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최고’란 말이 두려운 요즘
요즘 누구를 만나든 물가 얘기는 빠지지 않는다. 점심시간이 부담스럽고, 카드빚은 점점 늘어만 간다며 한숨을 내쉬는 모습이 전혀 이상하지 않은 요즘이다. 한정된 수입에서 가장 큰 지출은 단연 월 렌트비. 재계약을 앞둔 세입자들은 월세가 얼마나 오를까 하는 걱정에 발을 동동 구를 수밖에 없다. 그나마 착한 집주인이나 아파트 소유주를 만나 월세가 오르지 않으면 그나마 악재는 피할 수 있겠지만, 대부분은 일정 비율 인상된 렌트비가 적힌 재계약 통지서를 받아들게 된다. 렌트비는 1년 넘게 계속 올라 40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올랐다고 한다. 모기지 금리도 2008년 이후 처음으로 6%를 넘어섰다. 14년 전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졌던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2년 전만 해도 3%를 밑돌았지만, 지금은 2배 가까이 오른 셈이다. 아주 많은 현금을 갖고 있지 않고서야 집 사기도 어려워졌다. 401k(직장인 은퇴연금) 계좌를 들락날락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물가가 급등하니 저축계좌라도 깨야겠다는 심리도 높아졌다. 지난 2분기의 예금 인출액은 총 3700억 달러를 돌파, 역시 분기별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 ‘최고’는 이뿐만이 아니다. 차량 구매자들이 역대 ‘최고’ 규모의 빚을 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코로나19 팬데믹 여파에 따른 공급망 붕괴로 인한 차량용 반도체 대란과 노동력 부족에 따른 생산 감소로 신차 및 중고차 가격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또 어떠한가. 2009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자본유출 위험성이 커지고, 이는 다시 원화에 대한 평가절하 압력으로 작용하는 악순환도 우려가 되는 상황이다. 최고란 소리를 들으면 기분 좋던 유년시절 감정은 온데간데없고, 매일 아침 뉴스에 인상만 찌푸리게 된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생활과 직결되는 직격탄이다. 본업만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워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 투잡을 뛰는 이들도 늘었다. 배달업을 하는가 하면, 틈틈이 온라인 강사로 활동하기도 한다. 최근 만난 한 취재원은 “내 삶에서 가장 가난한 요즘”이라고 했다. 20대까지만 해도 비싼 스포츠카에 혼자 투베드룸에 살 정도로 여유로웠다고. 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은 투잡, 쓰리잡을 해도 4인 가족이 먹고살기 힘들다고 했다. 한국의 부모님으로부터 매달 조금씩 금전적 도움을 받고 있지만 그마저 높아진 환율로 인해 답답함만 커지는 상황이라고 했다. 또 다른 이는 지난 추석 연휴 때 고국으로 보내는 선물 규모를 줄일 수밖에 없었다며 속상함을 털어놨다. 그는 “이럴 때 현금이 많았다면 한국에 달러를 보내 큰 선물을 드릴 수 있을 텐데, 그러기는커녕 마음만 전했다”고 말했다. 상황이 어렵다 보니 명절 선물도 부담이었다는 것이다. “먹고살기 어렵다”는 푸념이 요즘처럼 많았던 때가 또 있었을까.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긴축 정책을 강화한다지만, 이 시기를 아등바등 이겨내는 서민들은 마치 하루살이처럼 힘겹게 버티는 수준이다.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이런저런 노력을 꾀한다곤 하지만, 체감물가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할인’, ‘쿠폰’과 같은 단어들이 그렇게 반가울 수 없는 요즘이다. 언제까지 한숨만 쉬고 있어야 할지, 또 어떤 부문에서 ‘최고’ 갱신이 이뤄질지…. 서민들은 오늘도 그렇게 하루를 버티고 있다. 홍희정 / JTBC특파원기자의 눈 환율 변동성 차량용 반도체 재계약 통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