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고물가·고금리 때문에…"비상금 1000불도 없다"

성인의 10명 중 6명 정도가 1000달러의 비상금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재정전문 사이트 뱅크레이트의 조사에 따르면, 성인 56%가 긴급 상황에 쓸 수 있는 비상금이 1000달러도 없다고 답했다. 이는 2021년의 조사치인 51%와 비교하면 5%포인트가 증가한 것이다.   또 응답자 중 44%만이 긴급 상황 시 자신의 저축 계좌에 있는 비상금을 사용할 것이라고 했다. 나머지 56%는 ▶신용카드 결제 후 상환하거나(21%) ▶지출을 줄이거나(16%) ▶가족 또는 친구에게 빌리거나(10%) ▶개인 대출을 받겠다(4%)고 응답했다.     특히, 비상금이 한 푼도 없다는 답변도 많았는데 세대별로 보면 Z세대(1997~2005년생)의 비율이 31%로 가장 높았다.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생)는 27%, X세대(1965~1980년생)는 22%,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생)는 15%로 가장 낮았다.     또한, 과반수의 응답자(63%)가 높은 인플레이션(63%)을 그 이유로 지목했으며 45%는 고금리로 대출 이자가 늘어난 것도 돈을 모으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외 소득이나 직장 변화(41%)를 원인으로 꼽았다.     뱅크레이트 최고 이코노미 애널리스트 마크 햄릭은 “근로자 대부분이 페이체크투페이체크(paycheck to paycheck)로 살아가는 게 현실”이라며 “비상금 저축 비율이 현저하게 낮다는 것은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예금 이자가 높은 지금이 비상금을 저축하기에 좋은 시기라면 소비 지출을 줄여서 긴급 상황에 대비한 자금을 마련하는 게 이롭다고 조언했다. 정하은 기자 chung.haeun@koreadaily.com고물가 고금리 비상금 저축 비상금 1000불 고금리 때문

2024-03-21

대부분 미국인 1000불 비상금도 없다

대부분의 미국인이 응급상황 시 대처할 비상금이 1000달러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정보업체 뱅크레이트(Bankrate)는 최근 ‘1000달러가 긴급히 필요할 때 조달 방법’을 묻는 설문을 진행했다. 24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질문에 오직 44%만 자신의 저축 계좌에 있는 비상금을 사용한다고 대답했다. 나머지 56%는 ▶신용카드 결제 후 추후에 갚거나(21%) ▶지출을 줄이거나(16%) ▶가족 또는 친구에게 빌리고(10%) ▶개인 융자를 한다(4%)는 등의 답변을 했다.   미국 성인의 63%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비용으로 저축이 줄어들고 있다고 답했다. 또 45%는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비용으로 저축이 줄었다고 답했다. 반면, 19%의 사람들은 이자율 상승 덕에 오히려 더 저축이 늘었다고 밝혔다.   생계수단을 잃을 경우 성인 66%는 한 달 생활비를 충당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57%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저축액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마크 햄릭 수석연구원은 “수년간 불황이 올 것이라 예측했는데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며 “그래도 저축을 우선시하고 긴급상황을 대비할 시기다. 인플레이션 덕분에 더 많은 이자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조사는 미 전역 1000명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전화 응답을 혼합 실시했다. 강민혜 기자미국 비상금 이자율 상승 인플레이션 덕분 저축 계좌

2024-01-25

경제 불안해도 "저축보다 여행"…성인 63% 올해 여행 계획

역대 최고 수준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도 저축보다는 여행에 나서길 원하는 성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금융서비스업체 뱅크레이트의 최신 설문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상당수가 비상금이 부족하더라도 여행을 위한 지출을 선택했다고 LA데일리뉴스가 15일 보도했다.   올해 여행을 다녀왔거나 앞으로 갈 예정이라고 밝힌 63%의 성인 중 44%가 최소 1000달러를 지출했거나 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베이비부머와 X세대는 50%가 최소 1000달러를 쓰겠다고 답한 반면 Z세대는 31%에 불과해 세대 중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항공료, 개스값, 식비, 숙박비 등 여행 관련 비용이 예전보다 53% 더 높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여행객 4명 중 1명은 올해 더 많은 지출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성인 29%는 보다 저렴한 목적지 또는 숙박시설을 선택하겠다고 밝혔으며 28%는 저렴한 액티비티를 찾겠다고 답했다. 항공편 대신 운전해서 여행에 나서겠다, 일정을 줄이겠다고 대답한 성인은 각각 26%에 달했다.   참고로 3개월을 버틸 수 있는 비상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한 성인은 52%에 불과했다. 여기에는 비상금이 전혀 없는 성인 22%도 포함된다. Z세대의 경우는 29%만이 최소 3개월분 비상금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엔데믹으로 여행이 자유로워지면서 저축액수의 많고 적음을 떠나 여행에 대한 유혹이 커질 수 있지만 가지고 있지 않은 돈을 쓰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뱅크레이트의 선임 애널리스트 테드 로스먼은 “크레딧카드 평균 이자율이 대부분의 다른 금융상품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카드로 여행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위험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며 “빚을 내거나 비상금을 사용하는 대신 예산을 축소해 여행하거나 아니면 여행을 연기할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알뜰한 여행을 하기 위한 요령으로 ▶여행 예산과 일정 계획을 최대한 빨리 수립할 것 ▶마일리지 등 포인트가 있는 크레딧카드 활용 ▶예산 마련 위해 고수익 저축계좌로 미리 저축할 것 ▶여행을 포기할 수도 있는 유연성 있는 계획을 수립할 것 등이 제시됐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naki@koreadaily.com여행 경제 여행 예산 여행 자금 비상금 인플레이션 항공료 숙박비 식비

2023-08-17

성인 5명 중 2명 부업한다…33%, "생활비 마련 목적"

성인 5명 중 2명은 생활비 등을 마련할 목적으로 부업을 하고 있다.   재정 전문 사이트 뱅크레이트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9%는 부업 중이라고 답했다. 이중 33%는 생활비 감당을 위해 추가 소득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부업을 하는 이유로 여유자금 충당(27%), 저축(25%), 부채 상환(12%)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연령대 별로 보면 Z세대(18~26세)의 경우, 응답자 2명 중 1명인 53%가 풀타임 직업 외에도 파트타임을 뛰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27~42세) 역시 50%가 부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X세대(43~58세)의 경우에도 40%나 됐으며 베이비부머(59~77세)의 응답률도 24%로 나타났다. 뱅크레이트는 “부업자의 월평균 수입은 810달러이며 남성과 밀레니얼 세대가 부업을 통한 소득 가장 컸다”고 덧붙였다. 1000달러를 버는 부업자도 15%나 된다고 덧붙였다.     재클린 하워드 앨리 파이낸셜의 시니어 디렉터는 부업으로 얻은 소득을 활용해서 재정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고금리 부채 상환 ▶비상금 저축 ▶은퇴자금 비축 등을 조언했다. 그는 “비상금이 있으면 예상치 못한 지출에 크레딧카드를 사용하거나 고금리 대출을 받는 데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고 강조했다. 정하은 기자생활비 부업 생활비 마련 생활비 감당 비상금 저축

2023-07-18

60%가 비상금 1000불도 없어…25%는 "카드 사용" 역대 최다

소비자 10명 중 6명은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비상금 1000달러도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정보 업체 뱅크레이트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1000달러 이상의 목돈이 있어야 하는 갑작스러운 지출 비용이 발생했을 때 저축으로 대응 가능하다는 소비자들은 10명 중 4명에 불과했다. 모아둔 돈이 없어서 크레딧카드를 대신 사용하겠다고  한 응답률이 25%나 됐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연체 이자율(APY)이 20%를 넘어섰음에도 급전이 필요하면 크레딧카드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재정 상황이 넉넉하지 않다는 걸 보여준다.   특히, 연 소득이 5만 달러 이하인 18~26세의 젊은층이 비상금 마련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윗세대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하지만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재정 능력이 뒷받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업계는 소비자들의 저축이 감소한 이유로 고물가와 크레딧카드 이자율 상승을 꼽았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부터 40년래 최대 폭의 인플레이션을 잡을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4.50~4.75%까지 공격적으로 인상하면서 APY가 20%대를 돌파했다. 고물가로 생활비를 크레딧카드로 감당하던 소비자들이 카드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이를 갚는데 이미 모아 둔 돈을 소비했지만, 금전적 여유가 없어서 저축도 못 하는 상황이다.     한 전문가는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으로 인한 생활비 급증에다 카드빚과 이자까지 부담하면서 저축은 꿈도 꿈지 못하는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일부는 부족한 생활비를 충당하는데, 크레딧카드를 사용하면서 빚의 굴레에서 갇혀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업체의 조사에 의하면 설문조사 응답자 중 70%는 인플레이션으로 저축하는 돈을 줄였다고 답했다.     마크 햄릭 뱅크레이트 시니어 애널리스트는 “4명 중 1명이 1000달러의 급전을 감당 못 해서 크레딧카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건 서민들의 재정상태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금융정보 매체 월렛허브는 현재 신규 발급 크레딧카드의 평균 이자율은 21.4%, 기존 카드들은 평균 19.0%라고 최근 전했다. 2011년엔 각각 16.6%와 13.4%보다 4.8%포인트와 5.6%포인트나 높다.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연체 이자율은 더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따라서 카드빚 규모를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한 소비 전문가는 “실직, 건강 악화 등으로 예상치 못한 긴급 상황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며 “최소 월수입의 3개월분을 비상금으로 저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훈식 기자 woo.hoonsik@koreadaily.com비상금 카드 크레딧카드 이자율 카드 사용 카드빚 규모

2023-02-15

"고물가 반영 비상금 1400불 돼야"

고물가 상황에 준비해야 할 비상금도 1400달러로 늘었다.     통상 재정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400달러보다 무려 3.5배나 된다.   400달러라는 금액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전국 가계 웰빙 통계’에서 조사된 전국 가정이 마련한 비상금의 평균치다.     그러나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클럽(Lending Club)이 페이먼트 데이터 업체(PYMNTS)와 손잡고 4006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고물가에 현실적으로 필요한 비상금은 1400달러로 나타났다.     아누지 네이어 렌딩클럽 재정 전문가는 “비상금 400달러는 물가 인상 등의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것”이라며 “비상금은 1400달러가 적당하고 여유가 된다면 3~6개월 동안 쓸 수 있는 금액을 따로 모아두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즉, 8400달러(1400달러X6)는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상금이 아예 없다고 답한  경우도 절반 정도나 됐다.     설문조사 참여자의 48%는 비상금이 “없다”고 했다. 이들은 비상 상황에 처하면 크레딧카드를 사용하거나, 가진 물건을 팔거나, 가족에게 돈을 빌릴 것이라고 전했다. 크레딧카드를 쓰겠다고 답한 사람의 18%는 크레딧카드 밸런스를 ‘리볼빙(일부결제금액 이월약정)’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기준금리가 대폭 상승하는 추세여서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 등의 크레딧카드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재정 전문가들은 “비상시 크레딧카드를 써서 밸런스를 리볼빙하면  밸런스가 누적되는 동시에 높은 이자가 붙어 결과적으로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고 우려했다. 크레딧카드 사용을 자제하거나 밸런스를 상환이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네이어는 “많은 소비자들이 적은 금액의 비상금을 마련하는 것도 힘들어 한다”며 “적은 금액부터 모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수연 기자고물가 비상금 고물가 반영 비상금 400달러 고물가 상황

2022-09-08

고물가에 시니어들 비상금까지 쓴다

고물가의 직격탄을 맞은 시니어 중 일부는 저축을 헐고 빚까지 지면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니어 권익 옹호 단체 ‘시니어시티즌리그’(SCL)에 따르면, 2명 중 1명은 지난 12개월 동안 고물가 때문에 비상금으로 생활비를 충당했다. 이런 비율은 작년 조사치인 36%보다 14%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이는 SCL 측이 55세 이상 시니어 305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다. 응답자의 96%는 소셜 연금이 유일한 소득원이었다.   고물가로 생활비에 쪼들린 시니어들은 푸드스탬프(SNAP)와 같은 공적 부조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커졌다. 응답자의 47%는 무료식품 배급소나 푸드스탬프(SNAP) 지원을 받고 있었다. 2021년의 22%와 비교하면 무려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지난해보다 약값과 의료비 보조를 찾으려는 시니어도 크게 늘었다. 비싼 약값 때문에 약품보조 프로그램에 지원했다고 밝힌 비율도 지난해의 9%에서 6%포인트 많은 15%나 됐다.   10명 중 2명은 메디케어 절약프로그램이나 메디케어 추가 지원 프로그램을 신청했다. 작년(11%)보다 9%포인트가 높았다. 일부 시니어는 생활고에 다시 일을 시작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렌트 보조 신청 비율이 지난해의 5%에서 배 이상 늘어난 13%였으며 4명 중 1명은 냉난방비 보조도 신청했다. 2021년엔 10%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2.5배가 증가한 것이다.     특히, 43%는 크레딧카드에 90일이 넘는 채무를 갖고 있다고 답했다. 다시 말해서, 생활비를 감당하려고 크레딧카드 빚이 늘고 있다는 말이다.     문제는 크레딧카드 연체 시 적용되는 이자율(APR)이 변동 금리라는 점이다. 월가는 연말까지 금리가 3.5%까지 오를 것으로 본다. 현재 APR이 16.61% 수준임을 고려하면 올 연말 크레딧카드 이자율이 18.61%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럴 경우, 평균 미납 잔액이 5525달러이고 매달 최소 상환(minimum payment)만 하는 시니어는 빚을 모두 갚을 때까지 832달러의 이자 부담이 추가된다.   전문가들은 “수입이 매우 제한된 시니어들이 물가가 천정부지로 뛰면 저금에 손을 댄다. 이마저 떨어지면 크레딧카드로 생활비를 감당하기 때문에 카드 빚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응답자의 10명 중 4명이 넘는 시니어가 90일 이상의 크레딧카드 채무를 지고 있다는 의미는 생활고에 시달리는 시니어가 많다는 걸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덧붙였다.   SCL 측은 고물가로 내년 소셜연금이 8.6% 정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며 내년 메디케어 파트B 보험료 인상 폭도 시니어의 재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진성철 기자시니어 고물가 시니어들 비상금 시니어 권익 일부 시니어

2022-06-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