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지구온난화 못 막으면 8억 인구에 재앙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기온상승 1.5도 이내 제한 목표
3도 오르면 세계 곳곳 물에 잠겨
화석 연료 사용 최대한 줄이고
천연 에너지 개발에 주력해야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문제
세계 각국의 공조로 해결해야
하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세계 이목이 쏠리면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해결에 주력했던 조 바이든 대통령도 중동지역 전쟁과 내년 대선 등 복잡한 국내외 정세로 불참을 발표했다. 취임 후 총회에 바이든이 불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석유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 이번 총회의 주요 안건이다. COP28은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선진국들의 자발적인 협조로 지구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로 열린다.
이번 총회는 출발부터 순조롭지 못했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석유회사의 최고경영자인 술탄 아흐메드 알 자베르 COP28 의장은 지난달 28일 메리 로빈슨 전 유엔기후변화 특사와의 대화에서 “지구 표면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석유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은 과학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화석연료 사용 없이 경제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고도 덧붙였다.
그의 발언은 즉각적인 비난에 직면했다. 알 자베르 의장은 서둘러 진화에 나서 “과학을 존중하고 믿는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그치지 않았다. 일부 행사 관계자들은 총회 전부터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에서 COP28이 열리는 것에 대해 우려했었다. 산유국에서 행사가 열려 자국의 석유산업을 홍보할 기회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번 총회에서 최초로 기후 펀드를 설립한 것은 의미 있는 진전으로 보인다. 지난 1일 의장국인 아랍에미리트가 300억 달러 규모의 기후 펀드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2500억 달러를 유치하는 것이 목표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의 대부분은 선진 산업국에서 배출하지만 피해는 전 인류에게 돌아간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은 농업국 등 비산업 국의 피해가 크다.
빌앤드멀린다게이츠 재단에 따르면 인구의 6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는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은 4%에 불과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 재해의 피해는 가장 크다.
국제환경단체 기후행동추적(CAT)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배출한 온실가스는 500억mt(metric ton)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144억mt으로 전체의 30%를 차지한다. 그 뒤로 미국(63억9000mt), 인도(35억2000mt), 유럽연합(34억3000mt), 러시아(20억3000mt), 일본(11억7000mt) 등 순이다.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중국의 반에 못 미친다. 하지만 배출량을 인구수로 나눌 경우 1인당 배출량은 중국을 압도한다.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서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온도 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유지하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3년 후에는 목표치가 수정됐다.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목표치를 1.5도 이하로 낮췄다. 2도를 허용하면 기후 재앙을 막을 수 없다는 이유다.
‘1.5도’가 지금 글로벌 화두로 떠올랐다. ‘마지노선 1.5도’라는 말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현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된다면 최소 수년에서 최장 2030년 사이에 1.5도를 넘어설 것이라고 경고한다. 학계 전문가들은 산업화 이전보다 현재는 지구 온도가 평균 1.2~1.4도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비영리단체 ‘클라이밋 센트럴(Climate Central)’은 COP28 총회에 맞춰 기후변화가 지구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공개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후변화로 영향을 받는 도시들의 가상 이미지를 시각화했다. 이미지는 각 지역의 고도와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높아졌을 경우를 가상한 것이다.
이미지는 두 종류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섭씨 1.5도로 제한한 경우와 이를 지키지 못해 섭씨 3도가 오른 경우를 비교했다. 클라이밋 센트럴은 2021년에는 섭씨 3도가 오른 것을 가정해 샌타모니카 피어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경우 해수면이 최고 20피트 상승해 피어 전체가 바닷속에 잠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조사에서 섭씨 1.5도 이내로 유지했을 때에는 지구촌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금의 상황과 별다른 변화가 없다. 하지만 3도가 올랐을 때를 가정하면 곳곳이 물에 잠긴다. COP28이 열리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는 물이 차올라 건물들이 물속에 잠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 후쿠오카 주택들은 지붕만 남기고 바닷물에 잠기고 영국 글래스고는 차도까지 물이 차오르게 된다.
현재 지구에는 만조 때 물에 잠기는 지역에 대략 3억8500만 명이 거주한다. 기온이 1.5도 넘지 않을 경우 전 세계에서 5억1000만 명이 거주하는 지역이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지구의 평균온도가 3도 높아지면 만조 시 8억 명 이상의 인구가 사는 육지가 바다에 잠길 수 있다.
기후변화가 허구라는 주장도 있지만, 최근의 기상 이변을 보면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지구온난화는 더는 미래의 문제가 아니고 그 영향은 전 인류에게 미친다. 그런 만큼 지구촌 전체의 공조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보이지 않게 다가오는 재앙에 대비해야 할 때다.
김완신 에디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