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시안 독자, 로컬뉴스 열독률 가장 낮아

미국 내 아시안 독자들의 로컬뉴스 열독률이 20%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종에 비해서도 열독률이 낮았다.   8일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센터가 지난 1월 성인 5146명을 대상으로 조사·집계한 결과 로컬뉴스를 매우 자세히 파악하고 있다고 답한 아시안 열독자는 18%에 불과했다. 흑인들의 로컬 뉴스 열독률이 31%로 가장 높았고, 히스패닉(21%), 백인(20%) 열독률도 아시안보다는 높았다.   젊은 층일수록 로컬뉴스에 대한 관심이 떨어졌다. 65세 이상 미국인의 열독률은 35%로 높은 편이었지만, 50~64세(27%), 30~49세(16%), 18~29세(9%) 등으로 열독률이 낮아졌다.     로컬 뉴스를 읽는 독자들이 관심 갖는 주제는 유용한 일상 정보 이슈가 가장 많았다. 로컬뉴스 독자의 90%가 날씨 기사를 주기적으로 읽고 있었으며, 범죄(77%), 교통(68%) 이슈 관심도도 높았다. 정부·정치(68%), 경제(59%) 이슈 관심도 큰 편이었지만, 정치·경제 기사 만족도는 4% 수준으로 낮았다.   이번 조사에서 미국인들 대부분(85%)은 로컬 뉴스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봤다. 특히 44%는 로컬 뉴스가 ‘매우 중요’하며,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이 큰 미국인일수록 로컬 뉴스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로컬 뉴스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편이었다. 미국인 10명 중 7명은 로컬뉴스 기자들이 지역 뉴스를 정확하게 보도하고, 중요한 이슈를 다루는 일을 훌륭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느끼고 있었다. 다만 정치인에 대한 감시자 역할과 보도 투명성은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로컬뉴스 기자들과 커뮤니티 간 소통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로컬뉴스 독자의 78%는 자신이 속한 지역의 언론인과 대화를 나누거나 인터뷰를 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지역 커뮤니티와 로컬뉴스 간 소통이 더 필요하다는 뜻이다.     한편 로컬 미디어의 재정 상황에 대해서는 많은 독자들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봤다. 2018년도에는 ‘로컬뉴스 재정상태가 긍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이 71%였지만, 이번 조사에선 63%로 낮아졌다. 그러나 정작 로컬 뉴스에 돈을 지불하는 미국인은 15%로, 대부분(85%)이 구독이나 회원 가입은 하지 않고 뉴스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로컬뉴스 열독률 로컬뉴스 열독률 로컬뉴스 독자 로컬뉴스 재정상태

2024-05-08

HOA<관리회사> 재정상태·관리비 꼼꼼히 따져라

은퇴 후 주택 다운사이징을 계획하면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이 콘도. 콘도는 단독주택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 관리도 편리하기 때문이다. 또 가주가 아닌 타주 혹은 LA 외곽에 거주했던 이들도 은퇴 후 한인타운이나 타운과 가까운 LA 인근에 주택 구입 고려 시 콘도를 선호한다. 그러나 막상 콘도 쇼핑에 나서보면 오를 대로 오른 집값 영향으로 가격도 만만치 않은 데다 고려해야 할것도 적지 않다. 콘도 구입의 장단점 및 콘도 구입 시 고려 사항을 알아봤다.      ▶콘도란     콘도와 단독주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단독주택은 독립형 건물인데 반해 콘도는 한 건물에 이웃 주민과 벽을 공유하는 공동 주택이다. 즉 콘도는 아파트를 렌트하는 것이 아닌 소유하는 형태인데 아파트처럼 공용공간은 있지만 이를 다른 이웃 주민들과 함께 공동 소유하는 형태다. 또 HOA(Homeowners Association)가 있고 관리비를 납부함으로써 운영 및 관리가 편리하지만 단지 내 부대시설이 많은 경우 관리비가 꽤 높을 수 있다.     ▶콘도 vs 타운하우스   이 둘의 공통점은 이웃 주민과 벽을 공유하며 HOA를 통해 커뮤니티 관리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또 아파트처럼 임대하는 것이 아닌 부동산을 구입해 홈오너가 된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콘도와 타운하우스는 싱글홈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첫 주택 구입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그러나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타운하우스가 한 건물에 한 가구만 거주하는데 반해 콘도는 한 건물에 다세대 주택이 입주해 있다는 것이다.       ▶장점     콘도는 주로 도심 가까운데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아 인근에 레스토랑과 문화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돼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콘도 구입의 가장 큰 장점은 싱글홈보다 저렴한 가격인데 부동산 가치 면에선 시간이 지날수록 단독주택이 콘도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편이다. 그러나 단독주택이 그러하듯 콘도 역시 해당 지역 집값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레드핀 통계에 따르면 전국 콘도 가격은 2018년 5월 24만4800달러에서 2023년 5월 33만8440달러로 38.25%나 상승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집값 외에 콘도는 HOA 관리비에 조경 및 정원 등을 관리해 주는 비용도 포함돼 있어 관리가 쉽다는 것도 장점. 또 치안과 방범 시설이 잘 돼 있어 비교적 안전하다는 것도 콘도 거주의 장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피트니스센터나 수영장, 정원 등 공유 시설이 있을 시 이를 이용함으로써 활기찬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중 하나다.         ▶단점   콘도 구입 시 단지 집값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 HOA 관리비는 콘도 구입시 가장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는 부분. 보안 시설, 공용 피트니스센터, 수영장 등과 같은 부대시설 유무에 따라 월 관리비가 100~1000달러까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HOA가 잘 운영되는지도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 관리비 체납 가구가 많다면 HOA가 자금 부족으로 운영난을 겪고 있어 현재 콘도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콘도 구입 시 간과해서는 안 되는 점 중 하나는 HOA가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배관, 냉난방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 시 집주인이 자비를 들여 수리해야 한다.     또 단지 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판매가 개시될 때 판매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비슷한 규모와 구조를 가진 이웃 세대와 가격 경쟁을 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공동 시설 이용 시 불편함이나 이웃 주민과 분쟁이 발생할 수도 있다. LA 인근 콘도에 거주했던 한 입주자는 "옆집에서 키우는 반려견 두 마리가 엘리베이터 안에서 다른 개들과 마주칠 때마다 난폭하게 짖어 엘리베이터에 그 개들이 타고 있으면 다음 엘리베이터를 기다려야 해 고충이 컸다"며 "결국 이 문제로 이사를 가야만 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고려사항     콘도 구입을 위한 모기지 대출 승인 절차는 단독주택보다 좀 더 복잡할 수 있다. 왜냐하면 대출 신청 시 개인 재정 상태뿐만 아니라 콘도 자체도 면밀히 조사하기 때문이다. 이를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연방주택청(FHA)이 승인한 전국 콘도 목록에 구입하려는 콘도가 등재돼 있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만약 해당 콘도가 FHA 승인을 받지 못했다면 대출이 거부될 수 있다. 또 콘도 관리 업체에 대해서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거주하는 동안 관리비는 관리비대로 내면서 관리를 제대로 못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관리 부실이 장기화되면 집값에도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낭패를 막기 위해서는 HOA의 지난 3년간 재정보고서 사본을 요청하고 이를 전문가에게 의뢰해 검토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웃 주민들에게 HOA가 불만 사항 접수 시 개선이 신속 정확하게 이뤄지는지 문의하는 것도 방법이다. 이외에도 향후 1년 내 특별 수리비(special assessment) 부과 여부도 체크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향후 1년 내 지붕 또는 창문 교체를 위해 모든 가구가 관리비 외에 추가 부담금 납부가 결정돼 있는 상황이라면 이 비용과 관련해 셀러와 가격 협상을 할 수 있다. 이주현 객원기자관리회사 재정상태 주택 구입자들 이웃 주민들 관리비 체납

2024-03-27

뉴욕시 재정상태 위기 아니다

망명신청자 급증으로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을 것이란 뉴욕시정부 주장과 달리, 뉴욕시 재정상태가 예상보다 양호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3일 뉴욕시의회가 발표한 ‘경제 및 세입 전망’ 발표에 따르면, 시정부는 2023~2024회계연도와 2024~2025회계연도에 당초 예산관리국(OMB)이 예상했던 것보다 33억 달러 더 많은 세수를 거둘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2025~2026회계연도부터 2027~2028회계연도까지도 평균 연 34억 달러 수준의 세수를 더 거둘 것으로 계산됐다.     이에 따라 시정부 예산 흑자는 2023~2024회계연도에 13억 2000만 달러, 2024~2025회계연도에 35억 3000만 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뉴욕시 경제 성장세는 둔화할 것으로 보이지만, 생각했던 것만큼 경제 전망이 나쁘진 않은데다 팬데믹 타격으로 인한 충격도 빠르게 회복되고 있어 세수를 더 거둘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시의회는 이와 같은 장밋빛 세수 전망을 내놓고, 현재 시정부가 추진 중인 예산 삭감이 불필요하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저스틴 브래넌 시의회 재무위원장은 “3세 아동 무상 프리킨더가튼 프로그램인 ‘3-K포올’(3-K for All)부터 시작해 뉴욕시립대(CUNY) 등 교육예산, 문화부문 예산 등에 이르기까지 시정부는 예산 삭감을 되돌릴 수 있는 충분한 여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 등은 앞서 망명신청자 위기 대응 등 때문에 예산 삭감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재정상태 뉴욕 뉴욕시 재정상태 뉴욕시정부 주장 뉴욕시 경제

2024-03-03

망명신청자에 돈 없다더니…뉴욕시 재정상태 예상보다 양호

망명신청자 급증으로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을 것이란 뉴욕시정부 주장과 달리 내년에도 재정 흑자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 성장이 둔화하면서 세입은 감소하겠지만, 시정부 발표보다는 12억 달러를 더 거둬들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뉴욕시의회는 10일 2023~2024회계연도 경제 및 세입 전망을 발표했다. 2023~2024회계연도에는 26억 달러의 재정 흑자가, 2024~2025회계연도와 2025~2026회계연도에는 각각 53억 달러, 36억5000만 달러의 흑자를 예상했다.   전반적인 경제 성장 둔화와 함께 뉴욕시 경제도 완만한 성장을 진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3~2024회계연도 뉴욕시 국내총생산(GDP)은 연간 0.6% 증가, 민간 고용 1% 증가, 실업률 6% 등을 전망했다.   같은 기간 전국 전망치는 GDP 1.4% 증가, 민간 고용 0.5% 증가, 실업률 4.3% 등이다.   기준금리가 인하될 경우 안정적인 경제 성장과 세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은 아니라고 경고했다.   관광업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가운데 호텔 점유율도 다른 주요 도시에 비해 높은 상황이라 긍정적이다. 문제는 부동산인데, 여전히 높은 맨해튼 오피스 공실률, 모기지 금리 인상에 따른 주택시장 침체 등으로 세수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이에 2023~2024회계연도에는 세입이 0.7% 감소하고, 2024~2025회계연도에도 0.9%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이 경우에도 시정부 예측보다는 훨씬 많은 수준이다. 시정부와 시의회의 세입 전망 차이는 2023~2024회계연도 12억 달러, 2024~2025회계연도 2억9500달러 등이다.   시의회는 이를 기반으로 시정부의 전 분야 예산 5% 삭감 조치는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아드리안 아담스 의장은 “2023~2024회계연도 재정 수익이 시정부 예상보다 12억 달러 더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연간 예비비 14억5000만 달러와 합치면 전 분야 예산을 삭감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지나치게 광범위하게 예산을 삭감하기보단 필수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되 추가 수입을 추구해야 한다”며 “뉴요커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책임감 있게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망명신청자 재정상태 2024회계연도 뉴욕시 뉴욕시정부 주장 2024회계연도 경제

2023-12-11

[기독교와 사회물리학] 청년 실업과 교회의 지속 가능성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침체 현상이 지속하고 인공지능이 실용화되면서 기업들은 경력자를 선호하게 되어 신입으로 채용되어야 할 청년들의 취업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실업이나 구직 중인 청년들은 부모와 함께 살면서 경제적으로 부모를 의존하게 되어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결혼이 늦어지면서 자녀출산을 포기하거나 뒤로 미루면서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한 청년 실업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하면서 사회의 지속가능성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기독 청년들에게도 실업과 구직은 중요한 이슈이다. 다음 세대의 주역이 되는 기독 청년은 교회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버팀목이다. 그러나 실업과 구직활동 중인 기독 청년들은 구직 스트레스를 받아 우울증과 정서불안을 경험하기도 하며 교회사역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한다. 교회의 지속가능성은 기독 청년들의 취업을 통한 경제적 안정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교회의 지속가능성은 교회 회원의 수, 재정상태, 교회사역의 참여도, 지역사회의 신뢰도 등으로 유추될 수 있다. 사실 현대교회의 지속가능성은 그리 밝지 못하다. 사회적으로는 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하고, 인구적으로는 교회 출석 인원이 감소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헌금과 기부가 감소하면서 교회재정이 어려워지고 있다.     교회의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중에 하나는 교회 청년들의 취업이다. 교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노동의 소중함을 깨닫고 직업의 소명을 찾아 자신에게 맞는 직장에서 경제적 활동을 하면서 교회 생활을 해야 한다. 직업 소명, 기독교 세계관 확립, 노동의 가치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탐구, 전인적 사역의 이해, 통전적 사역에 참여, 선교적 영성 형성, 선교적 삶에 대한 고찰 등이 기독 청년이 취업해야 할 동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교회는 실업과 구직 중인 청년들을 위한 사역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이제는 교회의 청년 소그룹이 실업과 구직 중인 청년들을 격려하고 노동과 직업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을 성경적으로 신학적으로 가르쳐 직업의 소명을 찾고 경제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와야 한다. 직업을 통해 경제활동을 하는 교회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얽혀 있는 세대 간 갈등을 풀고 교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사회는 심각한 인구감소와 청년실업 문제로 어려움을 당하고 있다. 한국교회는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많은 교회가 세워졌지만 급격한 인구감소 현상과 다음세대 들이 교회를 떠나면서 교회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특히 실업과 구직 중인 교회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교회사역은 생동감을 잃고 있다.     이제는 교회 지도자들은 청년실업이 교회의 지속가능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인지해야 한다. 다음세대를 짊어질 교회 청년의 정규직 취업이 북미 한인 이민교회뿐만 아니라 한국교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깨달아야 한다. 교회 청년 소그룹 리더들은 기독교 세계관, 통전적 사역, 선교적 영성 형성, 선교적 삶에 대해 청년들을 지도함으로써 교회 청년들이 취업을 하고 교회사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도해 주어야 한다. 교회 청년들이 자신의 역량에 맞는 직업을 갖고 교회사역에 임한다면 영혼을 구원하고 지역사회를 복음화하여 하나님 나라를 넓혀가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email protected]  조철수 / 목사·맥알렌세계선교교회기독교와 사회물리학 가능성 청년 교회 청년들 재정상태 교회사역 청년 실업

2023-07-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