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슈림프’

‘shrimp(새우)’를 한글로 옮길 때의 표기법을 묻는 질문에 ‘쉬림프’로 답하는 이가 많다.  ‘쉬림프’로 적는 게 원음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표기가 현실음에 더 가까운지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어차피 영어에서는 자음 소리이고 우리말에선 모음과 결합하게 되므로 원어 발음과는 차이가 나게 된다. 영어 ‘sh’의 표기를 한글로 옮길 때 우리말의 발음 체계 아래 일관성 있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어말의 [?]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는 ‘슈’로, 모음 앞의 [?]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shrimp’의 경우 [?]가 자음 앞에 왔으므로 ‘슈림프’로 표기하는 것이 바르다. ‘슈바이처’ ‘타슈켄트’ ‘카슈미르’ 등 영어가 아닌 다른 외국어에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가 단어의 끝에 올 때는 ‘시’로 적어야 한다. 잉글리쉬(English)는 잉글리시, 대쉬(dash)는 대시, 피쉬(fish)는 피시, 플래쉬(flash)는 플래시가 바른 표기법이다.   모음 앞에선 [?]가 뒤의 모음과 합쳐진 소리로 구현된다. ‘샤’ ‘섀’ ‘셔’ ‘셰’ ‘쇼’ ‘슈’ ‘시’의 형태로 나타난다. 샤크(shark), 섀도(shadow), 패션(fashion), 셰익스피어(Shakespeare), 쇼핑(shopping), 슈팅(shooting), 멤버십(membership) 등으로 표기한다.우리말 바루기 슈림프 외래어 표기법 자음 소리 원어 발음

2024-02-20

[우리말 바루기] 외래어 받침의 비밀

‘cake(케이크)’란 영어 단어가 등장한 것은 13세기 무렵이다. 우리나라엔 구한말 선교사에 의해 소개됐다. 표기법은 여전히 혼란스럽다. ‘케잌’이나 ‘케익’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각자 자신의 귀에 들리는 대로 옮기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올바른 표기는 ‘케이크’이다.   외래어 표기법에선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일곱 글자 외에 ‘ㅋ, ㅌ, ㅍ, ㅊ’ 등이나 겹받침은 사용하지 못한다. ‘커피숖’을 ‘커피숍’으로, ‘디스켙’을 ‘디스켓’으로 적어야 하는 이유다.   고유어에선 ‘부엌, 콩팥, 풀숲, 봄꽃’과 같은 표기가 가능하다. 이유는 이들 받침소리가 모두 발음되어서다. ‘봄꽃’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만나면 [봄꼬치] [봄꼬츨]처럼 ‘ㅊ’ 소리가 난다.     외래어는 다르다. ‘커피숍’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하면 [커피쇼비] [커피쇼베서]처럼 발음한다. [커피쇼피] [커피쇼페서]로 소리 내는 사람은 없으므로 ‘커피숖’으로 적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케익’은 왜 쓰지 못할까? 외래어의 경우 이중모음 뒤의 ‘k, t, p’ 발음은 받침으로 적지 않고 ‘크, 트, 프’로 표기하도록 돼 있다. ‘브레이크(brake)’를 ‘브레익’이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다. 우리말 바루기 외래어 비밀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받침 이들 받침소리가

2024-02-19

[사설] 아직도 헷갈리는 한식의 영문표기

한국 정부가 영어 등 한식의 외국어 표기 문제 해결에 나섰지만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관계 기관인 국립국어원, 농림축산식품부,관광공사, 한식진흥원 등의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한식진흥원이 지난 8월 ‘한식 외국어 표기 800선’을 발표했지만 최신 정보 미흡 등의 지적을 받고 있다.     한식의 외국어 표기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한식 세계화 사업’을 시작하면서 표기법 문제도 언급됐다. 기존의 메뉴 표기 방식이 통일성이 없었기 때문이다. 각자 알아서 표기하다 보니 중구난방이었다. 이 때문에 당시 한식재단(현 한식진흥원) 주도로 새로운 표기법이 만들어져 배포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한글 이름을 그대로 영문으로 옮기다 보니 이상한 표기들이 많았다. 이로 인해 어떤 메뉴인지 이해가 어렵다는 반응들이 나왔다.   이후 ‘한식 세계화’가 주춤하면서 표기법 문제도 가라앉았다. 그러다 최근 한식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표기법 정비 필요성도 다시 제기된 것이다.     현재 한식의 외국어 표기와 관련 주요 지침서만도 ‘외국어 표기 편람(한국관광공사)’과 ‘한식 메뉴 외국어 표기법 길라잡이(한식진흥원)’ 등이 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같은 메뉴라도 표기법이 완전히 다른 사례도 많다. 대표적인 것 가운데 하나가 ‘국물 떡볶기’다. 관광공사 지침서엔 ‘Tteokbokki in Source’로, 한식진흥원지침서에는 ‘Gungmultteokbokki’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직 제대로 통일된 표기법조차 없는 셈이다.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지만 한식의 영문 표기는 미국인이 발음하기 편하고 이해가 쉬워야 한다. 이는 한식의 인기를 높이는 데도 필요한 일이다. 관계 기관들의 신속한 해법이 요구된다.사설 영문표기 한식 한식 외국어 표기법 문제 한식 메뉴

2023-12-27

[우리말 바루기] ‘리터’의 표기법

미국은 미터법이 자리 잡지 못한 국가다. 여러 차례 시도에도 관습을 이기지 못한 탓이다.   우리의 평수 개념이 끈질긴 생명력을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다. 땅 면적에 ㎡를 쓰라고 법률로 못 박았지만 일상에선 평(약 3.3㎡)이 혼용되는 실정이다.   1963년 계량법에 따라 척(尺)·승(升)·관(貫) 등으로 길이·부피·무게를 재는 척관법 대신 미터법을 쓰도록 했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미터법은 길이·너비는 미터(m), 부피는 리터(L), 질량은 킬로그램(㎏)을 기본 단위로 하는 십진법을 사용한 도량형법이다. 83년엔 건물·토지 지적에도 ‘평’을 못 쓰게 했다.   2007년엔 법정 단위 사용을 의무화했다. 부동산을 평 대신 ㎡, 금을 돈 대신 g으로 거래하도록 단속에 나섰다.   미터법에 의한 단위의 읽기와 쓰기에도 규칙이 있다. 아직도 많은 사람이 넓이 단위인 ㎡를 ‘평방미터’로, 부피 단위인 ㎥를 ‘입방미터’로 잘못 읽는다. 도량형 표준화에 따라 각각 ‘제곱미터’ ‘세제곱미터’로 읽어야 한다. 건설분야에 뿌리 내린 대표적인 일본어 찌꺼기다. 평방미터를 축약한 ‘평미(平米, へいべい)’, 입방미터를 줄인 ‘입미(立米, りゅうべい)’에서 온 말이다.   미터법을 표기할 때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는 ‘리터’다. 필기체 ‘ℓ’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정자체 L 또는 l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호다. 우리말 바루기 표기법 대신 미터법 도량형 표준화 평수 개념

2023-12-01

[우리말 바루기] ‘쥬스’ ?, ‘주스’ ?

‘텔레비전’ ‘주스’ ‘초콜릿’이 고유어가 아닌 외래어라는 것은 누구나 안다.  문제는 헷갈리는 표기법이다. ‘텔레비젼’ ‘쥬스’ ‘쵸콜릿’으로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들 표기가 원음에 더 가깝게 느껴져서라고 주장하지만 ‘텔레비전’ ‘주스’ ‘초콜릿’으로 적어야 한다. 외국어가 아니기 때문에 어떤 표기가 현지 발음에 더 가까운지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한글 맞춤법이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처럼 외래어에도 표기법이 있어서다.   외래어 표기법에선 ‘ㅈ’ ‘ㅊ’에 이중 모음이 결합한 ‘쟈, 져, 죠, 쥬’ ‘챠, 쳐, 쵸, 츄’를 쓰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자, 저, 조, 주’ ‘차, 처, 초, 추’를 사용해야 한다. 우리말에선 구개음(입천장소리)인 ‘ㅈ’ ‘ㅊ’ 뒤에서는 ‘ㅑ, ㅕ, ㅛ, ㅠ’가 발음상 ‘ㅏ, ㅓ, ㅗ, ㅜ’와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소리가 구별 안 되니 ‘져’와 ‘저’, ‘쥬’와 ‘주’, ‘쵸’와 ‘초’ 등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런 이유로 텔레비젼은 텔레비전, 쥬스는 주스, 쵸콜릿은 초콜릿으로 표기한다. 외국어와 달리 외래어는 원음에 기초를 두되 우리말의 발음 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발음상 구별되지도 않는데 고유어에선 ‘ㅈ’ ‘ㅊ’ 뒤에 이중 모음이 결합한 형태인 ‘져’나 ‘쳐’ 등을 쓰는 이유가 뭘까?   ‘넘어져서’는 ‘넘어지어서’, ‘다쳤다’는 ‘다치었다’의 준말이라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다.우리말 바루기 쥬스 주스 외래어 표기법 텔레비전 쥬스 주스 쵸콜릿

2023-06-30

[우리말 바루기] ‘쉬림프’ ? ‘슈림프’ ?

한국의 공무원시험에 ‘shrimp(새우)’의 한글 표기법을 묻는 질문이 화제가 됐었다.  ‘쉬림프’로 답한 이가 많았기 때문이다. 정답은 ‘슈림프’였지만 유명 업체의 ‘쉬림프 피자’ 광고로 인해 오답이 속출했다.     ‘shrimp’를 ‘슈림프’보다 ‘쉬림프’로 적는 게 원음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어떤 표기가 현실음에 더 가까운지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어차피 영어에서는 자음 소리이고 우리말에선 모음과 결합하게 되므로 원어 발음과는 차이가 나게 된다. 영어 ‘sh’의 표기를 한글로 옮길 때 우리말의 발음 체계 아래 일관성 있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shrimp’의 경우 [ʃ]가 자음 앞에 왔으므로 ‘슈림프’로 표기하는 것이 바르다. ‘슈바이처’ ‘타슈켄트’ ‘카슈미르’ 등 영어가 아닌 다른 외국어에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ʃ]가 단어의 끝에 올 때는 ‘시’로 적어야 한다. 잉글리쉬(English)는 잉글리시, 대쉬(dash)는 대시, 피쉬(fish)는 피시, 플래쉬(flash)는 플래시가 바른 표기법이다.        모음 앞에선 [ʃ]가 뒤의 모음과 합쳐진 소리로 구현된다. ‘샤’ ‘섀’ ‘셔’ ‘셰’ ‘쇼’ ‘슈’ ‘시’의 형태로 나타난다. 샤크(shark), 섀도(shadow), 패션(fashion), 셰익스피어(Shakespeare), 쇼핑(shopping), 슈팅(shooting), 멤버십(membership) 등으로 표기한다.우리말 바루기 쉬림프 슈림프 쉬림프 피자 한글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2023-06-29

[우리말 바루기] 외래어 받침의 비밀

‘cake(케이크)’란 영어 단어가 등장한 것은 13세기 무렵이다.     이제는 기념일에 케이크가 빠지면 허전할 정도가 됐지만 표기법은 여전히 혼란스럽다. “생크림케잌 주문받아요” “컵케익 만드는 법”처럼 ‘케잌’이나 ‘케익’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식품의 제품명이나 제과점 진열대에도 ‘케잌’이나 ‘케익’으로 적어 놓을 정도다. 모두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각자 자신의 귀에 들리는 대로 옮기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올바른 표기는 ‘케이크’이다.   왜 ‘케잌’ 대신 ‘케이크’로 사용해야 할까? 외래어 표기법에선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일곱 글자 외에 ‘ㅋ, ㅌ, ㅍ, ㅊ’ 등이나 겹받침은 사용하지 못한다. ‘커피숖’을 ‘커피숍’으로, ‘디스켙’을 ‘디스켓’으로 적어야 하는 이유다.   고유어에선 ‘부엌, 콩팥, 풀숲, 봄꽃’과 같은 표기가 가능하다. 외래어에서 쓰지 않는 받침을 순우리말에 사용하는 이유는 이들 받침소리가 모두 발음되어서다. ‘봄꽃’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만나면 [봄꼬치] [봄꼬츨]처럼 ‘ㅊ’ 소리가 난다. ‘봄꼳’이나 ‘봄꼿’으로 적지 않고 ‘봄꽃’으로 표기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우리말 바루기 외래어 비밀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받침 모두 외래어

2023-02-12

[우리말 바루기] ‘쥬스’가 ‘주스’인 이유

‘텔레비젼’ ‘쥬스’ ‘쵸콜릿’으로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들 표기가 원음에 더 가깝게 느껴져서라고 주장하지만 ‘텔레비전’ ‘주스’ ‘초콜릿’으로 적어야 한다. 한글 맞춤법이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처럼 외래어에도 표기법이 있어서다.   외래어 표기법에선 ‘ㅈ’ ‘ㅊ’에 이중 모음이 결합한 ‘쟈, 져, 죠, 쥬’ ‘챠, 쳐, 쵸, 츄’를 쓰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자, 저, 조, 주’ ‘차, 처, 초, 추’를 사용해야 한다. 우리말에선 구개음(입천장소리)인 ‘ㅈ’ ‘ㅊ’ 뒤에서는 ‘ㅑ, ㅕ, ㅛ, ㅠ’가 발음상 ‘ㅏ, ㅓ, ㅗ, ㅜ’와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소리가 구별 안 되니 ‘져’와 ‘저’, ‘쥬’와 ‘주’, ‘쵸’와 ‘초’ 등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런 이유로 텔레비젼은 텔레비전, 쥬스는 주스, 쵸콜릿은 초콜릿으로 표기한다. 외국어와 달리 외래어는 원음에 기초를 두되 우리말의 발음 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발음상 구별되지도 않는데 고유어에선 ‘ㅈ’ ‘ㅊ’ 뒤에 이중 모음이 결합한 형태인 ‘져’나 ‘쳐’ 등을 쓰는 이유가 뭘까?   “문턱에 걸려 넘어저서 다첬다”를 “문턱에 걸려 넘어져서 다쳤다”로 사용하는 것은 ‘넘어지-+-어서’ ‘다치-+-었-+-다’가 줄어든 형태라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서다. 우리말 바루기 쥬스 주스 텔레비전 쥬스 주스 쵸콜릿 외래어 표기법

2023-02-10

[우리말 바루기] 북한산·에베레스트산

우리나라 산을 적을 때 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외국의 산 이름은 어떨까?   ‘에베레스트 산’ ‘킬리만자로 산’과 같이 습관적으로 띄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예전엔 띄는 게 올바른 표기법이었기 때문이다. 외래어 표기법 제4장 3절 1항의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는 규정에 따라서다.   이 항목이 2017년 6월 삭제됐다. 띄어쓰기 규정을 간소화하는 방향으로 외래어 표기법이 일부 개정돼 ‘에베레스트산’ ‘킬리만자로산’처럼 붙인다.   바다 이름도 마찬가지다. 개정 전에는 ‘해’가 외래어 뒤에 오면 ‘카리브 해’ ‘발트 해’와 같이 띄고, 고유어나 한자어 뒤에선 ‘홍해’ ‘지중해’와 같이 붙였다. 개정 후에는 일관되게 띄어쓰기를 적용해 ‘카리브해’ ‘발트해’로 붙인다.   강 이름도 ‘나일 강’으로 띄지 않고 ‘나일강’처럼 붙여야 한다. 섬은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모두 ‘섬’으로 통일해 적는다. 제주도로 부르는 우리와 달리 외국 지명의 경우 ‘해남도(海南島)’로 안 쓰고 ‘하이난섬’으로 표기하는 식이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해(海), 섬, 강(江), 산(山)처럼 띄어쓰기가 변경된 말은 가(街), 고원(高原), 곶(串), 관(關), 궁(宮), 만(灣), 반도(半島), 부(府), 사(寺), 산맥(山脈), 성(城), 성(省), 어(語), 왕(王), 요(窯), 인(人), 족(族), 주(州), 주(洲), 평야(平野), 현(縣), 호(湖) 등이다.우리말 바루기 북한 에베레스트산 외래어 표기법 외국 지명

2022-11-21

[우리말 바루기] '그린란드'인 이유

‘녹색의 땅(Greenland)’이란 이름과 달리 얼음으로 뒤덮인 그린란드. 빠르게 빙하가 녹아내리며 우려를 낳고 있다.   온난화의 바로미터가 된 이곳은 왜 ‘그린란드’로 불릴까? 섬의 이름을 ‘그린랜드’로 잘못 부르는 경우도 많다.   스코틀랜드(Scotland)와 아일랜드(Ireland)를 떠올려 보면 ‘그린랜드’가 오히려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핀란드(Finland)와 아이슬란드(Iceland)를 떠올리면 다시 궁금증이 인다.   나라나 지역 이름에 ‘land’를 포함하는 곳이 많은데 헷갈릴 수밖에 없다. 답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찾을 수 있다. 외래어를 우리말로 옮길 때 현지 발음에 최대한 가깝게 적되 국명·수도명 등 이미 굳어진 것은 관용에 따른다.   ‘land’형으로 끝나는 국명 또는 지명을 우리말로 표기할 때 음가에 관계없이 영어권 지명은 ‘랜드’로 통일한다. 영어권 국가인 뉴질랜드, 미국의 메릴랜드·클리블랜드, 영국의 하일랜드, 호주의 퀸즐랜드 등이 해당된다.   북유럽이나 동유럽권은 ‘란드’ 또는 ‘란트’로 구별해 적는다. 독일어는 도이칠란트·라인란트 등 ‘-란트’로 표기한다. 네덜란드어 지명도 ‘-란트’로 쓰되 국명은 관용을 인정했다. 프리슬란트·제일란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밖의 지명은 대체로 ‘-란드’로 표기한다.  외래어 표기 용례집을 발간할 때 세칙 형태로 덧붙여진 이들 표기법은 현재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선 찾을 수 없다. 표기 용례에는 적용되고 있으나 예외도 있어 보충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우리말 바루기 그린란드 외래어 표기법 네덜란드어 지명도 이들 표기법

2022-07-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