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중앙칼럼] 미국이 샐러드 보울인 이유

청소년기였던 80년대 후반, 부모님을 따라 미국으로 이민 왔다. 미국행은 전적으로 부모님의 선택이었기에 미국에 대한 특별한 기대는 없었다. 다만 주워들은 풍월로 미국은 ‘인종의 용광로(melting pot)’라는 정도만 알고 있었다.     미국에 와 처음 정착한 곳은 오클라호마였다. 인종의 용광로와는 거리가 약간 있는 곳이었다. 어린 나이에 처음 겪은 미국사회가 오클라호마다 보니 미국은 의례 백인이 주도하는 사회라는 관념을 갖게 됐다. 어떻게든 영어를 배워야 했고, 백인문화에 빨리 익숙해져야 살아남을 수 있었다. 덕분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미국생활에 적응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인이 되면서 더 넓은 미국이 보였다. 대학 졸업 후 댈러스(텍사스)로 이주하면서 한인들이 커뮤니티를 이루고 사는 모습을 보고 놀랐다. 오클라호마에서는 구경도 못했던 수많은 히스패닉계 사람들을 보고 놀랐다. 일부 지역에서는 영어는 몰라도 스패니시를 알아야 장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히스패닉계 사람들이 많았다. 오클라호마에서 백인들 사이에서 주눅 들어 살다가 유색인종들이 큰소리치며 사는 곳에 와보니 뭔가 해방되는 느낌이었다.   그러나 그런 느낌 뒤에 뭔가 찜찜함이 있었다. 히스패닉 밀집지역을 지나다 보면 “내가 지금 미국에 와 있는 거야, 멕시코에 와 있는 거야”하는 의문이 들었다. 한인타운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면서 미국은 어쩌면 ‘용광로’가 아니라 ‘샐러드 보울(Salad Bowl)’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양한 종류의 재료가 한 곳에 섞여 있지만, 각각의 재료가 고유의 맛을 간직하고 있는 샐러드 보울 말이다.  더 나아가 미국사회 전체가 샐러드 보울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미국의 50개 주와 워싱턴 D.C.가 한 국가를 이루지만 각각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 특성이 뚜렷하니 말이다.   미국의 50개 주를 흔히들 공화당이 주도하는 레드 스테이트(red state)와 민주당이 주도하는 블루 스테이트(blue state)로 구분한다. 레드 스테이트의 대표적인 주로 텍사스를 꼽을 수 있다. 캘리포니아는 대표적인 블루 스테이트다.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 성향으로 본다면 이 두 개의 주가 동일한 국가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다르다. 마치 남한과 북한이 다른 것처럼 말이다.   지난 2일 텍사스 공화당의 맹주라 할 수 있는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의 2025 주정연설이 방영됐다. 올해 시작되는 제89회 주의회 회기에서 공화당이 추진해줬으면 하는 7가지 긴급 과제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파격적인 이민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터라 애벗 주지사 자신이 굳이 논란이 될만한 입법 과제를 발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의 주정연설 내용은 뼛속까지 공화당이었다.   애벗 주지사의 주정연설 직후 사전 녹화된 텍사스 민주당의 반응이 방영됐다. 길베르토 히노요사 텍사스 민주당 의장은 “애벗 주지사는 트럼프나 일론 머스크 같은 억만장자들에게 알랑거리느라 먹고사는 데 여념 없는 주민들을 생각할 틈이 없다”며 “공화당이 텍사스에서 30년간 집권했지만, 주민들이 어렵게 살고 있는 게 지금의 현실”이라고 반응했다.   객관적인 데이터만 놓고 보면 텍사스 민주당의 이 같은 반박에 힘이 실리지 않는다. 텍사스 부동산중개인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캘리포니아에서 텍사스로 이주한 인구가 10만 2000명이 넘어, 그 어떤 주보다 많은 인구가 캘리포니아에서 텍사스로 유입됐다고 한다.     대표적인 블루 스테이트에 살던 사람들이 대표적인 레드 스테이트로 이주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난 30년간 텍사스 공화당의 정책이 실패였다면 불가능했을 일이다. 미국이 미국답다는 것은 바로 그런 것이다. 레드 스테이트는 더욱 붉게, 블루 스테이트는 더욱 파랗게 가는 것이, 미국을 가장 미국답게 만드는 것이다. 샐러드 보울에 섞인 재료들처럼. 토니 채 / 달라스 중앙일보 편집국장중앙칼럼 미국 샐러드 샐러드 보울 텍사스 공화당 텍사스 주지사

2025-02-13

가성비-가심비<가격대비 심리적 만족감> 만점, 모던 이자카야

겨울이면 서울 광화문 거리나 도쿄 오모테산도 어느 골목길이 생각나는 건 아마도 캘리포니아에서 느낄 수 없는 겨울 정취에 대한 향수 때문일 것이다. 보다 더 정확하게는 사케 한 잔과 꼬치구이 한 접시가 그리워지는 그런 겨울 말이다. 제법 쌀쌀해진 LA 저녁에도 그런 분위기 제대로 낼 수 있는 이자카야가 LA한인타운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오픈했다. 지난해 9월 말 문을 연 부도키는 일식을 기본으로 타이 프렌치 퀴진 테크닉이 가미된 아주 독특한 그러나 제대로 된 이자카야 메뉴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부도노키 테이블에 앉아 제대로 주문하는 방법은 일행들과 나눠 먹을 수 있는 안주와 주류를 주문하고 중간에 식사 메뉴로 안성맞춤인 오시주시(Oshizushi)도 함께 주문하는 것이다. 이 식당 메뉴 특징은 동행한 일행과 음식을 나눠 먹을 수 있게 고안돼 있는데 대부분 맛집들이 그러하듯 메뉴가 그리 많지 않고  대부분 맛있기 때문에 뭘 선택하든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일단 샐러드에서 시작해 보자. 이자카야에서 샐러드를 주문하지 않은 이들이라도 이곳에선 한 번쯤 시켜볼 만하다. 샐러드 인기 메뉴는 시저 샐러드. 마늘과 미소로 버무려진 샐러드에 눈처럼 소복히 쌓인 파마잔 치즈가 고소한 풍미를 더해주는데 인스타그램 인생 사진으로 등극할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가격은 12달러.         부도노키의 DNA를 제대로 맛보고 싶다면 네기마(Negima)를 주문해야 한다. 닭고기 부위 중 최상급으로 알려진 지도리 치킨오이스터(Jidori chicken oyster)와 일본 네기 파를 갈랑갈 소스에 버무려 꼬치에 꽂아 구운 네기마는 이곳에 왔다면 꼭 시켜야 할 메뉴. 가격은 14달러다. 또 부도노키 단골 고객들의 최애 메뉴인 포크 조울(Pork Jowl)은 삼겹살을 차코그릴에서 구워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해 술안주로 그만이다. 크라잉 타이거 소스가 뿌려져 나온다. 가격은 13달러. 또 8온즈 와규 스테이크를 차코그릴에 구운 뒤  셰프 특제 소스가 곁들여 나오는 와규 자부통(Wagyu Zabuton) 역시 머스트 해브 메뉴. 가격은 49달러다. 또 타이 소시지와 프라이드 라이스가 함께 나오는 남(Naem) 미소 버터와 차이브가 듬뿍 들어간 구운 고구마(Charred Sweet Potato) 와규와 일식 커리 요리인 커리 팬(Curry Pan) 닭날개와 뱅갈 BBQ소스가 나오는 테바사키(Tebasaki) 등도 골고루 주문해 나눠먹기 좋은 메뉴다. 이외에도 한인들에게 친숙한 와규와 불독 소스로 만든 야키소바 새우 관자 홍합 등이 들어간 해물파전도 맥주 안주로 안성맞춤이다. 가격은 18~22달러선.     그리고 반드시 주문해야 할 메뉴 중 하나는 이곳 시그니처 메뉴인 '오시주시'다. 최근 밴쿠버에서 뜨고 있는 메뉴인 오시주시는 우리가 흔히 아는 원형 스시가 아닌 사각 스시롤로 눌러진 압착 초밥 위에 사시미를 얹고 소스를 뿌려 내는 퓨전 스시다. 폰즈 소스를 얹은 알바코어(Seared Albacore) 세비체 드레싱을 얹은 옐로테일 연어 등 다양한 스시가 매일 바뀌어서 나온다. 가격은 20달러. 식사가 끝나갈 무렵엔 소프트아이스크림 주문도 잊지 말자. 코코넛 베트남 아이스커피 트위스트 등 3가지 맛이 있다. 가격은 10달러.     ▶주소: 654 Virgil Ave LA   ▶문의: (323) 928-2320 budonoki.la   사진=부도노키 제공     부도노키는     멜로즈와 버질 길 모퉁이 신축 주상복합 콘도 건물 1층에 들어선 이곳은 오픈과 동시 입소문을 타고 평일과 주말 가릴 것 없이 늘 북적이는 LA 핫플로 등극했다. 부도노키 동업 파트너 3인방은 오픈 수개월 전부터 인근 식당에서 팝업 스토어를 열어 주민들의 취향과 입맛을 제대로 공부한 뒤 작심하고 문을 열었으니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식당 문을 열고 들어가면 긴자 거리 고급 이자카야나 칵테일바에 온 듯 은은한 조명과 어두운 원목 인테리어가 따뜻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준다. 좌석은 40석 남직이다 보니 식당 내부는 늘 북적인다.     댄 레빌웡세 총괄셰프는 태국 이민자 출신으로 LA 에코파크 토박이다.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인 우라사와 부숑 하야토 등에서 셰프로 근무했다. 이후 대학 친구인 에릭 베드루시안과  조쉬 하틀리를 만나 의기투합 지금의 식당을 오픈했다. 영업시간은 매주 수~일요일 오후 5시~10시. 레시닷컴(resy.com)에서 예약할 수 있다. 이주현 객원기자가격대비 가성비 식당 메뉴 식사 메뉴 시저 샐러드

2024-01-24

두부 이야기 그랜드 오픈

 서울바베큐&핫팟의 대표이자 콜로라도 한인 요식업협회 회장인 이종욱 대표가 본인 소유의 24번째 식당을 오픈해 화제다. 바로 서울바베큐 옆에 '두부이야기' 한식당이다. 식당 이름만으로도 건강한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두부이야기'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두부를 직접 만들어 요리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종욱 대표는 깨끗하고 건강한 콩을 선별해 삶고 두부가 만들어지는 과정까지 꼼꼼히 체크하고 있다. 두부를 만드는 장소는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식당 내부 한켠에 마련되어 있다. 두부이야기는 지난주 화요일 소프트 오픈을 하면서 영업을 시작했다. 제대로 홍보할 시간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말에는 끊임없이 손님들이 찾아와 무척이나 분주했다.  이는 이종욱 대표가 오픈하는 식당마다 인기가 있는 비결과도 연관이 있다. 이 대표는 20대에 이미 서울 유명 호텔에서 주방장으로 이름을 알렸고, 도미해 LA 유명 일식당에서 치프 셰프로 일하면서 맡은 사업들을 모두 번창시켰다. 이후 본인이 직접 경영에 뛰어들어 본인만의 색깔을 가진 건강하고도 깔끔한, 고객들이 만족하는 식감과 식당 분위기를 위해 끝없이 맛보고 연구해왔다. 그래서 숟가락 한 세트에도, 김치 종지, 국 사발 한 개도 허투루 생각하지 않고 세심하게 골랐다. 실내인테리어에 대한 감각도 탁월했다. 특히 이 대표는 이번 두부이야기의 실내인테리어에 더욱 애정을 쏟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 인테리어 전문가들을 직접 데리고 와서 공사를 했을 정도였다. 지금까지의 식당과 다른 차원의 인테리어를 선보이고 싶었던 이 대표의 노력이 반영되었는데, 일단 식당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한국의 고급 한정식 집에 들어온 분위기를 확 느낄 수 있다. 건강한 나무톤과 은은한 흰색의 벽면,  세련된 조명, 고급스러우면서도 편안한 테이블, 식탁에 부착되어 있는 수저통까지, 흠잡을 데 없는 실내 인테리어가 음식 맛을 더욱 돋운다. 메인 전에 먹는 전채요리의  종류도 다양하다. 두붓집에 걸맞게 두부 샐러드, 모두부, 두부무침, 두부튀김뿐만 아니라 잡채, 만두, 떡볶이, 계란찜, 파전, 치즈돈가스 등이 있다. 메인 요리인 순두부에는 해물, 소고기, 섞어, 돼지고기, 버섯, 곱창, 김치, 부대, 만두, 라면, 야채 순두부가 있고, 순두부와 함께 나오는 콤보 정식에는  LA갈비, 불고기, 돼지불고기, 치킨 데리야키, 조기구이, 고등어구이, 매운 닭, 치즈 돈가스가 있다. 세프 특선 요리에는 갈비찜, 아귀찜, 두부김치, 마파두부, 게장, 코다리조림, 온면 등이 있으며, 황태구이, 고등어, 임연수, 조기, 가자미 구이와 같은 생선구이와 황태 굴해장국, 황태 콩나물 해장국, 고추장 두부찌개, 콩비지, 부대전골, 두부전골, 버섯전골, 곱창전골 등 수 십가지의 메뉴들이 맛있게 기댜리고 있다. 그리고 식사 후에는 맛있는 콩비지까지 덤으로 가져갈 수 있어 더욱 푸짐하다. 주소는 2060 S. Havana St., Aurora, CO 80014(서울바베큐 옆)영업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며, 식당 전화는  303-954-9372이다.       김경진 기자이야기 그랜드 이번 두부이야기 두부무침 두부튀김 두부 샐러드

2023-01-20

“한인 문화를 기념하는 날”

“오늘은 한인 커뮤니티 뿐 아니라 음식·문화·사람까지 기념하게 된 아주 멋진 날입니다.”   24일 올바니 뉴욕주의회에서 열린 뉴욕주 ‘김치의 날’(매년 11월 22일) 제정 축하 행사에서 ‘김치의 날’ 제정 결의안을 대표 발의한 론 김(민주·40선거구) 주하원의원은 이처럼 소감을 밝혔다.   주하원은 이날 본회의장에서 김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결의안(K00574)을 공표했다. 김 의원을 비롯해 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정병화 뉴욕총영사,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 김영환 뉴욕한인회 이사장, 문준호 미동부한식세계화추진위원회 회장 등이 박수갈채를 받았다.    주의회 밀리언달러 계단에선 별도 기자회견도 열렸다. 김 의원은 “어린 시절엔 고약한 냄새가 나는 김치를 부끄러워했지만 이제 주하원의장도, 주지사도 김치가 얼마나 멋지고 건강한 음식인지 알 정도”라며 “김치의 날은 음식만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한인 문화 자체를 기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세계 경제 수도인 뉴욕에서 김치의 날이 제정돼 한국 김치의 위상을 더욱 높이게 될 것”이라며 “올해도 대미 김치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작년 대미 김치 수출은 2800만 달러를 기록해 2020년 대비 22.5% 늘었다. 10년 전인 2011년(280만 달러)에 비해 10배가량 성장한 셈이다.     aT는 이날 행사 전후로 김치 홍보관을 마련해 주의원들에게 다양한 김치와 재료, 홍보자료 등을 선보였다. 별도로 개최된 리셉션에서는 백김치 샐러드, 김치 슬라이더 등 시식 행사가 열려 관심을 모았다. aT는 오는 30일까지 전국 H마트 매장에서 김치의 우수성도 함께 홍보한다.   글·사진=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문화 뉴욕한인회장 김영환 한인 문화 백김치 샐러드

2022-05-24

계란값 급등에 관련 제품도 줄줄이 가격 인상

조류독감(Bird Flu)탓에 계란은 물론 계란을 이용한 샐러드 드레싱, 케이크, 쿠키 등의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지난 2일 발표된 연방 농무부(USDA) 계란 시장조사에서 4월 기준 12개들이 계란 전국 평균 가격은 지난 1월 71센트에서 2.40달러로 인상됐다.   흔히 ‘조류독감’이라고 불리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는 지난 2월 8일 인디애나 주 뒤부아 카운티의 상업용 칠면조 사육 시설에서 처음 확인된 이후 점점 전국으로 퍼지면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5일 CBS 뉴스에 따르면 조류독감이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32개주 280개  가금농장에서 조류를 살처분했다.  특히 전체 가금류 9%에 달하는 2800만리의 암닭이 살처분됐다.   조류독감이 발생한 지역은 전국 계란 생산의 4분의 3을 차지한다.   한 관계자는 “지난 3일 빵집과 식당에 판매되는 브레이커 달걀은 파운드 당 2.58달러에 팔렸다. 이는 조류독감이 퍼지고 한달 후인 3월초에 비해 86센트나 오른 가격이다”라며 “작년에는 한 파운드에 49센트에 팔렸다”고 덧붙였다.     가공된 계란을 사용하는 식료품 가격도 오르고 있다.   액상·분말 형태의 계란을 사용하는 샐러드 드레싱, 케익믹스, 칩(과자)도 가격 조정을 앞두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애널리스트 알렉산더 린은 식료품 인플레이션이 올해는 9%,  2023년에는 4% 더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지난달 28일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조류독감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위험은 낮다고 보고했다. CDC는 안전을 위해 계란·닭고기 요리시 165˚F 이상 온도에서 조리할 것을 권고한다. 김수연 기자계란값 급등 계란값 급등 가격 인상 샐러드 드레싱

2022-05-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