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매끈하게 밀착 "이래서 티르티르 하는구나"

피부화장이 뭉치고 밀리고 들뜬다면 지금보다 밀착력이 높은 쿠션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티르티르'의 '마스크 핏 레드 쿠션'(이하 레드 쿠션)은 밀림 없는 밀착력으로 전 세계를 제패한 K-쿠션이다. '아마존'의 파운데이션 카테고리 1위에 당당히 이름을 올린 K-뷰티의 일등공신으로, 상위 100개 상품 중 유일한 한국 상품이기도 하다.     피부에 쫀쫀하게 밀착되는 레드 쿠션은 밀착력만이 아니라 커버력도 완벽에 가깝다. 피부의 붉은기, 잡티, 다크서클 등을 말끔하게 커버하는 동시에 히비스커스 꽃 추출물ㆍ레드 프로폴리스ㆍ아스타잔틴 등 총 3가지 레드 에너지의 풍부한 영양감이 피부에 매끈한 윤기와 맑은 광채를 드리워준다. 또한 밀도가 낮은 경량 파우더를 적용해 사용감이 숨 쉬듯 편안하고 별도로 수정 메이크업을 하지 않아도 다크닝이나 무너짐 없이 최대 72시간 동안 무결점 피부가 유지된다.     독보적인 광채 커버 쿠션으로 통하는 레드 쿠션은 "바르지 않았다는 착각이 들 정도로 가볍고 화사하다" "커버력과 은은한 광채가 너무 마음에 드는 쿠션" "저녁까지 금방 한 화장처럼 지속력이 훌륭하다" 등 고객들의 찐 후기가 가득하다.     레드 쿠션(SPF 40/PA++)은 17C 포슬린, 21N 아이보리, 23N 샌드, 24N 라테, 25N 모카, 27N 카멜, 29N 네츄럴베이지 등 다양한 쉐이드로 출시됐다. 지성과 복합성 피부를 포함한 모든 피부에 사용이 가능하며 자외선 차단ㆍ미백ㆍ주름 개선의 3중 기능성을 인정받았다.     현재 중앙일보 '핫딜'에서 추수감사절을 기념하여 티르티르 레드 쿠션을 최저 가격인 21.60달러에 절찬리 판매 중이다.     ▶문의:(213)368-2611   ▶상품 살펴보기: hotdeal.koreadaily.com핫딜 밀착

2024-11-27

[이슈 진단] 북러 밀착의 후폭풍

2023년 2월 서울에서 유럽 외교관과 점심 식사를 한 적이 있다. 국제 정세를 얘기하던 중 그 외교관은 “왜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을 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러시아는 한국의 주요 교역국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러시아와 다시 교류를 해야 한다. 한국이 러시아와 적대적 관계가 되면 러시아는 북한과 다시 가까워져 한반도 정세는 훨씬 불안정해진다”고 답변했다.   그런데 얼마 전 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주는 외교적 사건이 벌어졌다. 지난 6월19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항이 포함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었다. 북한과의 군사동맹 복원이다. 러시아에 등을 돌리지 않으려는 한국의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북한과 밀착했다.   러시아와 북한은 더욱 활발하게 무기 비밀거래를 할 것이다. 북한으로부터 재래식 무기 지원을 받는 대가로 러시아는 전술핵무기 개발과 ICBM 개발을 지원할 것으로 보이다.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은 더욱 고도화될 것이 뻔하다.   김정은은 지난해 연말 전원회의에서 남북관계를 “전쟁 중인 두 교전국 관계”라고 선언했다. 협상을 통한 연방제 통일 정책을 폐기하고 핵무력 등 강력한 군사력으로 한반도를 통일하겠다는 선언이다. 북러 밀착이 우려되는 건 김정은의 한반도 무력통일 야욕을 더욱 부채질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도 북러 밀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북러 정상회담 직후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공화당 간사 로저 위커 의원은 “푸틴의 24년만의 방북은 새로운 안보 현실을 보여주는 신호”라며 “중국과 북한을 견제하기 위해 과거에 있었던 미국의 핵무기를 해당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 짐 리시 의원도 “동아시아 동맹국들은 중국과 러시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핵무기의 실전 배치를 진행 중인 북한을 우려하고 있다”며 “미국은 동맹국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핵무기를 이 지역에 재배치하기 위한 옵션들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커와 리시 의원은 국방부와 국무부의 정책을 감독하고 예산을 편성하는 군사위와 외교위의 공화당 최고위 인사라는 점에서 이들의 발언이 가지는 무게는 작지 않다.   게다가 지난 6월27일 첫 TV 토론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노쇠한 모습을 보여 사퇴압력을 받고 있어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공화당의 한반도 정책이 더욱 중요해졌다.   미국에서 전술핵 한반도 재배치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한국에서는 독자 핵무장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 홍준표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등 거물급 정치인들이 공개적으로 “독자적 핵무장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북한과 러시아가 급속히 밀착하면서 한국의 안보 위기감이 크게 고조됐기 때문이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러가 상호방위조약을 맺은 이후 더욱 거세지고 있는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려면 미국의 확장억제(핵우산)만으로는 부족하다”며 “독자 핵무장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통일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4.6%가 주한미군 주둔보다는 독자 핵무장을 지지했고, 40.1%는 독자 핵무장보다는 주한미군 주둔을 선호했다. 주한미군 주둔보다 독자 핵무장을 선호한 여론조사 결과는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6%가 독자 핵무장을 지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미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후보로 거론되는 엘브리지 콜비 전 국방부 전략전력개발 담당 부차관보는 “주한미군을 중국 견제에 활용하는 대신, 한국의 독자 핵무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한국 언론과 인터뷰에서 밝혔다.     북러가 밀착하면서 한국은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 독자 핵무장 등 좋든 싫든 불가피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으로 떠밀리고 있다.   이무영 / 뉴미디어 국장이슈 진단 후폭풍 밀착 전술핵무기 개발 러시아 대통령 군사위원회 공화당

2024-07-08

[오늘의 생활영어] go all out; 모든 힘을 다 쏟다

A high school basketball coach is talking to his team before a game. (고등학교 농구부 코치가 경기 전에 선수들과 말하고 있다.)   Coach: All right everybody listen up!   코치: 자 전부 주목!   Ray: Quiet guys. Coach is talking.   레이: 모두 조용히 해. 코치님 말씀하시잖아.   Coach: We can beat this team. They're not better than us.   코치: 오늘 상대팀은 꺾을 수 있어. 우리보다 나을 게 없는 팀이야.   Kevin: We have to play tight defense.   케빈: 우린 밀착 수비를 해야 돼.   Paul: We have to go all out the entire game.   폴: 경기 내내 힘을 다 쏟아야 돼.   Coach: That's right.   코치: 그렇지.   Sam: We can't let them get easy baskets.   샘: 점수를 쉽게 내주면 안돼.     Coach: If we work together for forty-eight minutes we can win this game.   코치: 48분 동안 힘을 합하면 경기를 이길 수 있어.   Ray: All right guys defense on three!   레이: 좋아 셋에 수비다!   Everybody: One two three defense!   모두 다 함께: 하나 둘 셋 수비!   기억할만한 표현   *listen up: 주목.   "Listen up kids. We have to leave the house by 9:00 tomorrow morning."    (얘들아 잘 들어. 우린 내일 아침 9시에 집에서 떠나야 돼.)     *tight defense: 밀착 수비.     "Tight defense will win the game for us."    (우린 밀착 수비를 해야 경기를 이길 수 있어.)     *easy baskets: 쉽게 득점하다.        "They got a lot of easy baskets on us because we played poor defense."    (우리 팀의 수비가 허술하니까 상대팀이 득점을 쉽게 하잖아.)   California International University  www.ciula.edu (213)381-3710오늘의 생활영어 tight defense 밀착 수비 easy baskets

2023-03-08

영미권서 주목받는 북한 '관찰자' 백지은 "김정은 변신 판단, 아직은 신중히"

최근 미국과 영국의 주요 언론이 북한 관련을 보도할 때 자주 취재하는 한인이 있다. 남가주 출신 백지은 씨다. 하버드대학에서 행정학 학사와 공공정책 석사를 마치고 현재 옥스퍼드대 공공정책 박사 과정에 있는 백씨는 CNN과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공영방송 NPR, 영국의 BBC 등이 북한 보도를 할 때 의견을 묻는 주요 취재원으로 자주 등장한다. 백씨가 북한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것은 대학 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다. "1학년 가을 학기에 친구들과 함께 강철환 씨의 수용소 경험 증언을 듣고 엄청난 충격을 받은 뒤 북한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다. 13년이 지난 지금도 북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얼마 뒤 그는 행동에 나섰다. 2007년 학부생 모임인 '하버드대 북한 인권 학생 모임'(H-RiNK)을 공동 창립했다. 북한 인권에 대한 인식을 높이자는 취지로 탈북자를 초청해 연설을 듣고 다큐멘터리를 상영했다. 11년이 지난 지금도 이 단체는 탈북자와 북한 전문가를 하버드대에 초청하고 있다. 2009년부터는 다큐멘터리 '이산가족(Divided Famaly)' 프로젝트팀에 합류해 공동제작을 맡았다. 이 다큐멘터리는 학생과 교회, 비정부기구(NGO)에 이산가족 상봉의 시급성을 알렸다. "한국전으로 인한 이산가족의 비극은 멀리 남북한에 한정되지 않는, 미국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점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졸업 뒤 구글 본사 싱크탱크인 구글 아이디어에서 일하면서도 북한을 놓지 않았다. 젊은 탈북자들이 디지털 활용 능력(Digital Literacy)를 키울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서울에서도 구글 관계자와 탈북자가 멘토 관계로 짝을 지어 대학 지원 등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2012년에는 웨스트레이크에서 열린 구글 국제 콘퍼런스에 유형별로 탈북자 10명을 초청했고 이런 열정은 에릭 슈밋 구글 회장의 방북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버드대 벨퍼 센터에서는 석학과 현장 경험이 풍부한 북한 전문가의 지도 아래 연구를 계속했다. 핵무기와 테러리즘에 정통하고 국가 안보와 국방 정책 분석으로 유명한 석학 그레이엄 앨리슨 박사가 지도교수였고 북한 정책 특별대표인 스티븐 보즈워스 전 주한 미 대사의 지도도 받았다. 벨퍼 센터는 수백 명이 전문가가 연구결과를 내놓으며 5년 연속 전 세계 대학 부설 싱크탱크 1위를 차지한 곳이다. 백씨는 북한 관련 저술과 기고를 통해 소장파 학자로 주목을 받고 있다. 뉴욕타임스에 '불법 유입된 TV쇼가 북한을 바꿀까"라는 기고문을 싣는 등 언론을 통해 북한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이해를 높였다. 정부와 대학이 주최한 국제 학술회의에는 메인 스피커와 패널로 참가했다. 2017년엔 외교 전문잡지 '포린 어페어스'에 '북한인의 마음의 개방'을 게재해 그해 '최고 기사 20편'에 꼽혔다. '북한의 은밀한 혁명(North Korea's Hidden Revolution)'은 이런 활동을 본 에이전트의 제의로 시작됐다. 여러 출판사가 오퍼를 했고 예일대 출판부를 선택했다. 북한의 역사와 권력 구조 속에서 외부에서 유입된 지하 정보가 폐쇄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100여 명의 탈북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론화했다. 출판부에서 인터뷰한 탈북자에게 그 내용을 일일이 확인하는 꼼꼼한 검증 과정을 거쳐 출판된 책은 북한 전문가의 호평을 받으며 대학에서 부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앨리슨 박사와 로버트 칼루치 전 북핵 특사, 보즈워스 전 대사, 북한 전문가인 안드레이 랜코프 국민대학교 교수 등의 서평이 잇따라 언론에 실리며 책의 가치를 높였다. 북한에서 일어나고 있는 아래로부터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영문 학술서는 여러 권 있다. 하지만 외국에서 유입된 정보와 그 정보의 소비에 초점을 맞춰 변화를 이해하려는 영문 학술서는 이 책이 유일하다. 그동안의 활동과 연구 성과에도 백씨는 "나는 북한 전문가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전문가들의 서평은 아주 기분이 좋았다. 하지만 책을 쓰는 과정에서 나는 아주 겸손해졌다. 생각을 종이에 쓰는 과정에서 내가 알고 있는 모든 것에 의문이 들었다. 오히려 북한과 억압적인 국가에 대해 더 배워야 한다고 확신했다. 북한에 대해 연구할수록 아는 것이 적다는 것을 깨달았다." 백씨가 옥스퍼드 대학에 공공정책 박사과정을 지원한 이유이고 자신을 북한 전문가가 아니라 "북한 관찰자"로 부르는 이유다. "다만 내 인생을 북한 연구에 바치고 북한과 북한 사람들, 모든 한국인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려 노력하는 데는 아주 열정적이다." 그가 관찰한 북한은 어떨까. 사회가, 사람들이 변하고 있는 징후가 곳곳에서 발견된다. "젊은이들은 한국의 유행과 패션을 모방한다. 1990년대 이후 태어난 이들은 시장에 의존한다. 필요한 것의 모든 것은 현금으로 산다. 이 밀레니엄 세대는 시장과 현금, 전례 없는 수준의, 외부에서 유입된 정보와 함께 자랐다. 북한에는 수백 개의 시장(장마당)이 있다. 암시장이 아니다. 최근엔 이런 시장 중 많은 곳에 세금이 부과된다. 규제도 받는다. 탈북자들은 이런 농담을 한다. '북한 시장에서는 고양이 뿔을 빼고 뭐든지 살 수 있다.' '김일성이 살아있다면 북한을 알아보지 못할 것'이라는 농담도 했다." 이런 변화는 북한의 문화도 바꾸고 있다. "북한은 가부장적인 나라다. 대체로 남자는 집 안팎에서 권력을 갖고 있다. 아버지와 남편은 가장이며 남편과 아내는 균등한 권력을 갖고 있지 않다. 가정폭력도 매우 많다. 하지만 시장이 커지면서 대다수 부인들이 장사를 하고 집으로 현금을 가져온다. 이것이 가정 내 권력 구도를 조금씩 바꾸고 있다." 피상적인 수준이지만 김정은 북한을 근대화하려고 노력하는 징후도 발견된다. 북한 앵커들의 목소리 톤이 전보다 부드러워졌고 영화나 쇼의 제작이 좀 더 근대화됐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북한이 아래로부터의 주요한 변화를 받아들일 만큼 압박을 받는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북한 정권은 매우 영리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정보 유통을 단속하려 한다. 가택과 전자제품을 불시에 수색한다. 훨씬 은밀한 방식은 맬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포시켜 이런 정보를 감시해 소유자와 소비자를 찾아내는 방식이다." 오랫동안 북한을 연구하고 이해하려 했던 관찰자로서 그는 최근 한반도 상황에 대한 '건강한 회의론'을 견지해야 한다고 믿는다. 인류애에 대한 믿음으로는 한반도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만 지금까지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는 그렇다. 북한에서 지속 가능한 변화가 오려면 엘리트나 군부, 돈주로 불리는 중산층, 평범한 일반인이 협력해야 한다. 그는 "남북 정상회담으로 긴장이 일시적으로 완화된 것은 기쁘다"면서도 "정상회담에서 김정은이 보여준 이미지는 하나의 데이터로만 받아들여야 한다"고 신중론을 펼쳤다. '아래로부터의 변화는 매우 중요하지만 엘리트와 군대에서도 변화와 양보가 있어야 한다.' 그의 이런 시각은 북한에 한정되지 않는다. "북한을 이해하고 연구하려는 열정을 바탕으로 나는 다른 전체주의적이고 억압적인 정권을 비교하는 앵글에서 공부하려 애썼다. 현재 연구하고 있는 것은 전체주의 국가에서 정치적 반대세력(political dissent)의 초기 행동가다. 전체주의 국가가 어떻게 자유주의적 시스템으로 바뀌는지 연구하고 있다. 이런 지식과 이해가 앞으로 북한이 개방되고 북한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자유가 허용되는 미래에 효율적으로 적용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는 현재 박사학위 논문으로 미얀마(버마)를 연구하고 있다. 전체주의 국가에서 항의나 파업, 보이콧(쟁의) 같은 저항 행위의 최초 단계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처음으로 이에 관여하고 조직하는 이들(first mover)은 누구이며 그 동기는 무엇인지가 주제다. 그는 자신을 관찰자라고 부르지만 관찰자만은 아니다. 북한을 관찰하면서 동시에 탈북자에 개입한다. 그는 이 개입 행위를 '지원한다'고 표현한다. 영국에서 미얀마 관련 박사학위 논문을 쓰면서 미얀마로 가 정치범 출신이 세운 학교에서 공공정책을 가르치고 있다. 학생들은 대부분 정치범 출신과 그들의 자녀, 반체제 인사들이다. 왜 지원할까. "나는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아무 잘못도 없이 억압적인 정권에서 태어난 이들이 너무 많다. 운이 덜 좋았던 이들에게 봉사하는 것은 나, 그리고 모든 이들의 도덕적 의무다. 그게 연구든 비즈니스든 교육 혹은 자원봉사, 기술이든. 우리는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세계에서 살고 있다. 사람들이 지금처럼 연결하고 봉사하기 쉬웠던 적은 없다. 옆집에 살든, 다른 나라에 살든 모두가 이웃이다. 누구나 봉사할 수 있다."

2018-05-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