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들 "범죄 전력 있는 불체자 단속 찬성<10명 중 9명꼴>"

  미주 한인 대부분이 범죄 전력이 있는 불법 체류자에 대한 체포 및 추방 조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이민세관단속국(ICE)이 LA 등 전국에서 중범죄자를 대상으로 불법 체류자 단속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한인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관련 정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는 미주 중앙일보 웹사이트(www.koreadaily.com)를 통해 지난 4일부터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12일 오후 2시 현재, 조사에 응한 한인 중 72%(742명)가 범죄 전력이 있는 불법 체류자에 대한 ICE의 체포 및 추방 조치에 ‘매우 찬성한다’고 답했다. ‘다소 찬성한다(16%ㆍ167명)’라고 답한 한인까지 합하면 사실상 10명 중 9명꼴(88%)로 ICE의 조치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CE의 단속을 찬성하는 이유(중복 응답 가능)로는 ‘법과 질서를 강화할 수 있어서’라는 답변(69%)이 가장 많았다. ‘범죄율 감소에 기여할 수 있어서(61%)’, ‘불법 체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서(38%)’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ICE의 단속 활동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물었다. 응답자의 78%(807명)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두려움을 느낀다(12%ㆍ128명)’, ‘잘 모르겠다(9%ㆍ97명)’ 등의 순이었다.   한인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 전반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현 정부의 이민 정책에 대해 한인들은 ‘매우 긍정적(54%ㆍ557명)’, ‘다소 긍정적(23%ㆍ242명)’이라고 답했다. 반면, ‘매우 부정적(11%ㆍ118명)’, ‘다소 부정적(10%ㆍ102명)’이라고 답한 한인은 약 20%에 불과했다.   ICE의 단속 정책을 반대(중복 응답 가능)하는 한인들은 주로 불체자 단속으로 인해 지역 사회에 미칠 경제적 타격을 우려했다. 식당 서빙, 주방 보조, 건물 청소, 일용직 등에 상당수 불체자가 종사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단속 정책에 반대하는 한인 중 다수가 불체자 단속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58%)’고 답했다. ‘가족 분리 등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서(55%)’, ‘단속 과정에서 인권 침해 사례가 발생할 수 있어서(42%)’라는 답변도 많았다.   조사에 응한 한인들은 다양한 의견을 피력했다. 100여 개의 기타 의견을 살펴보면 ‘범죄자를 제외하고 세금을 납부하는 서류미비자나 시민권 자녀를 둔 불체 부모들은 이민 개혁을 통해 구제됐으면 한다’, ‘중범죄를 저지른 불체자만 추방했으면 좋겠다’, ‘이민자 단속이 아니라 불법 체류자를 단속하겠다는 건데 언론이 오도하지 말고 정확하게 보도하면 좋겠다’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미주 한인 1032명(20~80대)이 참여했다. 조사에 응한 한인들은 주로 ‘한인 언론을 통해 이민 관련 뉴스를 접한다(48%)’고 했으며, 시민권자(74%)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이 10년 이상 미국에 체류(96%)하고 있다고 답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불체자 완료 불체자 단속 한인들 범죄 최근 이민세관단속국

2025-02-17

무료라더니 600불 내라…견인 업체 막무가내 횡포

  ▶차량 견인 업체들의 막무가내식 영업과 바가지요금 횡포가 갈수록 심해져 운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국 최대 규모의 소비자 보호 기관인 ‘베터 비즈니스 뷰로(Better Business Bureau)’에는 지난해 LA 지역에서만 200여건의 견인 불만이 접수됐다고 합니다.     ▶마구잡이식 견인을 영어로는 ‘프레데토리 토잉(predatory towing)’이라고 합니다.   ▶현재 가주에서는 견인과 관련한 다양한 법규가 시행 중입니다. 일례로 견인 업체의 횡포 방지를 위한 AB2210도 있습니다.   ▶마구잡이식 견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알아두면 좋을 관련 규정을 소개합니다.   ▶관련 규정으로는 ◇차량 소유주가 나타나면 업체측은 견인 행위를 중단해야 하고 ◇견인된 차량은 10마일 이내 시설에서만 보관할 수 있으며 ◇차량 소유주는 견인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인 소지품을 꺼낼 수 있고 ◇현장에서 업체측이 운전자에게 견인 비용을 현금으로 요구할 수 없고 ◇이를 어길시 견인 업체 업주는 최대 2500달러 또는 3개월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습니다. 또, 차량 소유주는 과도한 견인 비용 청구 등을 입증할 시 피해를 본 금액에 4배까지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견인 비용은 각 지역 마다 조금씩 기준이 다릅니다. LA시의 경우는 LA경찰국(LAPD)이 정한 견인 요금 규정이 있습니다. LAPD는 현재 견인 차량 등을 보관하는 18개의 차고(OPG)를 운영 중입니다. LAPD의 OPG 요금 기준에 따르면 일반 차량 견인 시 기본요금 195달러(올해 1월 기준·크레딧카드 결제시)가 부과됩니다. 여기에 마일당 11달러의 요금이 추가되며, 차량 보관 비용으로 하루 60달러씩 부과됩니다. 이보다 더 과도한 비용이 청구 된다면 이의를 제기해볼 수 있습니다.   ▶LA지역 최미수 변호사는 “적정 비용은 해당 지역 시 또는 카운티에 문의하면 알 수 있으며, 소비자가 부당 요금을 입증할 경우 피해 금액 이상의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아래는 2025년 2월6일자 A-1면에 실린 기사 전문입니다〉    일부 차량 견인 업체들의 막무가내식 영업과 바가지요금 횡포가 갈수록 심해져 운전자들의 불만이 크다.  차 사고 현장 등에서 견인을 해 간 뒤 과도한 요금을 청구하거나, 견인 경고문이 없는 곳에서도 무작정 차량을 끌고 가는 일도 빈번하기 때문이다. 전국 최대 규모의 소비자 보호 기관인 ‘베터 비즈니스 뷰로(Better Business Bureau)’에는 지난해 LA 지역에서만 200여건의 견인 불만이 접수됐다.     견인 업체들의 횡포는 법률 자문 서비스 현황에서도 확인된다. 한인 변호사들에 따르면 마구잡이식 견인을 뜻하는 ‘프레데토리 토잉(predatory towing)’ 피해로 법적 도움을 구하는 한인 운전자가 늘고 있다.   어바인 지역의 데이브 노 변호사는 “느슨했던 주차 규정이 팬데믹 이후 다시 강화되고, 노숙자 차량 단속이 활발해지면서 불법적 견인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며 “대다수가 견인 관련 법률 규정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최근 문의가 크게 늘었다”고 전했다.   최근 저스트디렉트, 크라우트로우, 그렉힐 어소시에이츠, 예프리미언 등 남가주 대형 로펌들도 담당 변호사를 배정해 차량 소유주의 권리와 고발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LA 한인타운의 한 쇼핑몰 인근에 주차했다 견인을 당한 최정균(38) 씨는 “5분 정도 잠시 길가에 차를 세우고 볼일을 보고 나왔는데, 차량 앞부분이 ‘로딩존(loading zone)’에 살짝 걸쳐 있었다는 이유로 견인차가 왔다”며 “견인 표지판도 없었고 즉시 차를 빼겠다고 했지만, 견인 업체는 별다른 정보도 주지 않고 막무가내로 차를 견인해 갔다”고 말했다.   교통사고 현장에서도 무분별한 견인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일준(45·풀러턴) 씨는 “얼마 전 LA에서 교통사고가 났는데, 어디선가 견인차가 나타나 무료 견인을 해주고 공인 수리 업체도 소개해 주겠다고 하며 차량을 끌고 갔다”며 “사고 뒷처리를 하느라 사흘 후에 연락했더니 견인 비용이 600달러가 넘어 황당했다”고 말했다.   가주의 차량 견인 관련 규정에는 ▶차량 소유주가 나타나면 견인 행위를 중단해야 하고 ▶견인된 차량은 10마일 이내 시설에서만 보관할 수 있으며 ▶차량 소유주는 견인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인 소지품을 꺼낼 수 있고 ▶현장에서 견인 비용을 현금으로 요구할 수 없다는 등의 내용이 있다.   최미수 변호사는 “가주에서 일괄 적용되는 견인 비용 기준은 없지만, 각 지역 법 집행기관이 정한 규정을 초과할 수 없다”며 “적정 비용은 해당 지역 시 또는 카운티에 문의하면 알 수 있으며, 소비자가 부당 요금을 입증할 경우 피해 금액 이상의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A시의 경우에도 LA경찰국(LAPD)이 정한 견인 요금 규정이 있다. LAPD는 현재 견인 차량 등을 보관하는 18개의 차고(OPG)를 운영 중이다. LAPD의 OPG 요금 기준에 따르면 일반 차량 견인 시 기본요금 195달러(올해 1월 기준·크레딧카드 결제시)가 부과된다. 여기에 마일당 11달러의 요금이 추가되며, 차량 보관 비용으로 하루 60달러씩 부과된다.     LAPD 측은 “올해 1월부터 견인 요금이 소폭 인상됐지만 이 기준은 LA 시 전역에서 적용된다”며 “LA 시와 경찰위원회가 매년 요금 기준을 정한다”고 밝혔다.   전국교통연구소(ATRI)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는 뉴저지, 워싱턴, 애리조나, 뉴욕 등과 함께 ‘프레데토리 토잉’ 피해가 가장 많은 10개 주 안에 포함됐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막무가내식 완료 막무가내식 견인 견인 업체들 차량 견인

2025-02-05

“한인 산불 피해자 재기 돕자”…LA 한인회 성금 모금 나서

LA 인근에서 잇따라 발생한 대형 산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인 피해자를 돕기 위한 성금 모금이 시작됐다.   LA한인회(회장 로버트 안)는 산불 피해 성금 모금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제프 이 LA한인회 사무국장은 “버지니아, 시애틀, 시카고, 뉴저지, 심지어 한국에서도 피해자들을 돕고 싶다는 문의 전화가 많았다”며 “또 여러 곳에서 피해 한인들을 알려주고 있어 한인회 차원에서 이들을 돕기 위한 공식 성금 모금 창구를 개설한 것”이라고 말했다.   LA한인회 측은 성금을 보내려면 체크 지불 대상(pay to the order of)에 ‘Korean American Federation of Los Angeles’를 기재하고, LA한인회 사무국 주소(981 S. Western Ave #100, LA, CA 90006)로 보내면 된다고 전했다. 또 체크와 함께 반드시 발송자의 연락처를 기재해 달라고 한인회는 당부했다.   이 사무국장은 “성금은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모금 캠페인 전부터 여러 한인이 십시일반 보내준 성금도 벌써 약 3000달러에 이른다”고 전했다.   이미 LA한인회에 성금을 보내려는 단체와 기관들도 많다.     LA와 오렌지카운티에 약 250명의 회원이 있는 ‘품격 있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단체는 이미 산불 피해자 돕기 성금 모금을 시작했다. 이 모임의 한 운영진은 “현재까지 회원들이 모은 금액이 4050달러 정도 된다”며 “모금이 마무리되는 대로 LA한인회 측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불교 LA교당의 양은성 교무는 “현재 미주 지역 각 교당에서 성금을 모아 LA교당 쪽으로 보내올 계획”이라며 “성금이 모이면 2월 초 정도에 LA한인회에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LA한인회는 그동안 카혼 패스 산불, 팬데믹 구호 기금, 우크라이나 전쟁 동포 돕기, 시리아 지진 피해 등 다양한 성금 캠페인을 진행해 왔다.   LA한인회 측은 성금 모금과 함께 피해자 지원을 위한 세부적인 사항도 마련 중이다.   이 사무국장은 “공정한 지원을 위해 피해 산정 방법과 지원 조건인 피해 기준 등을 곧 마련해 확정되는 대로 공지할 것”이라며 “이번 산불 피해 성금도 단 1달러도 준비 과정에서 경비로 사용하지 않고 100% 피해자들에게 전달할 것이며, 성금 모금 상황은 매일 한인회 웹사이트에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금 관련 문의:(323)732-0700, (213)999-4932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한인회 완료 la한인회 사무국장 성금 모금 성금 캠페인

2025-01-21

한인타운서 매일 약 100건씩 민원 전화 접수

지난 한 해 LA 한인타운에서만 하루 평균 100건에 가까운 민원 전화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인타운에서 접수된 민원 전화 10건 중 1건은 노숙자 텐트 신고 건으로 조사됐다.   통계·분석 매체 크로스타운은 LA시 민원 전화 서비스 ‘My LA 311’의 통계를 인용, 지난해 LA시에서는 총 141만 5288건의 민원 전화가 접수됐다고 21일 보도했다. 이는 전년 대비 5.2% 증가한 수치다.   민원 전화 접수 건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보일 하이츠 지역이 4만 9775건으로 가장 많았다. 한인타운(3만 4519건)은 밴나이스(4만 1280건), 웨스트레이크(3만 9284건), 노스할리우드(3만 5443건)에 이어 다섯 번째로 민원 전화 접수 건이 많은 지역이었다. 한인타운에서만 매일 94건의 민원 전화가 접수된 셈이다.   주목할 부분은 LA시 전역에 접수된 민원 전화 중 노숙자 텐트 신고 건이 지난 7년(2018~2024) 이래 가장 많았다는 점이다.   지난해 접수된 노숙자 텐트 신고 건은 총 8만 5991건이다. 이는 전년(7만 2351건) 대비 약 19% 늘어난 것이다. 또, 2018년(3만 9947건)과 비교하면 무려 115% 이상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LA 지역의 노숙자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인타운의 경우, 지난 한 해 노숙자 텐트 신고 건은 총 3254건이었다. 매일 10건에 가까운 노숙자 텐트 신고가 접수됐음을 알 수 있다.   캐서린 이(39·LA) 씨는 “아파트 주변에 버려진 소파 등 대형 물품 쓰레기가 조금만 쌓이면 금세 노숙자들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며 “주민들도 311에 노숙자 텐트 신고를 여러 번 했지만, 노숙자들이 잠시 사라졌다가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민원 전화가 과연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가장 많은 요청 건이 있었던 민원은 쓰레기 수거 요청(전자제품·대형 생활 쓰레기·가전제품·가구 등 포함)이었다.   311 통계에 따르면 전체 민원 전화 중 거의 절반(67만 4508건·약 47.7%)이 대형 생활 쓰레기를 수거해달라는 요청이었다. 이어 낙서 제거(약 31만 7400건·약 22.4%)가 두 번째로 많았다. 민원 전화 10건 중 7건이 쓰레기와 길거리 낙서 문제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재 LA 한인타운의 경우 KYCC(한인타운 청소년회관)가 거의 모든 낙서 제거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KYCC에서 낙서 제거 자원봉사를 하는 제니퍼 남(16) 학생은 “쓰레기와 낙서가 많은 곳을 보면 대부분 노숙자가 많은 길목”이라며 “길거리가 깨끗해지면 안전 문제도 그만큼 개선되기 때문에 특히 시니어가 많은 한인타운에서 여러 학생이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도 지난해 동물 사체 처리 요구는 총 3만 2398건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지난 7년(2018~2024) 이래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동물 사체 처리 요구 건은 샌피드로(870건), 노스리지(848건), 밴나이스(810건), 실마(792건) 등의 순이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민원전화 완료 민원 전화 노숙자 텐트 노숙자 문제

2025-01-21

불씨 옮겨붙지 않게 집 주변 ‘제로 존’ 만들어야

LA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주택 소유주들에게 화재 대비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     특히 이번 주 예고된 샌타애나 강풍은 산불 등 화재 위험을 더욱 높이고 있어, 소방 당국은 철저한 사전 대비를 당부하고 있다.   먼저 가주소방국 공보실 측은 "작은 불씨는 매우 파괴적일 수 있으며 이는 1~2마일가량 떨어진 주택에도 불을 붙일 수 있다"며 "화재 피해를 막으려면 예방 조치가 필수적"이라고 경고했다.     이를 위해 소방 당국과 보험사 관계자들은 주택 주변에 발화 물질을 제거하고, 최소 5피트 이내를 안전 지대로 만드는 '제로 존(zero zone)' 조성을 권장하고 있다.   가주소방국 측은 ▶지붕을 점토, 금속, 콘크리트 등 불연성 재질로 교체 ▶기와 지붕일 경우 불씨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틈새 차단 ▶집 주변에 발화 물질을 치우고 낙엽이나 마른 가지 등을 청소 ▶산불 시즌에는 굴뚝과 스토브 배관 배출구 등을 불연성 재질로 차단 ▶집 외벽이 나무 재질일 경우 섬유 시멘트, 벽토 등 특수 처리된 목재로 교체 ▶정원의 물 호스를 주택 내 모든 구역에 닿을 수 있도록 긴 것으로 교체 등을 권고하고 있다.   파머스 보험의 로이 김 에이전트는 "소화기 등 기본적인 소방 도구를 쉽게 손이 닿을 수 있는 곳에 배치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정전 시에도 차고문이 열릴 수 있도록 백업 배터리도 장착하고 불씨가 옮겨붙지 않도록 평소 집 주변의 잔해물도 치우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산불 발생 시 가장 위험한 것은 불씨다. 비즈니스·주택안전보험협회 로이 라이트 대표는 지난 11일 USA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엄지손가락 크기도 안 되는 불씨라도 이것이 강한 바람을 타게 되면 발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며 "이번 LA 대형 산불 사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불은 너무나 순식간에 번지기 때문에 늘 조심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원의 식물을 토종으로 교체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토종 식물 품종은 주로 가주가 원산지인 화이트 세이지, 만자니타, 토욘 등 50종에 이른다.   폼LA조경의 캐시 아오야기 대표는 "일반적으로 토종 식물이 비토종 식물보다 뜨거운 열에 더 잘 견디는 성질이 있다"며 "반면 외래종은 화재 발생 시 금방 타기 때문에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가주 소방국은 웹사이트(readyforwildfire.org/prepare-for-wildfire/hardening-your-home)를 통해 화재나 산불 발생시 주택을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공지하고 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완료 불씨 불연성 재질로정원 주택안전보험협회 로이 가주소방국 공보실

2025-01-13

‘무책임 폐업’ 한인 사진관 피해자 늘어

LA 한인타운 노턴 애비뉴 인근에 있던 사진 스튜디오 ‘라뜰리에’의 갑작스러운 폐업〈본지 12월 23일자 A-1면〉으로 인한 피해자가 늘고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자만 15명으로 이들의 피해액은 수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추가 피해 사례가 잇따르면서 피해자들은 법적 소송을 고려 중이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업주 제 모 씨는 지난해 10월쯤부터 연락이 두절됐다. 이 스튜디오는 고객당 2000~3000달러씩 받고 아기가 태어나고 자라는 모습을 촬영하는 ‘성장 앨범’ 제작 업체로 알려져 있다.   본지 보도 후 잠적했던 업주는 피해자들에게 뒤늦게 연락을 취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 피해자는 업주로부터 “건강 문제로 스튜디오 운영을 계속할 수 없게 됐다. 괜찮다면 야외 촬영으로 변경해도 되겠느냐”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피해자인 한 모 씨는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서도 추가 피해자가 연락을 해왔다”며 “최근 중앙일보 보도 후 업주에게 연락이 오긴 했지만, 피해 규모가 너무 커 고발 조치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피닉스에 사는 한인 피해자도 2300달러를 스튜디오 측에 미리 지불했다. 이 피해자는 “돌 사진 촬영을 위해 지난해 12월22일 예약된 시간에 LA까지 갔는데 스튜디오 문이 닫혀 있었고 (업주와) 연락도 닿지 않았다”며 “이리저리 알아보니 이미 문을 닫고 도망갔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허탈해했다.     피해자들은 단체 채팅방을 만들어 업주에 대한 후속 조치를 논의 중이며, 이메일을 개설해 제보도 받고 있다.   ▶피해 제보 이메일: [email protected]   〈알려왔습니다〉 1월13일자 기사에 언급된 피닉스의 한인 피해자는 1월 26일 본지에 이메일을 보내 "사진관 측과 원만히 해결하여 더 이상 피해자가 아니다"라고 알려왔습니다. 본지는 기사에 언급된 코멘트 내용은 당시 해당 피해자가 피해자들에게 보낸 제보 이메일 내용을 그대로 보도했음을 알려드립니다.   관련기사 타운 사진관 ‘나몰라라 폐업’ 팽개친 상도의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사진관 완료 추가 피해자들 타운 사진관 인근 사진관인

2025-01-12

1000불 이하 공사는 건축면허 없어도 수행 가능

법과 생활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새해부터는 시민들의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러 민생 관련 법규들이 시행된다. 이 법들은 가정, 직장, 학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의 삶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새롭게 시행되는 주요 법률들을 소개한다.   ▶은행 과도한 수수료 부과 금지   새해부터 가주 내 은행, 신용조합 등은 고객에게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할 수 없게 된다. AB 2017에 따라, 고객이 잔액 부족 상태에서 돈을 인출하거나, 잔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인출할 경우 은행이 부과할 수 있는 벌금과 수수료가 금지된다. 이 법은 재정적으로 어려운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고용주의 휴가 강요 금지   직원의 유급 가족 병가(Paid Family Leave) 권리를 강화하는 AB 2123 법이 시행된다. 이 법은 고용주가 직원에게 유급 가족 병가 혜택을 받기 위해 사용하지 않은 휴가를 먼저 사용하라고 권유하거나 강요하는 것을 금지한다. 시행 전에는 고용주가 직원에게 최대 2주까지 남은 휴가를 사용하도록 강요할 수 있었다. 이번 법은 직원들의 휴가 선택권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독 서비스 해지 관련   오늘날 온라인 스트리밍 등 다양한 구독 서비스가 있다. 가주 주민들은 올해부터 AB 2863을 통해 구독 서비스를 쉽게 취소할 수 있게 됐다. 이 법은 자동 갱신되는 구독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간단한 클릭을 통해 취소할 수 있도록 하며, 서비스 제공자는 매년 구독료와 해지 방법에 대한 정보를 구독자에게 안내해야 한다.   ▶보증금 반환 규정   임차인 보호법인 AB 2801도 시행된다. 이 법에 따라 임대인은 임차인이 거주하던 집을 깨끗하게 청소한 경우, 보증금 전액을 반드시 반환해야 한다. 만약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청소 비용을 청구하고자 할 경우, 사진 등 확실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의료비 부채 기록   2024년부터 크레딧 리포트에 의료비 부채가 기록되지 않는다. 또한, 의료비 부채는 신용 등급을 결정하는 데 반영할 수 없게 된다. 이 법은 SB 1061이다.   ▶비면허자 공사 비용 한도 상향   올해부터는 1000달러 이하의 공사는 건축 관련 면허가 없는 사람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단, 건축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공사여야 하며, 1000달러는 인건비, 자재비 등 모든 비용을 포함한 금액이어야 한다. 가주건축면허국(CSLB)은 “AB 2622에 따라 비면허자의 공사 비용 수임 기준이 상향되었으며, 이들은 공사 수임을 위해 홍보할 수 있지만 면허가 없다는 점을 광고에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술의 폐해 학교서 배운다   올해부터 가주 지역 공립학교에서는 알코올 문제에 대한 교육을 확대한다. 공립학교에서는 이미 알코올과 마약의 폐해를 알리는 교육을 하고 있지만, AB 2865에 따라 과도한 음주의 장기적 및 단기적 피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을 시켜야 한다. 교육 내용에는 음주로 인한 만성 질환, 정신 건강 문제, 사망 연관성 등이 포함된다.     ▶숙제 부담 줄이기 권장   학생들의 숙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법(AB 2999)이 올해부터 시행된다. 가주 교육부는 지역 교육 기관에 학생, 학부모, 교사 등의 의견을 반영해 숙제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을 권장해야 한다. 각 교육구는 가이드라인을 웹사이트 등에서 공개해야 한다. 또, 이 법은 오는 2027년까지 각 학군에 가이드라인 이상의 구체적인 숙제 정책을 마련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건강한 숙제법’으로 불리는 이 법은 학생들이 과중한 숙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도입됐다.   ▶유아용 식품 중금속 수치   새해부터 유아식 제조업체는 제품에 포함된 납, 수은, 카드뮴, 비소 등 4가지 중금속 물질의 검사 결과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포장에 명시해야 한다. AB 899에 의한 이 법은 중금속 검사 결과를 QR코드 형식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가 이를 명확히 해석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횡단보도 20피트 내 주차 금지   보행자 안전 강화를 위해 새해부터 횡단보도 인근 주차 단속이 본격적으로 강화된다. '데이라이팅 법(AB 413)'으로 불리는 이 규정은 횡단보도에서 20피트 이내, 확장형 커브가 있는 횡단보도에서는 15피트 이내로 차량이 주차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교차로와 횡단보도 인근의 주차를 금지해 보행자의 안전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이 법의 목적이다. 이 법은 지난해 1월부터 시행됐지만, 그동안 법 집행기관은 경고 위주로 대응해왔다.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단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운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완료 새해 규정들구독 취소 구독 서비스 비면허자 공사

2025-01-01

LA타임스 행사서 노로바이러스 집단 감염

LA타임스가 주최한 ‘101 베스트 레스토랑’ 행사에서 생굴 섭취 후 수십 명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됐다.   20일 ABC7 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 3일 LA타임스가 주최한 행사에서 생굴을 섭취한 참석자 중 80명 이상이 설사, 메스꺼움,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이 매체는 “최소 80명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보건국을 통해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보건 당국은 캐나다와 워싱턴주 일부 지역에서 생산된 굴과 조개의 섭취 자제를 19일 권고한 바 있다. 〈본지 12월 20일자 A-1면〉   관련기사 노로바이러스 위험 생굴·조개 주의…캐나다·워싱턴주 일부 제품 이어 식품의약청(FDA)도 노로바이러스 오염 가능성을 이유로 레스토랑과 소매업체에 생굴 판매 금지를 명령했다. 굴을 공급한 업체는 긴급 리콜을 실시하고 소비자들에게 섭취를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힐러리 매닝 LA타임스 대변인은 “문제의 생굴은 ‘패니 베이 오이스터(Fanny Bay Oysters)’에서 공급됐다”며 “행사 스폰서인 산타모니카 씨푸드가 이를 조달해 참여 레스토랑 중 한 곳에 제공했다”고 밝혔다.   한편, FDA는 노로바이러스가 맛, 냄새,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검사를 통해서만 감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감염자는 12시간에서 48시간 동안 증상을 겪을 수 있다. 정윤재 기자노로바이러스 완료 노로바이러스 감염 생굴 섭취 노로바이러스 오염

2024-12-22

가주 조류 독감 비상사태 선포…중가주 이어 남가주서도 확인

고병원성 조류 독감(H5N1)이 전국적으로 확산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가주에서는 조류 독감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는 18일 성명을 통해 “중가주에 이어 최근 남가주 지역 한 농장에서도 젖소 조류 독감 감염 사례가 확인됐고, 전국 16개 주에서 조류 독감이 확산 중”이라며 비상사태 선포 배경을 밝혔다.     이어 뉴섬 주지사는 “현재까지 사람 간 감염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이번 조치는 발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비상사태를 계기로 주 전역에서 모니터링이 강화되고 각 보건기관은 바이러스 확산 방지에 총력을 다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이날 루이지애나주에서는 중증 감염 환자가 발생했다. 올해 65세인 감염자는 병들거나 죽은 가금류와 접촉한 후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CDC는 밝혔다.       뉴섬 주지사 사무실에 따르면 올해 전국적으로 총 61건의 조류 독감 감염 사례가 발생했으며, 이 중 34건이 가주에서 보고됐다.     LA타임스는 연방 농무부 자료를 인용, 지난 8월 이후 가주에서 젖소 645마리에서도 조류 독감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18일 보도했다. 데메트르 다스칼라키스 CDC 호흡기질환센터 소장은 기자회견에서 “감염 환자의 바이러스를 이용해 추가 유전자 분석 등을 진행 중”이라며 “이번 H5N1 바이러스는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이 더 높은 변이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조류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3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고열, 기침, 재채기,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각한 경우 폐렴이나 호흡 곤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UC샌프란시스코 전염병 전문가 피터 친홍 박사는 노약자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마스크 등 개인 보호 용품의 이용을 당부했다. 또 육류와 계란 등은 완전히 익혀 먹고, 우유는 살균처리 여부를 확인하라고 조언했다. 친홍 박사는 “혹시 죽어있는 새를 발견하면 접근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현재 연방 보건 당국은 조류 독감 바이러스의 감염 경로를 추적하고 있다.     미국에서 조류 독감이 확산 조짐을 보이자 한국 질병관리청은 가주를 비롯한 워싱턴, 미네소타, 펜실베이니아주 등을 중점 검역 관리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는 치명적인 1급 감염병이 유행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내년 1월1일부터 해당 지역 거주자들이 한국 입국 시 건강상태 확인서 제출을 요구하게 된다.   가주 거주자나 가주를 경유해 한국에 갈 경우 항공기 탑승 전  Q-CODE(검역 정보 사전 입력시스템)를 이용해 건강 상태를 묻는 질문에 답하고 이를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비상사태 완료 비상사태 선포 조류 독감 바이러스 확산

2024-12-18

대학생 '소득기반' 재정 보조금 지원 늘릴까

저리 학자금 대출은 디폴트 높아 중단   다음달 시작하는 2025년 조지아 주의회 정기회기에서 대학 학점 요건을 충족한 학생에게 재정 보조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연장 여부가 논의될 예정이다.   조지아는 호프(HOPE)와 젤밀러 장학금을 통해 전국에서 성적 기반 장학금 지원을 선도하고 있지만, 소득 기반 지원금은 부족한 특이한 케이스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재정 문제 때문에 대학을 졸업하기 힘든 학생들 중 커리큘럼의 80% 이상을 완료하면 최대 2500달러를 지급하는 ‘대학 졸업 그랜트(GCCG)'가 조지아에서 시행된 바 있다. 대학 졸업 그랜트는 3년 시범 프로그램으로, 내년에 만료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것의 연장 여부는 내년 정기회기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이와 비슷한 정책으로 4년제 학점 요건의 70%를 이수하거나 2년제 학점의 45%를 이수한 학생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법안이 올초 주 하원에 발의돼 통과됐지만, 상원에서 표결에 부쳐지지 못했다.   조지아 예산 및 정책연구소(GBPI) 는 이 그랜트가 “재정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면서도 대학 생활 초기에 학생들을 더 많이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애슐리 영 GBPI 수석 분석가는 애틀랜타 저널(AJC)에 “20%, 50%, 70% 완료한 학생을 얼마나 잃었는지 우리가 어떻게 알겠느냐”고 반문했다.   GCCG의 모델이 된 '팬서 리텐션 그랜트(PRG)'는 조지아주립대(GSU)에서 시행하는 지원금 정책으로, 많은 학생들의 중퇴를 막았다고 평가받는다. 졸업을 앞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엄격한 요구 사항은 없다. GSU도 재정 지원을 늘리기 위해 주 정부로부터 보조금이 늘어나길 기대하고 있다고 AJC는 전했다.   한편 조지아는 2012년부터 저소득 학생들에게 낮은 이자율로 학자금을 대출해주는 프로그램(SAL·대학 기간 최대 3만6000달러)이 있었으나, 높은 채무 불이행률을 이유로 2022년 정기회기에서 예산이 삭감되며 2024년 회계연도 이후에는 사실상 중단됐다.   2021년 감사자료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을 통해 그동안 3만6000명의 학생들에게 2억6600만달러가 대출됐다. 그러나 미상환율이 무려 31%에 달해 5000만달러의 세금 손실을 초래했다. 이에 따라 주의회는 2022년 예산 배정을 줄였고, 2024 회계연도들어서는 아예 대출이 중단됐다. 윤지아 기자조지아 그랜트 조지아 대학 완료 그랜트 대학 학점

2024-12-17

속기사 부족, 가주 법원 소송으로 이어져

LA카운티 등 가주 내 4개 법원을 상대로 한 소송이 제기됐다.     원고 측은 법원 내 속기사 부족으로 재판 과정이 제대로 기록되지 않아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11일 LA타임스에 따르면, 북가주 지역 법률 단체인 베이에어리어리걸에이드(BALA)와 가정폭력항소프로젝트(FVAP) 등이 속기사 부족 문제로 피해를 보고 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원고 측은 지난 5일 가주 대법원에 소장을 제출했으며, 피고는 LA카운티를 포함한 샌디에이고, 콘트라코스트, 샌타클라라 등 4개 지역 수피리어 법원이다.   이번 소송은 주 전역에서 100만 명 이상이 속기사 부족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에 기반을 두고 있다. BALA 제나퍼 와그너 디렉터는 인터뷰에서 “속기사 부족 문제는 1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점점 악화되고 있다”며, “특히 공증된 속기록이 없을 경우 양육권 분쟁, 가정 폭력, 강제 퇴거 등 법률 절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가주 법원의 속기사 부족 문제는 심각하다. 가주입법분석사무소(LAO)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52만5000건 이상의 민사 소송이 속기록 없이 진행됐다.   속기사가 감소하고 있는 문제도 있다. 가주 법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으로 가주 내 속기사 면허 소지자는 총 4752명이며, 2013~2022년 사이 면허 소지자는 약 19% 감소했다. 신규 면허 신청 건수는 70% 가까이 줄었다.   LA카운티수피리어법원은 올해 초부터 웹사이트 등을 통해 속기사 부족 상황을 공지했으며, LA카운티와 샌타클라라카운티 수피리어 법원은 저소득층에게 전자 녹음(ER) 장비 사용을 허가했지만, 여전히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데이브 노 변호사는 “속기사를 개인이 고용할 경우 하루 수천 달러의 비용이 발생해 금전적 부담이 크다”며, “가주 법원에서 일부 오디오 녹음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가정 폭력 금지 명령이나 퇴거, 양육권 분쟁 등에서는 이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LA카운티수피리어법원 롭 오프트링 대변인은 “공정하고 평등한 사법 접근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속기사 완료 법원 소송 법원 피소속기록 속기사 면허

2024-12-11

금수저 12세 소녀의 나눔 성장기…뮤지컬 ‘알렉시스의 크리스마스’

한인 극단 이즈키엘이 가족 뮤지컬 ‘알렉시스의 크리스마스’를 오는 12월20일부터 22일까지 할리우드 반스달 갤러리 극장(4800 Hollywood Blvd, Los Angeles)에서 선보인다.   이번 작품은 크리스마스의 본질적 의미를 돌아보게 하는 스토리와 다채로운 무대로 관객들에게 사랑과 감동을 전할 예정이다.   티켓은 일반석(25달러), VIP석(40달러)으로 나뉜다. 웹사이트(www.ezekiel.la)를 통해 티켓을 구입할 수 있다.   이 뮤지컬은 부유한 상속인의 딸로 크리스마스를 알지 못한 채 자란 12살 소녀 알렉시스의 이야기를 그린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집을 몰래 빠져나온 그녀는 거리에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따뜻한 나눔과 사랑의 의미를 배워간다.   특히 크리스마스 정신을 깨달아가는 알렉시스의 성장 과정은 전 연령대 관객들에게 공감과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공연은 NBA 경기에서 미국 국가를 부른 최원현 배우와 디즈니랜드에서 뮬란 역을 맡은 한예랑 배우가 주연으로 출연한다.   또한 황아름 작곡가가 새롭게 편곡한 크리스마스 캐럴과 전효인 안무가의 현대무용이 어우러져 풍성한 무대를 완성했다. 공연은 한국어로 진행되며 영어 자막이 제공된다.   한편, 극단 이즈키엘은 2013년 창단 이래 ‘청년 예수’, ‘마루 마을’ 등 창작 뮤지컬을 통해 신앙과 예술을 접목한 무대를 선보이며, 모든 공연의 수익을 기부해왔다.   ▶티켓 문의:(213)200-9544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게시판 완료 공연할리우드 반스달 크리스마스 캐럴 크리스마스 정신

2024-11-26

KAF, 26개 비영리단체에 기금 전달

남가주 최초의 한인 커뮤니티 재단인 KAF(Korean American Foundation)가 한인 비영리 단체 26곳에 기금을 전달했다.   지난 22일 LA한인타운 EK 아트 갤러리에서 열린 기금 수여식에는 한인 커뮤니티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행사를 빛냈다. 이날 행사에는 제리 강 교수(UCLA 법대), 브라이언 정 사장(허비스티보험), 신영신 이사장(한인타운 시니어센터), 토머스 한 박사(치과 전문의) 등이 참석했다.   KAF는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3년간 총 116만 달러의 기금을 지원해왔다. 올해는 지난해(35만5000달러)보다 약 12만 달러가 늘어난 47만5492달러를 26개 단체에 전달했다.   지원 단체도 지난해(16개)보다 10개가 더 늘었다. 지원 단체 범위도 LA를 넘어 오렌지카운티로 확장해 토런스-사우스베이 YMCA와 오렌지카운티 한미노인회도 명단에 포함시켰다.   KAF는 지원 단체 선정 기준으로 주택 지원, 정신 건강, 노인 복지, 커뮤니티 성장, 차세대 육성 등 7개 분야를 심사했다. 지원 금액은 2만 달러, 1만 달러, 5000달러로 분류해 단체의 활동과 우선순위에 따라 차등 지급됐다.   올해 지원서는 지난 9월부터 접수를 시작해 약 한 달 동안 심사가 진행됐다. 기금에 지원한 단체 수는 작년보다 3배 이상 늘어난 48개였다. KAF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강창근 KAF 이사장은 “비영리 단체 간의 입소문과 보드 멤버 확대가 신청 증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기부자 조언 기금(Donor Advised Fund·DAF)은 이번 지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파운더스 서클’은 10만 달러 이상을 기부한 후원자 그룹이다. 이 중 스캇 양씨는 지난해부터 한미특수교육센터(KASEC)에 매년 10만 달러씩 5년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양씨는 LA한인타운 코리아타운플라자 쇼핑센터를 개발한 인물로 올해도 10만 달러를 전달하며 약속을 지켰다. 그는 “좋은 취지의 프로그램을 돕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파운더스 서클의 한 멤버는 장애인 지원 비영리 단체인 ‘어빌리티퍼스트(AbilityFirst)’에 10만 달러를 기부했다.   KAF는 단순히 기금 지원에 그치지 않고 한인 커뮤니티의 정치력 신장도 목표로 하고 있다.   강창근 이사장은 “유대계, 일본계, 중국계 커뮤니티는 이미 자체 파운데이션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며 “KAF는 한인 커뮤니티가 지속 가능한 발전과 정치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AF에 따르면 차기 이사장으로는 존 림(사진) 림넥서스 대표 변호사가 내정됐다. KAF는 지난 2018년 고 홍명기 회장(M&L 홍 재단)과 데이빗 이 회장(제이미슨 그룹)의 주도로 설립됐다. 현재까지 760만 달러의 기금을 확보했으며, 10만 달러 이상 기부한 ‘파운더스 서클’ 멤버는 53명이다. KAF는 가주 최대 비영리 재단인 CCF(California Community Foundation)와 협력해 기부금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다. 정윤재·강한길 기자완료 단체 단체 지원남가주 지원 단체 비영리 단체

2024-11-24

한인 변호사 211명 탄생…7월 가주 시험 결과 발표

가주에서 200명 이상의 한인 변호사가 탄생했다.   가주변호사협회(SBC)가 지난 8일 발표한 2024년 7월 변호사 시험 합격자 명단에 따르면, 한인으로 추정되는 합격자는 총 211명이다. 전체 합격자(4458명) 중 약 4.7%를 차지했다. 한인 합격자는 전체 합격자 명단에서 ‘성(last name)’ 등을 통해 분류한 것으로, 실제 한인 합격자 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인 합격자 가운데는 리오 권(하와이), 안성호(뉴욕), 스칼렛 박(네바다), 김지혜(버지니아), 김준수(일리노이), 저스틴 진·정유진(매사추세츠), 박세희(경기도 고양시), 김우정·고해인·이혁재·이인철·이상혁·하희진·장효정·정은정(서울)씨 등 타주 및 한국 거주자들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시험에는 총 8291명이 응시, 이 중 4458명이 합격했다. 합격률은 53.8%다. 2022년 7월 시험(52.4%), 2023년 7월 시험(51.5%)보다 높은 합격률을 보였다.   응시생을 유형별로 나눠보면, 10명 중 7명(5614명)이 처음으로 변호사 시험을 치렀다. 첫 응시자의 합격률은 68.2%다. 재시험 응시자(2677명)의 합격률은 19%에 그쳤다. SBC 측은 “지난 7월 시험은 여러 주에서 통용되는 ‘MBE’ 객관식 형식을 적용하는 마지막 시험이었다”며 “이번 가주 지역 응시생들의 평균 MBE 점수는 1401점으로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SBC는 내년 2월부터 테스트 전문 기관인 카플란과 계약을 체결하여, 자체적으로 제작한 객관식 시험을 활용하기로 했다.   일부 과목의 면제 사항이 적용된 타주 변호사 자격증을 소유한 응시자는 319명이었다. 이 중 156명(48.9%)이 합격했다.   이들을 모두 합칠 경우 총 8610명이 응시, 4614명이 가주 변호사에 합격한 셈이다.   한편, 가주 변호사 시험은 매년 2월과 7월에 치러지고 있다. 역대 최저 합격률은 지난 2018년 2월 시험(합격률 27.3%)이었다. 합격자 명단은 SBC 웹사이트(apps.calbar.ca.gov/exam/default.aspx)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변호사 완료 한인 변호사 한인 합격자 변호사 시험

2024-11-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