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스마트폰 먹통 후 은행 계좌서 수만불 증발

#. 가주에 거주하는 저스틴 찬 씨는 스마트폰이 갑자기 먹통이 돼 이동통신사(이통사)에 연락했다. 고객 서비스센터는 찬씨  스마트폰이 다른 기기로 변경됐다고 답변했다. 찬씨는 변경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그의 소셜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스마트폰이 바뀌었다는 설명만 들었다. 황당해진 찬씨는 그의 전화번호를 탈취당한 것으로 알았지만 문제는 더 컸다. 돈이 필요해 은행에 가서 돈을 인출하려 했더니 계좌에 남은 돈이 없었다.   그는 신종 사기인 eSIM(이심) 스와핑에 당해 약 3만8000달러나 잃었다. 은행에 문의하니 그가 은행의 모바일앱으로 돈을 다른 계좌로 송금했다고 한다. 그는 최근 사기 피해를 당했다고 항변했지만 은행 측은 송금 시 이중확인 절차로 그의 스마트폰으로 문자를 보냈고 찬씨가 승인했기 때문에 보상이 어렵다고 전했다.     ‘eSIM(내장형 SIM 카드) 스와핑’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서 한인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심(eSIM) 스와핑은 최근 스마트폰 기술과 이심을 악용한 신종 사기다. 디지털 특성을 이용해 더욱 은밀하고 신속하게 스마트폰 사용자의 모바일 네트워크와 전화번호를 사기범이 탈취한다. 특히 상당수의 사용자가 모바일 은행 앱을 사용하고 있어서 피해 금액이 수만 달러에 달한다. 이중인증 역시 피해자의 전화번호를 탈취했기 때문에 문자를 통해 간단하게 무력화할 수 있다. 그래서 피해자가 고스란히 피해를 뒤집어 쓸 수밖에 없다는 게 이심 스와핑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     추가 신분 확인 절차 등 요청해야   최근 한 한인은행 관계자는 “이심 스와핑 수법에 당해서 수만 달러의 돈을 잃은 고객이 있다”며 “은행도 새로운 사기 수법이라 경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연방수사국(FBI)의 인터넷 범죄 신고 센터(IC3)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전국적으로 1075건의 이심 포함 심(SIM) 스와핑 사건이 접수됐으며, 피해 금액은 약 4880만 달러에 달했다. 지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심 스와핑 사기는 400% 이상 급증했으며, 이로 인한 피해액이 6800만 달러를 초과했다. 사이버보안 인프라 보안국(CISA)은 이심 스와핑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사 계정에 추가 비밀번호(PIN)를 설정하고, 다중 인증장치(MFA)를 활성화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CISA는 “통신사 계정에 PIN을 설정하면 해커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기 변경 시 추가 신분확인 절차를 요청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주요 이동통신사 역시 이심 스와핑 사기가 많아지면서 고객 보호 대책도 내놓고 있다.     T모빌은 ‘심 보호(SIM Protection)’를 통해 사용자 계정에서 심 카드 변경을 차단해 사용자의 번호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버라이즌도 유사한 보호 서비스가 있으며, 계정의 모든 전화번호에 대한 심 변경을 제한하는 추가 보안 서비스도 제공한다. AT&T는 고객 계정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고유한 PIN 설정을 권장하고 있다. 이 PIN은 계정 보호를 위한 추가 인증 단계로, 고객이 계정 변경이나 번호 이전을 요청할 경우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심은 물리적인 심카드 없이도 번호 이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특징이 사기범들의 먹잇감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심 스와핑 피해를 봤을 경우, 즉시 통신사와 은행에 신고해야 한다. 신용 모니터링 서비스도 신청하고 비밀번호를 모두 교체하라고 전문가는 조언했다. 강한길 기자 [email protected]스와핑 기승 이심 스와핑 스와핑 사건 추가 비밀번호

2025-01-26

IL 복지국 해킹 피해 개인정보 대거 유출

일리노이 주 복지국(IDHS)이 해킹 피해를 입어 100만명이 넘는 주민들의 개인 신상 정보가 유출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리노이 주 복지국은 지난 4월 25일 직원들에게 보내진 이메일을 통해 외부 단체에 의해 악성 코드가 심어졌으며 이로 인해 복지국 데이터에 해커가 접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해커가 접근한 데이터에는 무려 110만명에 달하는 일리노이 주민들의 주요 정보가 포함됐다. 정보 중에는 주민 4701명과 복지국 직원 3명의 소셜시큐리티 번호(Social Security Number•SSN)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복지국의 다양한 혜택을 받고 있는 주민 110만명의 정보 역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커가 접근했던 정보 중에는 이름과 어카운트 번호, 주소와 생년월일, 휴대전화 번호 등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일리노이 교육청의 학생 정보 시스템 아이디와 수혜자 아이디 넘버 등도 해커들의 손으로 넘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정보들이 유출됐을 경우 마음만 먹으면 쉽게 신용카드를 만들거나 은행 대출 까지도 받을 수 있어 심각한 신용 피해가 우려된다.     일리노이 주 복지국은 유관 기관인 일리노이 혁신기술부와 협력해 이번 해킹으로 누가 피해를 입었으며 그 정도는 어느 수준인지 등을 파악하고 있다. 자신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주민들에게는 복지국이 우편을 통해 고지를 하게 된다.   또 연락할 수 있는 주소가 없는 1783명은 DHS 웹사이트 및 언론 보도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일리노이 주 복지국은 앞으로 정보유출 사건을 막기 위해 직원들에 대한 피싱(phishing) 방지 교육과 신고 방법 등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Nathan Park•Kevin Rho 기자개인정보 복지국 복지국 데이터 복지국 직원 정보유출 사건

2024-12-23

기부된 장난감 수백 개 도난… 지역사회가 다시 채워

LA 도둑들이 롱비치의 “후드 산타(Hood Santa)”로 알려진 남성과 그의 연례 장난감 나눔 행사로 혜택을 받는 수많은 소외계층 아이들의 따뜻한 마음까지 훔칠 수는 없었다. 지난 토요일 밤, LA 다운타운 벨라스코 극장(Belasco Theater)에서 음악 축제가 열렸으며, 참석자들은 20달러 이상의 장난감을 기부해야 입장할 수 있었다.   기부된 장난감들은 극장 앞에 주차된 대형 유홀(U-Haul) 트럭에 보관되었다. 그러나 그날 밤, 도둑들이 이를 노렸다. “트럭을 지키던 사람이 커피를 사러 간 사이, 트럭이 털린 것을 발견했습니다,”라고 “후드 산타”로 알려진 티토 로드리게스(Tito Rodriguez)는 말했다. “그들은 트럭을 훔치려고 했지만 실패했고, 대신 롤업 도어 뒤쪽을 쇠절단기로 잘라 열고 장난감들을 가져갔습니다. 절반 정도의 장난감이 도난당했어요.” 로드리게스는 경찰에 신고했지만, 도난당한 장난감들이 돌아올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느껴 연례 장난감 나눔 행사가 위기에 처할 것을 걱정했다.   하지만 지역사회가 나섰다.   로드리게스가 소셜미디어에 도난 사건을 게시한 후, 장난감과 금전 기부가 몰려들기 시작하며 트럭이 다시 채워졌다. 장난감들은 오는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롱비치 맥아더 파크(MacArthur Park)에서 아이들에게 배포될 예정이다.   *이 기사는 속보용 AI 생성 기사입니다 지역사회 장난감 연례 장난감 금전 기부 도난 사건

2024-12-18

뉴욕시 한인밀집지역 빈집털이 증가

뉴욕시 한인 밀집지역에서 발생한 빈집털이 사건이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경(NYPD)이 최근 발표한 범죄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4일부터 이달 1일까지 한인 밀집지역인 109경찰서 관할구역(플러싱·칼리지포인트·화이트스톤 등)에서 28일간 발생한 빈집털이 사건은 55건으로 전년 동기(48건) 대비 14.6% 늘었다. 강간 사건은 지난해 같은 기간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올해 11월에는 6건 발생하며 크게 증가했다.     이를 제외한 주요 범죄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 사건은 29건에서 21건으로 27.6% 감소했으며, ▶차량 절도는 10.8%(37건에서 33건) ▶중폭행 사건은 8.8%(34건에서 31건) ▶중절도 사건은 7.7%(91건에서 84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11월에도 해당 구역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은 없었다.     109경찰서 관할구역의 전체 주요 범죄 건수는 전년 동기 239건에서 올해 230건으로 3.8% 줄었다.     지난 28일 동안 퀸즈 북부 전체 주요 범죄 건수 역시 작년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북부 퀸즈의 주요 범죄 건수는 지난해 1253건에서 올해 1129건으로 9.9% 감소했다.     항목별로 보면, ▶살인이 50%(2건에서 1건) ▶강도 사건이 7.4%(148건에서 137건) ▶빈집털이가 4%(173건에서 166건) ▶중절도 사건이 18%(499건에서 409건) ▶차량 절도가 12.3%(204건에서 179건) 줄어드는 등 대부분의 주요 범죄 건수가 감소했다. 반면 강간 사건은 전년 대비 28.6%(14건에서 18건), 중폭행 사건은 2.8%(213건에서 219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11월 뉴욕시 전체 주요 범죄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5.7%(1만235건에서 9647건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철 시스템에서 발생한 범죄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8%(240건에서 202건) 줄었으며, 총격 사건은 올해 현재까지 전년 대비 6.8%(902건에서 841건) 감소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한인밀집지역 빈집털이 빈집털이 사건 범죄 건수 뉴욕시 한인

2024-12-04

글렌데일서 칼부림 사건으로 3명 부상…난폭운전 연루 가능성

17일 밤 글렌데일 지역에서 칼부림 사건이 발생해 세 명이 다쳤다. 경찰은 이번 사건이 난폭 운전, 혹은 보복 운전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사건은 오후 7시 44분 드라이덴 스트리트와 산 라파엘 애비뉴 지역에서 일어났다. 수사당국은 칼에 찔리는 사건이 발생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 경미한 자상을 입은 세 명을 발견했다.     경찰은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라며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용의자는 현장에서 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이 발생한 얼마 후인 오후 8시 3분쯤에는 100 윈저 로드 지역에서 또 한 차례의 칼부림 사건이 신고됐다. 두 사건 현장은 차로 약 10분 거리다.    경찰은 무언가에 취해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한 남성이 다른 사람들 주변에서 서성거리다 논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 무리의 일행은 용의자에게 다른 곳으로 가 달라고 요구했으나 용의자는 이를 거부하고 한 사람을 찌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용의자가 현재 체포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 사건의 피해자는 경미한 상처를 입었으나 구급차로 이송되는 것은 반대했다고 한다.   온라인 뉴스팀난폭운전 칼부림 난폭운전 연루 칼부림 사건 보복 운전과

2024-11-18

“침묵하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가정폭력 사건 담당 판사와 생존자들이 피해 사실을 숨기고 침묵하면 더 비극적인 화를 당하게 된다면서 피해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신고하고 도움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다음은 달라스-포트워스 abc 뉴스가 지난 9일 보도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탈출은 쉽지 않다. 가정 폭력 생존자인 안드리아 론자는 “전 남자친구는 창문 블라인드, 막대기, 판자 등 손에 잡히는 모든 것으로 폭행을 했다. 그는 처음에는 자제력이 있었다. 그러나 점점 더 심해졌다. 나는 그에게서 떠나려고 여러번 시도했지만 그의 강압에 통제돼 용기를 내기가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달라스 카운티 형사 법원의 셰키타 켈리 판사는 “일반적으로 가정 폭력 피해자들은 최소한 7번 이상의 시도 끝에 가해자로부터 최종적으로 떠나게 된다고 한다. 우리가 가정폭력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고 남의 일로 치부해 관여하지 않으면 결국 가정 폭력 가해자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꼴이 된다”고 강조했다. 달라스 카운티내 2곳의 가정 폭력 전문 법원 중 1곳을 주재하는 켈리 판사는 가정폭력을 목격하고도 침묵한 경험이 있다. “내가 대학에 다니던 시절, 이웃에 사는 한 여성이 갑자기 현관문을 두드려 나갔더니 두 아이를 집안으로 밀쳐 들여보낸 후 도망을 갔다. 검은 색 눈을 가진 그 여성은 약 2시간 후에 우리 집을 다시 찾아 딸들을 데려갔다. 당시에 나는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   켈리 판사는 “나중에 같은 남성이 또 다른 여성을 학대하는 현장을 목격한 후에는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과 함께 현장을 찾았을 때, 피해 여성은 의자에 묶여 있었고 가해 남성은 어린 아들이 보고 있는데도 폭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정말 가슴이 아팠다. 오래전인 1996년의 일이었지만 여전히 선명하게 기억한다. 나는 아직도 여전히 그 피해 여성이 안전하길 희망한다”고 회상했다. 그 사건의 영향으로 켈리 판사는 가정폭력 사건 전담 판사가 됐다. 그녀는 1년에 2,000건 이상의 가정 폭력 사례를 목격한다. 켈리 판사는 “피해 여성들을 가해자로부터 떠나게 하는 것은 우리가 할 일이 아니다. 그들이 폭력으로부터 벗어나기로 결심했을 때 그들을 돕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라면서, “탈출을 위한 암호어나 안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피해자들은 가해자에 대해 어떤 판단을 할 필요가 없다. 기해자는 이미 피해자를 중요한 존재로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안드리아 론자도 안나의 집 쉼터(Anna’s House Shelter) 설립자인 에바 마일스를 만나기 전까지 13년 동안 가해자로부터 수없이 가치가 없는 존재라는 말을 들어왔다. 마일스는 “늦은 밤에 피해자로부터 긴급한 상황이라는 전화가 오면 잠시라도 머무를 수 있는 호텔 방을 제공한다. 그 후 론자와 같은 처지를 겪은 생존자와 연결해주는 등 다양한 도움을 준다”고 전했다. 론자는 “나는 많은 불행한 일을 겪었지만 여전히 웃을 수 있다. 더 이상 구속되지 않고 마침내 자유로워졌기 때문이다. 나는 너무 오랫동안 거꾸로 가고 있었고 주변 사람들의 대다수도 내 편이 돼주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는 내가 내 인생을 만들어 나갈 시점이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고마울 뿐이다. 새로운 인생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켈리 판사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급증했던 가정 폭력 사건 중 아직도 진행중인 케이스가 적지 않다. 또한 매년 연말연시에는 가정폭력 사건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침묵은 죽음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목소리를 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손혜성 기자침묵 가정폭력 가정폭력 문제 가정폭력 사건 켈리 판사

2024-11-13

[사건 최전선의 한인들] 정보 수집~기소까지 전방위 업무 수행

미국에 연방수사국(FBI)이 있다면, 캐나다에는 왕립기마경찰대(RCMP·Royal Canadian Mounted Police)가 있다. RCMP는 행정경찰과 사법경찰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캐나다 공안부 산하 연방경찰이다. 지난 1873년 창설 이래 지금까지 캐나다 전국을 누비며 치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RCMP에는 한인 경관이 여럿 있다. 그중에는 조나단 고 경감(Superintendent)도 있다. 고 경감은 토론토 지부에서 근무하며 약 300명의 RCMP 인력을 지휘·감독하는 RCMP 고위급 인사다.     고 경감은 현재 합동 작전 업무를 맡고 있다. 캐나다 전체가 RCMP 관할권인 만큼 지역 경찰을 비롯해 캐나다철도경찰대, 캐나다군 헌병대 등 다양한 수사 기관과의 공조가 필수다. 고 경감은 현재 합동 작전을 통해 대규모 조직범죄를 수사 중이다. 이 때문에 그는 사진 촬영도 거부했다. 고 경감은 현재 수사 중인 내용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피했다. 대신 그는 대규모 조직범죄에 마약 밀매, 자금 세탁, 주가 조작 등이 주로 있다고 언급했다.     고 경감은 RCMP를 ‘올라운드 플레이어(All-Round Player)’라고 말한다. 그는 RCMP가 범죄 정보 수집부터 기소까지 모두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즉, 법 집행 과정의 상당 부분을 RCMP가 장식하는 것이다.     또 고 경감은 RCMP 경관들을 ‘제너럴리스트(Generalist)’라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에는 범죄 유형별 전문가(Specialist)가 많지만, RCMP 경관 대부분이 여러 역할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라고 말했다. 이에 RCMP는 하나의 거대한 자원 풀을 운용하며 인력을 수요에 맞춰 배치하기도 한다.     연방경찰 조직인 RCMP는 인신매매, 마약, 테러 등 국내외 악영향을 미치는 범죄에 주로 대응하지만, 때로는 지역 경찰의 역할도 수행한다. 고 경감은 “자치 경찰이 없는 지역의 치안 공백을 RCMP가 채워준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RCMP가 일부 주 정부나 시 정부와 협약을 맺고 순찰, 범죄 예방, 범죄 수사, 기소 등 업무를 수행한다”고 덧붙였다. 고 경감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알버타주에서 현재 RCMP가 주 경찰로 활동 중이라고도 설명했다.     한편, 고 경감에 따르면 3만여명의 RCMP 직원 중 한인은 약 80~1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준 기자사건 최전선의 한인들 전방위 수행 대규모 조직범죄 범죄 정보 캐나다 공안부

2024-11-12

한인타운 여성 살해 용의자 자수

한인타운과 미드윌셔에서 발생한 두 건의 총격 사건으로 두 명이 사망하고 한 남성이 체포됐다.   LA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29일 한인타운 베렌도 스트리트와 8가 인근에서 오후 10시 30분쯤 총격 사건이 신고됐다. 경찰은 파란색 세단 차량의 조수석에서 여러 차례 총에 맞고 사망한 38세 여성을 발견했다. 여성의 신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같은 날 오후 4시 30분쯤 발생한 총격 사건은  미드윌셔의 사우스 빅토리아 애비뉴와 웨스트 9가 인근에서 발생했다. 경찰에 따르면, 용의자는 피해자 43세 남성을 먼저 차로 치고, 이후 총으로 여러 차례 쏘고 도주했다.   경찰이 두 사건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던 중, 마빈 마가나(50)가 사우스LA 지역의 77번가 경찰서에 자수했다. 마가나는 한인타운서 여성을 살해했다며 자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차로 친 후 총격을 가해 40대 남성을 살해한 범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경찰은 두 건의 총격 사건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밝혔다. 두 사건의 현장은 약 2마일 떨어져 있다.   마가나는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300만 달러의 보석금으로 구금 중이다.   사건에 대한 정보가 있는 사람은 LA 경찰서에 전화(213-382-9470)로 연락할 수 있다. 정윤재 기자 [email protected]한인타운 미스터리 한인타운 총격 총격 사건 30분쯤 총격

2024-10-30

한인 밀집지역 빈집털이 사건 감소

뉴욕시 한인 밀집 지역에서 발생한 빈집털이 사건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경(NYPD)의 최근 범죄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7일까지 한인 밀집 지역인 109경찰서 관할구역(플러싱·칼리지포인트·화이트스톤 등)에서 28일간 발생한 빈집털이 사건은 27건으로 전년 동기(48건) 대비 43.8% 줄었다.     강도 사건 역시 22건에서 15건으로 31.9% 감소했으며, ▶차량 절도는 27%(63건에서 46건) ▶중폭행은 18.8%(32건에서 26건) ▶중절도는 15.9%(107건에서 90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에 이어 해당 구역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은 없었고, 강간 사건은 1건 발생하며 전년 동기와 같은 건수를 기록했다.     109경찰서 관할구역의 전체 주요 범죄 건수는 전년 동기 273건에서 올해 205건으로 24.9% 줄었다.     지난 28일 동안 퀸즈 북부 전체 주요 범죄 건수 역시 작년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북부 퀸즈의 주요 범죄 건수는 지난해 1441건에서 올해 1238건으로 14.1% 감소했다.     항목별로 보면, ▶살인이 66.7%(3건에서 1건) ▶차량 절도가 27.8%(277건에서 200건) ▶빈집털이가 18.9%(159건에서 129건) ▶중절도가 13.4%(560건에서 485건) ▶강도는 9.5%(179건에서 162건) 줄어드는 등 대부분의 주요 범죄 건수가 감소했다. 반면 강간 사건만 18건에서 19건으로 전년 대비 5.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지난 28일간 뉴욕시 전체 주요 범죄 건수는 전년 동기 9964건에서 올해 9428건으로 5.4% 감소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밀집지역 빈집털이 한인 밀집지역 빈집털이 사건 사건 감소

2024-10-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