국에 큰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열 기자북미지역 4000명 효과 한인교수 네트워크 한인 교수들 종신교수 임용심사 타인종 교수들

2022-05-05

북미 지역 대학들, 한인 교수 얼마나 있을까

북미 지역 대학에서 활동하는 한인 교수가 40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인 교수들은 주별로는 가주 지역 대학에, 단일 학교로는 아이비리그의 대표 명문인 하버드(Harvard) 대학에 가장 많았다.   아시아·태평양계(AAPI) 문화유산의 달인 5월을 맞아 본지는 북미한인교수협회(KAUPA)의 ‘북미 한인 교수 현황 분석 논문’을 입수했다.   KAUPA 논문에 따르면 전국 공립·사립대학 등에서 활동하는 한인 교수(객원교수·전임 강사 포함)는 총 3941명이다. 캐나다(111명) 지역을 합하면 4052명의 한인 교수가 북미 지역에서 활동 중이다.       대학별로 보면 한인 교수는 하버드대학(159명)에 가장 많았다. 전체 북미 지역 한인 교수 중 약 4%에 해당한다.   〈표 참조〉   코넬대학교의 웨일 코넬 의대(52명)는 한인 교수가 두 번째로 많은 학교다. 이어 퍼듀대학·텍사스A&M대학(각각 50명), 럿거스대학(46명), 워싱턴대학(43명), 뉴욕대학(NYU·42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주별로 보면 스탠퍼드대학(38명), UCLA(31명), USC(23명) 등 가주 지역 대학에 총 471명의 한인 교수가 있다. 한인 교수 10명 중 1명(약 12%)이 가주에서 근무 중인 셈이다. 이어 뉴욕(432명), 텍사스(309명), 매사추세츠(277명), 일리노이(177명), 펜실베이니아(175명) 등의 순이다.   한인 교수 역시 한인 인구가 많은 가주, 뉴욕, 텍사스 등에 약 30% 가까이 몰려있음을 알 수 있다.     ━   최신 통계 집계한 최초의 분석 논문     이번 조사는 KAUPA 최영배 교수(리전트대학), 황성남 교수(사우스이스트미주리주립대학) 등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1년간 조사를 진행, 논문을 발표했다.   KAUPA 회장 최영배 교수는 “한인 교수 현황을 분석해서 논문으로 낸 것은 최초이며 지난해 8월 기준이기 때문에 가장 최신 통계”라며 “한국의 세계화 가운데 4000여 명의 한인 교수는 북미 학계에서 영향력을 가진 또 하나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별로 보면 한인 교수들은 5명 중 1명(791명·19.5%)이 수학·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다. 이어 경영·경제·금융·농업(629명), 엔지니어링(595명), 의학·치과학·약학·간호학(525명), 교육·종교학(359명), 컴퓨터 사이언스(202명) 등이다.   교수 직급별로 보면 조교수(Assistant Professor)가 1395명(전체 한인 교수 중 약 34%)으로 가장 많았다. 부교수(Associate Professor)가 1188명으로 두 번째였다. 이어 정교수(Full Professor·968명), 전임강사(198명), 객원교수(143명), 겸임교수(99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인 중 명예교수는 61명으로 집계됐다.   최 교수는 “KAUPA 소속 교수 데이터를 중심으로 각 대학 웹사이트 교직원 목록까지 조사했는데 실제 북미 지역 한인 교수는 1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한다”며 “앞으로 좀 더 정확한 집계를 위해 후속 연구와 심층 분석을 통해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쌓아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북미한인교수협회는 이성형 교수(애팔란치안주립대학), 최인달 교수(제임스메디슨대학), 신의항 교수(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등이 지난 1985년 10월 발족했다. 장열 기자한인교수 싱크탱크 한인 교수들 최영배 교수 황성남 교수

2022-05-04

한인교수 2명 뇌졸중 연구 업적 수상…박은수·배희준 박사

한인 의사 2명이 미국뇌졸중협회(ASA)가 선정한 뇌졸중 연구 업적 수상자에 포함됐다.   ASA는 지난 8일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2022 국제뇌졸중컨퍼런스’에서 뇌졸중 연구 성과를 이룬 학자 12명을 발표, 이중 박은수 박사(텍사스대학), 배희준 박사(분당서울대병원)가 포함됐다.   박은수 박사는 이번에 ‘뇌졸중기초과학상(Stroke Basic Science Award)’ 수상자로 선정됐다. 박 박사는 현재 텍사스대학 보건 과학 센터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 상은 임상과 기초 과학을 연결하는 중개의학에 뛰어난 성과를 이룬 학자에게 수여된다.   배희준 박사는 ‘데이비드 셔먼 강의상(David G. Sherman Lecture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뇌졸중 분야에서 연구, 멘토링, 지역사회 봉사 등에 공로를 쌓은 인물에게 주어진다. 한국뇌졸중학회 역학연구회 회장이기도 한 배 박사는 뇌졸중 급성 치료, 혈관 인지 장애 등의 연구를 수행하며 의학적 성과를 쌓아왔다.   한편, 이밖에도 메이 노어(UCLA), 미셸 조한센(존스홉킨스대학), 줄리안 아코스타(예일 대학)모이라 카프랄(토론토대학), 페이페이 판(UC샌프란시스코), 캐런 존슨(버지니아대학), 개리 로젠버그(뉴멕스코대학), 브래드포드 워렐(버지니아 대학), 줄리 디카를로(매사추세츠병원), 예지 쉬(피츠버그대학) 박사 등이 수상자로 선정됐다. 장열 기자미국 한인교수 한국뇌졸중학회 역학연구회 뇌졸중 연구 배희준 박사

2022-02-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