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FOCUS] 지구온난화 못 막으면 8억 인구에 재앙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8)가 지난달 30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에서 개막해 내일(12일) 폐막한다. 협약 당사국 대표들을 비롯해 시민단체, 국제기관 등 7만여 명이 참여한 역대 최대 규모의 총회다.     하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세계 이목이 쏠리면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해결에 주력했던 조 바이든 대통령도 중동지역 전쟁과 내년 대선 등 복잡한 국내외 정세로 불참을 발표했다. 취임 후 총회에 바이든이 불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석유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 이번 총회의 주요 안건이다. COP28은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선진국들의 자발적인 협조로 지구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로 열린다.     이번 총회는 출발부터 순조롭지 못했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석유회사의 최고경영자인 술탄 아흐메드 알 자베르 COP28 의장은 지난달 28일 메리 로빈슨 전 유엔기후변화 특사와의 대화에서 “지구 표면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석유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은 과학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화석연료 사용 없이 경제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고도 덧붙였다.     그의 발언은 즉각적인 비난에 직면했다. 알 자베르 의장은 서둘러 진화에 나서 “과학을 존중하고 믿는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그치지 않았다. 일부 행사 관계자들은 총회 전부터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에서 COP28이 열리는 것에 대해 우려했었다. 산유국에서 행사가 열려 자국의 석유산업을 홍보할 기회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번 총회에서 최초로 기후 펀드를 설립한 것은 의미 있는 진전으로 보인다.  지난 1일 의장국인 아랍에미리트가 300억 달러 규모의 기후 펀드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2500억 달러를 유치하는 것이 목표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의 대부분은 선진 산업국에서 배출하지만 피해는 전 인류에게 돌아간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은 농업국 등 비산업 국의 피해가 크다.     빌앤드멀린다게이츠 재단에 따르면 인구의 6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는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은 4%에 불과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 재해의 피해는 가장 크다.     국제환경단체 기후행동추적(CAT)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배출한 온실가스는 500억mt(metric ton)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144억mt으로 전체의 30%를 차지한다. 그 뒤로 미국(63억9000mt), 인도(35억2000mt), 유럽연합(34억3000mt), 러시아(20억3000mt), 일본(11억7000mt) 등 순이다.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중국의 반에 못 미친다. 하지만 배출량을 인구수로 나눌 경우 1인당 배출량은 중국을 압도한다.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서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온도 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유지하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3년 후에는 목표치가 수정됐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목표치를 1.5도 이하로 낮췄다. 2도를 허용하면 기후 재앙을 막을 수 없다는 이유다.   ‘1.5도’가 지금 글로벌 화두로 떠올랐다. ‘마지노선 1.5도’라는 말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현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된다면 최소 수년에서 최장 2030년 사이에 1.5도를 넘어설 것이라고 경고한다. 학계 전문가들은 산업화 이전보다 현재는 지구 온도가 평균 1.2~1.4도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비영리단체 ‘클라이밋 센트럴(Climate Central)’은 COP28 총회에 맞춰  기후변화가 지구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공개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후변화로 영향을 받는 도시들의 가상 이미지를 시각화했다. 이미지는 각 지역의 고도와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높아졌을 경우를 가상한 것이다.   이미지는 두 종류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섭씨 1.5도로 제한한 경우와 이를 지키지 못해 섭씨 3도가 오른 경우를 비교했다. 클라이밋 센트럴은 2021년에는 섭씨 3도가 오른 것을 가정해 샌타모니카 피어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경우 해수면이 최고 20피트 상승해 피어 전체가 바닷속에 잠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조사에서 섭씨 1.5도 이내로 유지했을 때에는 지구촌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금의 상황과 별다른 변화가 없다. 하지만 3도가 올랐을 때를 가정하면 곳곳이 물에 잠긴다. COP28이 열리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는 물이 차올라 건물들이 물속에 잠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 후쿠오카 주택들은 지붕만 남기고 바닷물에 잠기고 영국 글래스고는 차도까지 물이 차오르게 된다.     현재 지구에는 만조 때 물에 잠기는 지역에 대략 3억8500만 명이 거주한다. 기온이 1.5도 넘지 않을 경우 전 세계에서 5억1000만 명이 거주하는 지역이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지구의 평균온도가 3도 높아지면 만조 시 8억 명 이상의 인구가 사는 육지가 바다에 잠길 수 있다.     기후변화가 허구라는 주장도 있지만, 최근의 기상 이변을 보면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지구온난화는 더는 미래의 문제가 아니고 그 영향은 전 인류에게 미친다. 그런 만큼 지구촌 전체의 공조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보이지 않게 다가오는 재앙에 대비해야 할 때다. 김완신 에디터FOCUS 지구온난화 재앙 온실가스 배출량 지구온난화 해결 유엔기후변화 특사

2023-12-10

[돈의 세계] 생계비 위협과 기후 재앙

인플레이션은 노상강도처럼 폭력적이다. 무장 강도처럼 무섭다. 저격수만큼 치명적이다. 물가상승을 억제하려 고군분투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의 말이다. 우리나라 1분기 실질임금이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분기 기준으로 역대 가장 큰 폭이라 서민의 고달픔이 느껴진다. 작년 실질임금이 죄다 하락하는 와중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헝가리만 실질임금이 2.6% 올랐다. 그런 헝가리도 올해 인플레이션 앞에서 맥을 못 췄다. 5월 미국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이 전년 대비 4.0% 올랐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농산물을 뺀 근원 CPI는 전년 대비 5.3%, 전월 대비 0.4% 상승해 물가 불안은 여전하다. 그간 일손이 부족한 노동시장 덕에 서비스 분야 블루칼라 일자리 급여가 특히 가파르게 올랐다. 통화정책 당국은 높은 물가, 임금 상승, 낮아진 구매력의 악순환 속에서 통화정책의 항로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세계 식량 가격이 하향 곡선을 그린 후 5월 약 1년 만에 소폭 상승했다. 설탕 가격이 크게 오른 탓이다. 설탕 가격은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과 외식비를 비롯해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의 하반기 주요 변수로 엘니뇨로 인한 기후 이변을 꼽는다. 세계기상기구도 올 중반부터 엘니뇨로 세계 곳곳에서 기상이변이 속출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홍수·가뭄·폭염 같은 극단적인 날씨는 설탕을 비롯한 곡물 생산에 악영향을 준다. 오경의 하나인 예기(禮記) 예운(禮運)편에는 ‘음식남녀’ 구절이 나온다. “음식과 남녀 간의 사랑은 사람들이 크게 바라는 일이고 사망과 빈고(貧苦)는 사람들이 크게 싫어하는 일이다.” 공자의 말씀을 헤아리며 인간의 근원적 고통을 생각한다. 작금의 서민 가계 생계비 위기의 근저에는 기후변화에 기인한 팬데믹이 자리했었다. 기후 재앙이 시시각각으로 삶의 저변을 할퀴는 현실을 모두가 목도하고 제대로 대응해야겠다. 조원경 /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돈의 세계 생계비 위협 기후 재앙 생계비 위협 기후 이변

2023-06-19

다음주는 쓰나미 재앙에 대응하기 위한 주로

 BC해안이 환태평양지진대로 지진 발생 위험이 높아 항상 대규모 지진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데, 다음주에는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BC주정부는 9일부터 15일까지 쓰나미 대응 주간(Tsunami Preparedness Week)을 맞아 해안 지역에 대한 쓰나미 관련 안전 훈련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고지대등반(High Ground Hikes)라 불리는 대피훈련의 올해 대상 지역에 포트 무디도 포함됐다. 이외에 빅토리아섬의 주요 도시인 빅토리아, 토피노, 포트 하디를 비롯해 BC 해안지역인 프린스 루퍼트 등이 대상이다.   BC주 보윈 마 위기관리기후준비부 장관(Minister of Emergency Management and Climate Readiness)은 "쓰나미를 생각만 해도 공포스러운 일이지만, 해당 지역에 쓰나미가 발생했을 대 어떻게 대응할 지 아는 것이 진짜 쓰나미가 발생했을 때 보다 안전할 수 있는 법"이라며, "쓰나미 대응 주간을 통해 어떤 응급 키트를 준비하고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는 훈련을 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쓰나미 대응 준비를 위한 방법으로 우선 대피 경로와 고지대에 익숙해지고, 해안 근처에 거주자가 지진이 발생했을 때, 머리 감싸기 등 지진 피해를 먼저 대응하고 고지대로 대피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일단 고지대로 올라왔으며, 공식적으로 지역 당국이 위험이 끝났다는 확인을 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러야 한다. 쓰나미는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표영태 기자쓰나미 재앙 쓰나미 대응 쓰나미 재앙 진짜 쓰나미

2023-04-06

"'탱크팜(향후 10년간 특정 환경규정 준수)' 법안 통과 도와달라"

친한파 챕 피터슨(사진) 버지니아주 상원의원이 ‘탱크팜’ 법안 통과를 위해 한인사회의 도움을 요청했다.  ‘탱크팜(Tank Farm)’ 법안은 피터슨 의원이 상정한 SB 843법안이다. 페어팩스 피켓로드 선상의 기름 탱크에서 수차례 기름이 유출돼 주변 지역이 오염됐으며,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향후 10년간 특정 환경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안은 주 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으나 밥 맥도넬 주지사가 거부권을 행사, 수정안을 주 의회로 돌려보냈다.  챕 피터슨 의원은 7일 이메일 서한을 통해 “규정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빼고 무의미한 말을 집어넣은 수정안은 말도 안된다. 주 상하원은 이를 다시 거부, 주지사에게 돌려보냈다”면서 “주지사는 다시 한번 이 법안에 대해 승인, 혹은 거부를 선택해야 한다. 여러분들이 그가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전했다.  그는 이 법안을 지지할 경우 자신에게 “맥도넬 주지사는 SB 843 법안에 서명하라(Sign SB 843)”는 내용의 이메일을 보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받은 이메일을 모두 출력, 오는 11일(월) 맥도넬 주지사에게 직접 전달할 예정이다.  현재 버지니아 주 의회는 주지사의 ‘거부권 회기(veto session)’ 중이다. 상하원에서 통과된 법안에 대해 주지사가 서명하거나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수정안을 의회로 돌려보낼 수 있으며, 다시 통과된 법안에 대해서는 7일 이내에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유승림 기자 ysl1120@koreadaily.com

2011-04-08

"세계 정상들 불합의시 난민 수억 명 발생할 것"···기후회의 '2주 전쟁' 스타트

제1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가 7일 오전(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막했다. 코펜하겐 벨라 센터에서 열린 개막식에는 개최국인 덴마크의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총리를 비롯한 세계 192개국 대표단과 국제기구 관계자 등 1만5000여 명이 참석했다. 개막식은 폭풍과 사막으로 뒤덮인 지구 최후의 날을 맞는 아이들의 모습을 담은 짧은 영상물 상영으로 시작됐다. 영상물에서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IPCC) 라젠드라 파차우리 의장은 "세계 정상들이 오늘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수억 명의 난민이 발생할 것"이라며 "제발 지구를 구하는 데 도움을 달라"고 호소했다. 코니 헤데하르트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 의장은 연설에서 "이번이 기회다. 이를 놓치면 새로운 기회를 잡기 위해 몇 년이 더 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에는 당사국 총회와는 별도로 합의안 초안 등을 놓고 구체적인 논의를 벌일 UNFCCC 특별작업반도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다. 특별작업반은 각국 실무진들이 모여 15일까지 이번 회의의 구체적 안건인 감축.재정.기술 등의 부문별 토의를 진행한다. 당초 각국의 입장 차이가 커 합의안이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는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했지만 개막과 더불어 낙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보 데 보어 UNFCCC 사무총장은 개막에 앞서 가진 BBC와 인터뷰에서 "세계 각국이 최근 들어 매일같이 CO₂ 감축 계획안을 내놓고 있는데 이는 기후변화회의를 주재한 1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며 기대감을 보였다. ◆ 친환경 일색 코펜하겐= 회의가 열리는 코펜하겐은 '친환경' 일색이다. 공항에서부터 만나는 모든 광고판마다 '그린(green)'이란 단어가 빠지질 않는다. '기내에서 먹다 남긴 당신의 음식물 쓰레기로 여객 터미널을 두 시간 난방할 수 있습니다' '우리 공항은 새로운 조명 시스템을 설치해 연간 2만5000가구가 쏟아내는 것과 맞먹는 5000t의 이산화탄소(CO₂)를 줄였습니다' 등이 그것이다. 대기업 광고도 업종 불문하고 대부분 CO₂를 얼마나 줄이고 있는지를 홍보하고 있다. 회의장 주변엔 플라스틱 물병 대신 대형 식수통을 설치해 놓았다. 국가 정상들을 제외한 대표단은 지하철.기차.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도록 안내받고 있다. 벨라 센터로 통하는 지하철 역에는 160대의 자전거와 40대의 전기자전거가 배치돼 있다. 일부 호텔은 식당에 '기후변화 특선 메뉴'를 준비했다. 주로 유기농 식품으로 만든 음식으로 쓰레기가 적게 발생하도록 양도 줄였다. 한편 공항과 시내 주요 지점에는 테러와 기습 시위 등에 대비해 경찰이 집중 배치됐다. ◆ 호펜하겐(hopenhagen)=‘희망(hope)’과 유엔 기후회의가 열리는 덴마크 ‘코펜하겐(copenhagen)’의 합성어. 국제광고협회가 이번 회의를 계기로 지속 가능한 삶과 더 나은 미래를 건설하자는 희망을 담아 벌이고 있는 캠페인의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각국 지도자들이 지구온난화를 멈출 수 있는 합의에 도달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전진배 기자 allonsy@joongang.co.kr

2009-12-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