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중앙칼럼] 더 이상 ‘골든 스테이트’가 아니다

LA타임스의 조지 스켈턴은 저명한 칼럼니스트다.    60년간 정치 전문 기자로 현장을 누볐다. 백악관 특파원, 새크라멘토 지국장도 역임했다.    정치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고 싶다면 스켈턴의 칼럼을 읽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그런 유명 기자가 자신이 쓴 글에 대해 실수를 자인했다.   스켈턴은 지난 23일 자 칼럼에서 “잘못을 인정하겠다. 나는 2년 전 이런 글을 썼다”고 털어놨다. 당시 그가 쓴 글은 이렇다.   “부유한 사람들은 오히려 이곳(캘리포니아)으로 오고 있다. 그들은 치솟는 생활비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부자들이 캘리포니아를 떠난다는 정치적 유언비어는 ‘가짜 뉴스(fake news)’다.”   ‘캘리포니아 엑소더스(California Exodus·탈가주)’ 현상을 가짜 뉴스로 단언하며 강하게 부정했던 그가 자신의 논지를 뒤집었다.    스켈턴이 주장을 접은 건 초당파 싱크탱크인 캘리포니아공공정책협회(PPIC)의 보고서 때문이다. PPIC는 지난 21일 캘리포니아 인구 유출에 대한 각종 팩트가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캘리포니아를 떠난 고소득자(연 소득 13만7500달러 이상)는 총 22만 명이다. 팬데믹 전인 2019년(15만 명)과 비교했을 때 50% 가까이 급증했다.    실수를 인정한 스켈턴은 “황금 거위들이 지금 이곳을 떠나고 있다”며 “이 문제는 부유층에 높은 세금을 부과하고, 사회복지 정책에 돈 쓰길 좋아하는 민주당 정치인들에게 걱정거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칼럼에서 이러한 추세를 ‘새로운 반전(new twist)’이라고 규정했지만, 인구 유출은 수년 전부터 이미 전 계층에 걸쳐 진행돼왔다.    채프먼 대학 짐 도허티 수석 경제학자는 인구 유출에 대한 추세 분석을 수년간 진행해왔다. 그의 연구팀은 탈 캘리포니아가 갑자기 생겨난 현상이 아니라고 단언한다.     도허티 박사는 “캘리포니아의 인구 순손실은 2011년부터 본격화했다”며 “지금은 인구 유출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2011년은 정치 지형이 바뀐 해다. 당시 제리 브라운 주지사가 취임하면서 캘리포니아는 다시 민주당의 ‘블루 스테이트(Blue State)’로 색이 변하는 시기였다. 이후 개빈 뉴섬 주지사가 배턴을 이어받으며 푸른색은 더욱 짙어졌다.    황금 거위가 푸른 캘리포니아를 떠난 사례는 많다. 일례로 지난 2014년 토런스에 있던 도요타 자동차의 미국판매법인 본사가 탈 캘리포니아를 결정했다. 높은 세금과 기업 규제를 피해 텍사스로 이전하겠다는 발표였다.    이러한 추세는 고소득층, 기업 등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그런데도 친민주당 성향의 주류 언론이나 연구 기관들은 캘리포니아의 인구 감소를 일시적 현상으로 치부해 왔다.      그 사이 현실은 냉랭해졌다. 탈 캘리포니아 현상은 각종 문제가 복합적으로 뒤섞여 생겨난 실상이다. 높은 세율과 생활비, 치솟는 주택 가격, 반기업적 정책, 범죄자 처벌 기준 완화, 범죄율 급증, 공권력 약화, 노숙자 증가, 공립학교의 지나친 성교육 커리큘럼, 부유세 추진 등 논란은 한둘이 아니다.    그동안 캘리포니아 주민들은 높은 거주 비용을 ‘날씨 세금(weather tax)’으로 여기며 내심 위안으로 삼아왔다. 문제는 잦은 산불, 폭우 등으로 최근에는 화창한 날씨를 즐기는 일마저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그러자 LA시는 갑자기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며 식당 등에서 천연가스 사용을 금지하려다 논란이 됐다. 뉴섬 주지사는 기후 변화 문제에 540억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공언했다가 최근 적자 예산이 예상되자 환경 정책을 포기하는 등 오락가락했다.    캘리포니아는 한때 ‘골든 스테이트(Golden State)’로 불렸지만, 그 별칭은 옛말이 됐다. 사람들은 지금 금빛이 사라진 ‘블루 스테이트’를 떠나고 있다. 엄연한 사실이다. 장열 / 사회부 부장중앙칼럼 스테이트 캘리포니아 인구 캘리포니아 엑소더스 블루 스테이트

2023-03-28

‘탈뉴욕’ 올해도 이어졌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완화한 올해에도 뉴욕주 인구 감소세는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센서스국 발표에 따르면, 올해 7월 현재 뉴욕주 인구는 1967만7151명으로, 작년 7월(1985만7492명)에 비해 18만341명(0.9%) 감소했다. 뉴욕주에서 타주로 이동한 인구는 29만9577명에 달했는데, 이는 센서스국이 통계를 집계한 이후 뉴욕주에서 역대 세 번째로 큰 인구유출 규모다.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부터 현재까지 뉴욕주에서 타주로 이동한 주민 수는 총 65만1742명으로, 버펄로·로체스터·시라큐스 인구를 합친 것보다 많다. 뉴욕주는 전국에서 최근 1년간 인구 감소세가 가장 큰 주로 꼽히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뉴저지주 인구는 7월 현재 926만1699명으로, 작년 7월(926만7961명) 대비 6262명(0.07%) 줄어드는 데 그쳤다. 뉴욕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가와 세율 덕분에 타주로 빠져나간 인구가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1년간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주는 텍사스주(47만708명)였고, 플로리다주(41만6754명) 역시 인구가 급증했다. 성장률로 보면 플로리다주(1.9%) 인구 성장률이 가장 높았고 아이다호주(1.8%), 사우스캐롤라이나주(1.7%), 텍사스주(1.6%)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인구는 3억3328만7557명으로, 전년대비 125만6003명 늘었다.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안정적 추세로 돌아간 점, 해외서 유입된 이민자 수가 반등한 점이 배경이다.     뉴욕주에선 전국 추세와 반대되는 인구 감소세를 심각하게 보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이 장기화하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에는 40년만에 최악으로 치솟은 물가와 렌트·높은 세율·범죄율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뉴욕을 떠난 사람들이 앞으로도 되돌아오지 않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졌다. 재택근무 비율이 높아지며 굳이 도심에 살 이유가 사라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친기업 성향 단체인 저스틴 윌콕스 업스테이트유나이티드 이사는 “뉴욕주 엑소더스 현상은 분명한 위기”라며 “세금 감면과 친성장 개혁이 없으면 결국 뉴욕주가 전국에서 미치는 정치적 영향도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탈뉴욕 인구감소 뉴욕주 인구 뉴욕주 엑소더스 인구 감소세

2022-12-23

고물가·생활고에 역이민 늘어난다

유가급등과 인플레이션에 주택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노숙자는 천지. 캘리포니아주에서 이런 생활고로 인해 한인들의 본국 역이민 러시가 이뤄지고 있다. 이른바 ‘캘리포니아 엑소더스(California Exodus·탈 캘리포니아)’ 현상이다.       이민 생활 38년차인 이준성(51·샌프란시스코)씨는 “아메리칸 드림을 찾기 위해 미국에 왔는데 드림은 커녕 지옥이 따로 없다. 팬데믹 기간 동안 사업 실패로 경제적으로 힘들어지면서 결국 최근에 이혼하고 혼자가 됐다”며 “특히 물가급등으로 괴롭다. 이제는 미국에서 살기가 싫다. 내년에는 한국으로 돌아갈 계획”이라고 했다. 이민 생활 37년째에 접어든 서종훈(61·세리토스)씨도 “그동안 세월 가는 줄 모르고 일만 하면서 살았다”면서 “미국이 좋은 점도 많지만 이민자로서 보이지 않게 느껴지는 한계나 설움도 있었다. 이제 애들도 다 키우고 나이도 드니까 고국이 그리워서 역이민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한국 외교통상부 이민 통계발표를 보면 한해 약 1만1000명의 한국인이 한국을 떠나고 약 4200명 미주 한인이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을 떠난 10명 중 4명 정도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특히 한인의 경우 은퇴 후 한국으로 돌아가는 현상은 연방정부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사회보장국(SSA)이 발표한 연례 통계 보고서를 보면 현재 한국에서 소셜시큐리티연금을 수령한 한인은 총 6817명(2019년 기준)이다. SSA가 한국 관련 통계를 처음 발표한 2006년(732명)과 비교하면 무려 8배 이상(약 831%) 늘었다. 2020년 이후부터는 연 7000명 이상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캘리포니아 탈출 현상은 한인들에게만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KTLA는 17일 ‘생활비가 비싸지면서 가주민들이 멕시코로 향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KTLA는 “일례로 샌디에이고에서 침실 한 개 아파트 월세가 2597달러지만 국경에서 불과 24마일 남쪽으로 떨어진 멕시코 티후아나에서는 같은 규모 침실 한 개 아파트 월세가 617달러에 불과하다”며 “많은 가주민이 이삿짐을 싸고 멕시코로 떠나고 있다”고 전했다.  원용석 기자연금 고물가 본국 역이민 이민 통계발표 캘리포니아 엑소더스

2022-08-17

IL 최고 갑부의 '엑소더스', 주지사 선거 영향은

일리노이주 선거판에 영향력을 행사해 온 주내 최고 갑부인 켄 그리핀 (53) 헤지펀드 '시타델'(Citadel)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예비선거를 목전에 두고 거주지와 사업 기반을 플로리다주로 옮긴 데 대해 구구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리핀은 최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거주지를 이전한 데 이어 지난 24일 사내 공문을 통해 1990년 시카고에 설립한 시타델 본사를 마이애미로 이전할 방침을 밝혔다.   시카고 트리뷴은 27일 "그리핀이 시카고를 떠나며 그가 공개적으로 견제해 온 민주당 소속 J.B. 프리츠커(57) 일리노이 주지사와 그리핀 사이 힘의 균형이 빠르게 달라졌다"고 보도했다.   그뿐만 아니라 그가 지원해온 일리노이 공화당의 미래, 특히 선거운동과 기금모금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핀은 "프리츠커 주지사의 무능으로 인해 일리노이주 납세자들과 기업이 막대한 해를 입고 있다"며 낙선 운동을 벌여왔고, 시카고를 떠나며 범죄 급증을 이유로 들었다.   포브스 추정 자산이 252억 달러에 달하는 그리핀은 2002년 이후 일리노이 공화당에 1억8천만 달러 이상을 지원했다. 그 가운데 70% 이상인 1억2900만 달러가 지난 4년새 내놓은 금액이고, 5천만 달러는 금년 공화당 주지사 후보 경선에 나선 일리노이 제2 도시 오로라 시의 리처드 어빈 시장에게 투입됐다.   하얏트 호텔을 소유한 부호가문 출신 프리츠커 주지사의 자산은 36억 달러로 추산된다. 프리츠커는 2018년 선거에서 개인돈 1억7천 만 달러를 선거전에 쏟아 부으며 그리핀이 지원한 공화당 소속의 현역 주지사 브루스 라우너를 꺾고 당선됐다.   만일 프리츠커 주지사가 재선에 성공한다면 그리핀에게는 참패가 되는 셈이다.   그리핀이 예비선거를 코앞에 두고 시타델 본사 이전 방침을 전격 발표한 것은 어빈의 패배가 예상되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일리노이 주지사 선거 공화당 경선에서는 일리노이 남부 출신의 대런 베일리(56) 주 상원의원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트리뷴은 프리츠커 주지사 측이 전통적 보수 성향의 베일리 의원을 상대적으로 쉽게 판단하고 그리핀의 지원을 받는 중도 성향의 어빈 시장 공격에 집중한 캠페인을 벌인 탓도 있다고 설명했다.   농장 경영주이기도 한 베일리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개지지 선언을 계기로 날개를 단 양상이다.   베일리 의원은 시카고 사업가 리처드 일레인으로부터 900만 달러 지원을 받았으나 프리츠커와 그리핀의 '쩐의 전쟁'에 끼지 못했었다.   만일 공화당 경선에서 베일리 의원이 승리한다면 일리노이 주지사 선거 판세가 어떻게 돌아가게 될 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베일리 의원이 공화당원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얻는다 해도 '민주당 텃밭' 시카고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파란색 주' 일리노이주에서 자금 열세를 딛고 최종 승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리핀은 당초 "프리츠커를 꺾을 후보를 전면 지원하겠다"고 다짐했으나 이주 발표 후 일리노이 선거판 개입 여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에서 벨기에 대사를 지낸 로널드 기드위츠는 그리핀이 거주지와 사업체 기반을 마이애미로 옮겼다고 해서 일리노이-시카고 공화당에 대한 지원을 끊을 것이라는 판단은 성급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리핀은 미 전역의 연방 의원 선거 출마자들도 지원해왔다"며 "뜻이 맞고 승산이 있는 후보라면 지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엑소더스 주지사 일리노이주 선거판 일리노이 주지사 프리츠커 주지사

2022-06-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