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골든글로브 시상식 ‘비영어권 작품 약진’

올해 골든 글로브 시상식은 ‘비영어권 작품의 약진’으로 축약된다.     본지는 한인 언론으로서 유일하게 지난 5일 열린 ‘제82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 참석, 현장 분위기를 취재했다.   이번 시상식에서 ‘오징어 게임 시즌2’는 수상에 실패했지만, 비영어권 작품들이 9개 부문에서 수상하며 전 세계 영화계의 주목을 받았다.   드라마 시리즈 ‘쇼군’은 후보에 오른 4개 부문에서 모두 수상하며 4관왕에 올랐다. 이 작품은 TV 드라마 시리즈 작품상, 안나 사와이의 여우주연상, 히로유키 사나다의 남우주연상, 아사노 타다노부의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전체 대사의 70% 이상이 일본어로 구성된 ‘쇼군’은 언어 장벽을 넘어선 사례로 평가된다. 히로유키 사나다는 “이 상이 언어와 문화를 넘어 전 세계 창작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스페인어로 제작된 뮤지컬 코미디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는 10개 부문에 후보로 올라 4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이 작품은 뮤지컬·코미디 부문 작품상, 비영어 영화상, 조 살다나의 여우조연상, 오리지널 송 ‘엘 말(El Mal)’로 주제가상을 받았다.   브라질 배우 페르난다 토레스는 포르투갈어로 제작된 ‘아임 스틸 히어(I’m Still Here)’로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브라질 배우가 이 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브라질 배우가 이 부문에 후보로 오른 것은 25년 전 토레스의 어머니 페르난다 몬테네그로가 처음이었다. 토레스는 “이 상을 어머니에게 바친다”며 “포르투갈어를 사용하는 배우가 상을 받은 것은 영화계가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상이 브라질에게 큰 기쁨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시상식의 하이라이트는 45년간의 연기 경력 동안 처음 골든 글로브 트로피를 거머쥔 데미 무어였다. 그는 영화‘더 서브스턴스(The Substance)’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무어는 수상 소감에서 “약 30년 전 한 영화 제작자가 나를 ‘팝콘 여배우’라고 불렀다”며 “흥행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연기로는 인정받지 못하는 배우라는 그 말이 오랫동안 나를 갉아먹어 몇 년 전에는 모든 것이 끝난 줄 알았다”고 털어놨다. 이어 “그때 ‘더 서브스턴스’ 대본을 만나 우주가 ‘아직 끝이 아니다’라고 말해주는 것 같았다”고 회고했다. 마지막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느껴질 때 줄자를 내려놓으면 이미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전하며 감동을 더했다.  베벌리힐스=정윤재 기자비영어권 글로브 비영어권 작품 드라마 부문 가운데 비영어권

2025-01-06

[K-문학] ‘제 2의 한강’ 나올까…차세대 한인 작가들 주목

2024년은 한국 문학이 진정 세계 무대에서 우뚝 서게 됐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는 한 해였다.     작가 한강은 지난해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아시아 여성 작가 중에서도 첫 노벨문학상 수상이라는 쾌거를 이뤄냈다.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 등의 작품으로 이름을 알린 한강은 “우리를 서로 연결해주는 언어, 이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품게 된다”는 소감을 내놨다. 그는 “문학을 읽고 쓰는 작업은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는 철학적 메시지도 전달했다.     엘렌 맛손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은 시상식에서, “한강의 세계에서 사람들은 상처받고, 깨지기 쉬우며, 어떤 면에서는 약하지만 그런데도 한 걸음을 내디디고, 또 다른 질문을 던진다”고 평가했다. “한강의 작품에서는 흰색과 빨간색이 만난다. 한강의 글은 매혹적으로 부드럽지만 형언할 수 없는 잔혹함과 회복될 수 없는 상실을 이야기한다”는 것이었다.     앞서 한강은 2016년 '채식주의자'로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받기도 했다. 이는 비영어권 문학 중 최고의 작품에 수여되며 영어 번역본도 포함돼 전 세계 독자들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는 상이다.      이런 쾌거는 한국 작가들의 영어 번역본 출간이 활발해진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학번역원 통계에 따르면 해외에서 출간된 한국 문학 작품 수가 2011년 54개에서 2021년에는 186건으로 10년 사이 세 배 넘게 증가했다.     번역되는 언어의 수도 늘었다. 2011년에는 15개 언어로 번역 출간됐으나, 2021년에는 29개 언어로 번역돼 소개됐다. 번역된 언어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사용자가 많은 언어만이 아니라 그리스어, 루마니아어, 보스니아어, 우크라이나어, 크로아티아어 등으로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문학번역원에 따르면 최근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한국 문학 작품은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이었다. 2016년부터 2020년 사이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개 언어권에서 30만부 이상 판매됐다. 특히 일본에서는 2018년 출간 이후 20만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13개 언어권에서 16만부 이상 판매됐고 손원평의 '아몬드'는 일본에서 9만부 이상, 정유정의 '종의 기원'은 브라질에서 2만부 이상 판매됐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인 작가들의 활약상도 눈에 띈다. 한인 아버지를 둔 소설가 수전 최(한국명 최인자)는 작품 '트러스트 엑서사이즈(Trust Exercise)'로 2019년도 전미도서상(National Book Award) 소설 부문 상을 받았다. 전미도서상은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도서 상으로 꼽힌다.      드라마로 제작돼 미국은 물론, 전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이끌었던 '파친코'의 작가 이민진도 2017년 전미도서상 최종 후보에 오른 바 있다. 이민진 작가는 올해 10월 스캇 앤 젤다 피츠제럴드 뮤지엄이 시상하는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인 작가인 캐시 박 홍은 2020년 '마이너 필링스(Minor Feelings)'라는 소설로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한인 작가가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96년 무렵으로 되돌아간다. 현재 스탠퍼드대 교수인 이창래 작가는 이민자 가정에서 자란 내용을 담은 '네이티브 스피커(Native Speaker)'라는 작품으로 헤밍웨이 재단상을 받았다. 2011년에는 6·25 한국전쟁의 참혹성을 그린 '생존자(The Surrendered)'로 퓰리처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홍영옥 미주 한국소설가협회 회장은 “한국 문학의 위상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몸소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에는 협회에 노년 작가들이 대다수였지만 최근 들어 (영어에 더 익숙한) 1.5세 등 젊은 한인들의 관심이 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디아스포라라는 특수성을 가진 우리는 더 다양한 문학 소재를 갖고 있다”며 “한국 등에서 권위 있는 문학상을 받는 한인 작가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재미수필문학가협회 이현숙 회장은 “K-팝을 비롯한 K-컨텐트에 대한 관심으로 젊은 세대가 한국 문학에도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됐다”며 “한강의 노벨상 수상은 한인 1.5세와 2세 작가들에게도 많은 용기를 줬다”고 말했다.     그는 “한인 작가 김주혜(37)가 장편소설 '작은 땅의 야수들'로 올해 10월 러시아 톨스토이 문학상 해외문학상을 받기도 했다”며 “한국 문학이 세계로 뻗어 나가고 있는 것이 실감 난다”고 덧붙였다.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아직 번역의 질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모니카 류 한국어진흥재단 이사장은 “결국 얼마나 더 많은 번역 도서가 출판되는지가 중요하다”며 “이는 타인종에 대한 한국어 교육 역량 확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고무적인 통계가 있다. 미국현대언어협회(MLA)는 2023년에 발표한 ‘2021년 대학 이상 고등교육기관 외국어 수업 수강 현황’이라는 보고서에서 “2016년부터 2021년 사이 외국어 수강생 비율은 16.6% 감소했다”며 “조사 대상인 15개 언어 중 수강생이 증가한 것은 한국어(38.3%), 히브리어(9.1%), 미국식 수화(0.8%)뿐이었다”고 밝혔다.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학생은 2016년 1만3936명에서 2021년 1만9270명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중국어는 약 14.3% 감소한 4만6492명, 일본어는 4.6% 줄어든 6만5661명으로 조사됐다. 2021년 통계에는 총 2455곳의 대학이 참여했다.     류 이사장은 “1만 명 대에서의 변화와 5만 명이 넘는 표본을 단순 퍼센트로만 비교해서는 안 되지만 한국어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류 이사장은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번역 작품도 더 나오는 것은 물론 타인종 독자가 한국어로 한국 문학을 접하는 시대가 오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영남 기자K-문학 미국 차세대 노벨문학상 심사위원 한국 문학 비영어권 문학

2024-12-31

이민자 위한 영어습득 책 발간…이용식 아이오와대 명예교수

이민생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들라면 역시 '영어'다. 비영어권으로 중요한 협상이나 논쟁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상대방의 의사를 깊이 이해하고 대화로 기선을 잡기란 여간 쉽지 않다. 그동안 비영어권의 영어 습득에 관한 책을 써왔던 이용식 교수(아이오와 주립대 명예교수·사진)가 최근 그 같은 애로점을 극복하자는 차원에서 'Achieving True Fluency in English'를 출간했다. 이 교수에게 책을 쓴 동기와 내용을 물었다.   -책을 쓰게된 동기는.   "비영어권 이민자들은 언어적 표현의 유래나 문화적 배경을 모르기 때문에 원어민들이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비유적인 표현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내 자신이 비영어권으로 학창시절과 교수생활 내내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었고 마침내 터득하고 활용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은퇴 후 영어의 비유적인 표현들을 좀 더 깊이 연구하고 정리할 필요를 느껴왔는데 마침내 그러한 바램을 현실화한 것이다."   -책은 주요 내용은.   "비유적인 언어 표현(figure of speech)들에는 메타포어(metaphors) 구어(nonliteral phrasal verb) 과장어 (hyperbole) 통속적인 표현 (colloquial) 이디엄(idioms) 등이 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의미를 전달하기에 오히려 그 효과가 크지만 대체로 문자 그대로의  의미가 아니라서 별도로 습득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는 표현들이다. 이 책에서는 신문이나 방송 토론 등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비유적인 언어 표현 250여 개를 담았다."   -이 책은 누구에게 가장 필요한 책인가.   "비영어권 이민자로서 주류사회 속에서 리더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움직이는' 영어 구사능력을 길러야 한다. 영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문화에 뿌리를 둔 언어 표현들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소통 능력이 결여되면 진지한 인간관계 형성 부터 조직에서 리더십 요직으로 진출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또 비즈니스 협상이나 외교무대에서 중요한 기회를 놓치고 말 가능성도 있다. 바라건대 회사나 전문가로 조직의 리더가 되기 원하는 사람 교수 유학생 사업가 외교가는 물론 이민 가정에서 자라고 있는 자녀들이 반드시 읽어보길 바란다."   서정원 기자아이오와대 영어습득 비영어권 이민자들 이용식 아이오와대 비유적인 표현들

2024-09-12

비영어권 시민, 뉴욕시 서비스 이용 어렵다

#. 뉴욕시 빌딩국(DOB) 퀸즈보로오피스. 건물주나 주택 소유주가 개조 작업을 할 때 라이선스를 받아야 하는 중요한 곳이지만, 이곳은 영어 이외의 언어 서비스는 전혀 제공되지 않았다. 번역된 문서도, 통역 서비스도 없어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뉴요커는 이 오피스에서 서비스를 받기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 맨해튼과 퀸즈에 자리잡고 있는 뉴욕시 스몰비즈니스서비스국(SBS) 비즈니스솔루션센터와 커리어센터. 이곳은 언어접근성이 비교적 좋은 곳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 센터에서 제공하는 다른 언어는 대부분 스페인어였다. 다른 언어로 설명을 듣거나 서비스를 받으려면 통역 서비스를 별도로 요청해 기다려야 한다.   뉴욕시정부 기관들 중 시민들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들의 언어접근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지역매체 더 시티(The City)가 뉴욕시장실 산하 이민서비스국(MOIA)이 공개한 데이터를 분석해 보도한 데 따르면, 지난해 시정부 기관 서비스센터의 절반 이상이 뉴욕시 조례 30호(Local Law 30)를 위반했다. 조례 30호는 시정부 기관이 한국어를 포함해 뉴욕시에서 자주 사용되는 10개 언어로 문서를 제공하고, 시민들에게 통역을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뉴욕시는 미스터리 쇼퍼를 활용, 뉴욕시 전역의 서비스 센터 148곳의 언어 접근성을 비밀 평가해 결과를 공개했다.     공개된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조사한 서비스 센터 중 40%에선 영어 외 문서를 전혀 찾을 수 없었다. 미스터리 쇼퍼들이 직접 접촉한 결과, 조사 대상 서비스센터 중 4분의 1은 통역 서비스가 없었다. 결국 이들은 스마트폰 번역 앱 등을 사용했는데, 번역의 질이 매우 떨어지는 경험을 했다는 평가다.   일부 서비스센터는 영어나 중국어 문서를 제공하고는 있었지만, 한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거의 없었다. 뉴욕시 기업윤리위원회(BIC) 라이선스유닛, 시 소방국(FDNY) 공공기록센터, 시 인적자원관리국(HRA) 비즈니스링크, 시 행정심판청문사무국(OATH) 등 네 곳에서만 한국어 문서를 제공하고 있었다. 오히려 한인들에게 중요한 성인 대상 보건센터나 시 교통국(DOT) 인스펙션담당 부서, 메디케이드 오피스 등에서는 다른 언어서비스 제공이 부실했다.     문제는 낮은 언어접근성에 대한 지적은 수차례 있었지만, 이에 대한 후속 조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민서비스국 역시 조사 권한은 있지만, 후속 조치를 할 권한은 갖고 있지 않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중국 비영어권 뉴욕시 스몰비즈니스서비스국 일부 서비스센터 언어 서비스

2024-06-20

비영어권 유권자 위한 통역 서비스

 영어 구사에 어려움을 겪는 비영어권 유권자들을 위한 통역 서비스 장치가 제공될 예정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덴버 CBS 뉴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비영어권 유권자들의 투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포켓톡(Pocketalk) 및 주총무처(Colorado Department of State)와 협력하고 있는 덴버시 선거관리국(Denver Elections Division/DED)은 오는 6월 주 예비선거를 앞두고 휴대용 음성 번역 장치(handheld voice translation devices)를 덴버 전역의 12개 유권자 서비스 및 투표소 직원들에게 배포할 예정이다. 최대 84개 언어를 지원하며 실시간 대화, 텍스트, 문자 및 기호를 번역하는 이 장치는 선거 관리 직원과 유권자간의 정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돕게 된다. DED의 토드 데이비슨 국장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 3개 기관의 파트너십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많은 유권자들이 자신감을 갖고 편안하게 투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는 주총무처 장관실이 이러한 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우리와 공유하여 유권자의 형평성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발전시킨 것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폴 로페즈 덴버 시 서기관(Clerk)은 “자격을 갖춘 유권자가 투표 권리를 행사하는데 언어가 장벽이 돼서는 안된다. 투표소 직원들이 이 장치를 이용해 비영어권 유권자들과 언제든지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이는 공정하고 접근 가능한 선거를 실행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실행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주 예비선거 투표 마지막 날은 선거일인 6월 25일(화)이고 투표용지는 6월 3일까지 등록된 모든 유권자에게 우편으로 발송되며, 소속 정당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마지막 날은 6월 3일이다. DED에 따르면, 등록 유권자 중지지 정당을 밝힌 유권자는 민주당 또는 공화당 소속 후보자 명단이 기록된 투표용지를 받게 되며 지지 정당을 밝히지 않은 유권자들은 공화당과 민주당 후보자 명단이 각각 기록된 투표용지 2장을 모두 받게 되지만 한 정당의 투표용지만을 선택해 투표해야 한다. 한편, 덴버 주민들은 웹사이트(denvervotes.org)를 통해 유권자 등록, 유권자 등록 업데이트, 예비선거에 대한 상세 정보, 투표용지 제출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은혜 기자비영어권 유권자 비영어권 유권자들 유권자 서비스 통역 서비스

2024-05-28

‘오징어게임’ 비영어권 최초 배우조합상 4개 부문 후보

‘오징어 게임’이 12일 미국배우조합상(SAG) 후보 발표에서 대상 격인 앙상블 최고 연기상(TV 드라마 시리즈) 등 4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이정재는 남우주연상 후보에, 정호연은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며 스턴트 부문 앙상블상에도 이름을 올렸다.   SAG의 28년 역사상 한국 드라마는 물론이고 비영어권 드라마가 후보에 지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버라이어티는 “‘오징어 게임’이 SAG 어워즈에서 비영어권 드라마 중 최초로 후보에 오르는 역사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할리우드리포터에 따르면 아시아 배우가 전부 또는 다수인 작품이 SAG 후보에 오른 사례는 영화 부문의 ‘슬럼독 밀리어네어’, ‘기생충’, ‘미나리’ 뿐이다.   이정재와 정호연이 드라마 부문 남녀주연상 후보에 오른 것은 한국과 아시아 국적 배우로도 최초다.   ‘오징어 게임’ 황동혁 감독은 4개 부문 후보 지명과 관련해 버라이어티에 “감독으로서 가장 행복한 순간”이라며 “후보에 오른 배우들과 모든 출연진의 헌신과 노력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버라이어티는 ‘오징어 게임’이 여세를 몰아 올해 9월 열리는 방송계 최고 권위상인 에미상 레이스에서도 주요 후보에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SAG 시상식은 2월 27일 샌타모니카 바커행어 이벤트홀에서 열린다.오징어게임 배우조합상 부문 후보 비영어권 드라마 sag 후보

2022-01-12

렌트비 지원 신청자 중 한인 비율 0.94% 불과

  ━   가주 정부가 제공하는 렌트비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신청자 중 한인은 1%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인을 포함한 비영어권 주민이 가주 정부가 제공하는 렌트비 지원 프로그램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영리언론재단 캘매터스(Cal Matters)는 13일 “팬데믹 사태 가운데 비영어권 주민들은 각종 장애물로 인해 신청조차 못하고 주정부가 제공하는 혜택에서 소외되고 있다”며 “주정부는 렌트비 지원 프로그램 이면의 문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도했다. 캘매터스가 인용한 가주기업소비자주택청(BCSH) 자료〈그래프 참조〉를 보면 렌트비 지원 프로그램 신청자는 약 22만3500여 명(9월27일 기준)이다. 이중 무려 18만9393명(86.5%)이 영어권 신청자였다. 이어 히스패닉(11.08%ㆍ2만4383명) 신청자가 두 번째로 많았다. 그외 비영어권 신청자는 극소수에 불과한 셈이다.   신청자를 언어권으로 나눠보면 중국인(1.06%ㆍ2322명), 한인(0.94%ㆍ2075명), 베트남인(0.32%ㆍ701명), 러시아인(0.25%ㆍ540명) 등의 순이다.   비영어권 주민들의 신청이 저조한 것은 크게 ▶언어 장벽 ▶신청 관련 정보 부족 ▶컴퓨터 사용 문제 등 세 가지로 분석된다. 현재 한인을 대상으로 렌트비 보조 신청을 돕는 K타운액션 수잔 김씨는 “LA와 오렌지카운티 등에서 신청서 작성을 돕고 있는데 한인들이 많지 않다”며 “신청시 파일 등을 업로드해야 하는데 컴퓨터가 익숙하지 않은 한인 시니어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9월부터 신청서 작성을 돕고 있는 가주보건협회 펑 보 코디네이터는 캘매터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달 베트남 커뮤니티를 상대로 주지사 리콜 선거 참여를 독려하는 캠페인을 펼치던 중 상당수 베트남계 주민들이 렌트비 지원 신청 정보를 모르고 있었다”며 “베트남어만 사용하는 이민자가 혼자서 신청서를 작성하기에는 힘들다는 것도 알게됐다. 신청서에는 베트남어 오역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미 당국을 상대로 소송도 제기된 상태다.   세입자보호그룹, 아시안정의진흥연대(AAAJ) 등은 지난 6월 가주공정고용주택국을 상대로 렌트비 지원 프로그램 신청 절차에 언어 등의 차별적 요소를 지적하며 법원에 소송장을 접수시킨 바 있다. 이와 관련 가주주택지역개발국 제프리 로스 부국장은 “번역 프로그램은 주정부와 계약을 체결한 민간 업체가 운영하고 있다”며 “하지만, 아시아계 신청자를 위해 홍보 비용으로 100만 달러 이상을 지출했고 144개 지역 커뮤니티 단체와 연계해 신청을 돕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렌트비 지원 신청은 웹사이트(housing.ca.gov)를 통해 가능하다. 신청시 한국어로 도움을 받으려면 한인타운노동연대(KIWA), K타운액션, 샬롬센터 등을 통해 가능하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

2021-10-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