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0.75

아마 연세가 많으신 분들은 존 스타인벡(John Ernst Steinbeck)의 “분노의 포도”라는 소설과 영화를 기억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1930년대에 나온 명작으로 당시 미국에서 대공황을 맞아 농가가 파괴되는 현상을 소설화하였다. “에덴의 동쪽”을 발표하기도 한 그의 소설은 자본주의를 고발하는 내용이지만 그렇다고 프롤레타리아 소설은 아니다. “분노의 포도”에는 경제 대공황을 맞아 농장 주인이 빚을 져 은행에 땅이 넘어가고, 나중에는 파산에 처한 은행마저도 어쩔 수 없어 트랙터 등을 이용해 소작농을 몰아내 일가족이 처한 고통을 그렸다.   요즘 “0.75”라는 새로운 숫자가 등장하였다. “에스프레소 커피”를 뽑을 때 지방이 2% 모자란 스킴 밀크(Skim Milk)를 사용하면서 "2% 모자란다"라는 말이 유행하였듯 이제는 “자이언트 스텝”인 기준 금리 인상 “0.75%”가 유행어로 등장하였다.   “2%”가 애교 있는 뜻이 묻어 있다면 “0.75”는 공포의 숫자다. 지난달에 이어 계속 인플레를 잡기 위해 금리를 그렇게나 대폭 심심하면 올리겠다니 다행히 인플레이션이 잡히면 좋지만 안 잡힐 때는 소위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으로 직행한다.   이 정도는 애초 Covid19가 왔을 적에 예상되었으나 문제는 우크라이나 장기 전쟁이 느닷없이 덮쳐 금리 인상으로는 더 어쩔 수 없는 대공황이 온다면 문제다.   1930년대의 2차 대공황 당시 루스벨트 때는 은행이고 금본위제고 전부 폐쇄시켜 아직도 그의 기념관에는 노숙자들이 급식소에 줄을 서 있는 동상이 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때 어려서 농촌에 살면서 들쥐를 하도 잡아먹어 대통령 당시 아직도 입맛이 살아 있다는 끔찍한 이야기를 여담 삼아 하기도 하였다. 히틀러도 이 당시 독일 국민이 대공황에 시달리다 못해 새로운 인물로 등장시킨 인물이다. 소위 먹고 살기 위한 문제는 세계 평화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이야기다.   한국의 행정, 사법 고시를 모두 합격한 동아대학교 법학 전문대학원 송희식 교수에 의하면 대공황이 온다면 49가지 대처 방법을 처방하였는데, 그러나 이것도 코로나가 한창일 때의 지난 이야기이고 지금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진 마당이라면 그는 더욱 펄펄 뛰셨을 것 같다. 처방을 대충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황이 곧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지 말고 장기간 생활 수준을 낮춰라” “가족 간에 유대를 강화해라”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가지고 있는 것을 대부분 현금화 하라” “국가와 정부에 기대하지 말라. 국가는 당신에게 아무 것도 해주지 못한다” “신문이나 언론을 믿지 마라” “부동산에 투자하지 말고 주식에 열을 올리지 마라” “달러를 저축하는 것도 하나의 방편이다” “은행이 안전하다고 믿지 말라. 예금을 몽땅 날릴 수도 있고 그렇게까진 아니더라도 몇 달씩 묶일 수 있다” “장기적으로 생각하라. 불황에는 당장 되는 일이 없다” “금이나 귀금속을 보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여유 있는 사람이라면 이웃을 챙겨라” “집은 구하기보다 임대를 하라” “주식 시장에서 장기 투자는 이제 통하지 않는다” “투자를 하고 싶다면 정말 바닥권을 찾아 장기적으로 기대하는 것도 좋다” “돈이 많다면 미리 유언을 작성하라” 설마 이렇게 되랴, 속 좁은 생각을 해 봤지만 그렇다고 몰라라 할 필요도 없고 그냥 한번 미리 알아 두는 것도 좋을 듯하여 대충 기록하여 보았다. 오늘 유가와 주식을 보면 너무 혼돈해 국채에 몰리는 현상이 있으나, 오히려 유가가 내려가는 것이 경제 활동이 없어 그러하다니 더욱 으스스 한 이야기다. 올라가도 걱정, 내려가도 걱정, 하루하루 살아가는 우리 같은 서민에게는 죽을 맛이다. (hanhongki45@gmail.com)   한홍기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경제 대공황 우크라이나 장기 장기 투자

2022-07-08

[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신 대공황

‘화폐 전쟁’(Currency War)이라는 책이 있다. 이 책은 같은 제목으로 오래 전 세사람이 각각 다른 내용으로 집필했다. 존 쿨리((John Cooley)는 위조지폐의 해악에 대하여 썼으며, 쑹훙빙(宋鴻兵)은 월가에서 금융인으로 근무하다 중국으로 귀화한 중국인으로 소수의 금융 재벌이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는 논조로 영국의 로스차일드의 가문과 유대인 음모론의 확장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읽기에 박진감이 넘치며 서스펜스도 있어 당시 중국과 한국에서 100만권이 넘는 베스트 셀러 반열에 올랐는데 총 5권으로 된 방대한 내용 중 끝부분에서 헤지펀드들이 동남아를 휩쓸어 국가 부도로 몰아갈 때, 한국에서 금 모으기가 일어 날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한국인의 끈질긴 모습에 전 세계 금융인들이 놀랐다는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   제임스 리카즈(James Rickards)가 작년에 발간한 “신 대공황”이 요즘 주목을 많이 받고 있다. 리카즈는 변호사이자 금융인 등으로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데 오래 전부터 한국을 여러 번 방문하였다. 그의 논조는 다음과 같다.   루스벨트 대통령이 당선되기 직전 1929년은 주식시장의 대폭락으로 오랫동안 경제난을 겪었는데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데는 25년의 세월이 걸렸다. 물론 하락만 계속 있었다는 것은 아니고 성장도 있었으나 추세선 아래에서 진행되었다.     공황의 개념을 위해 지난 650년 동안 10만 명 이상이 사망한 팬데믹 현상을 미국의 학자들이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15번의 팬데믹이 있었다. 그 중 최악은 1억 명이 사망한 1918년 스페인 독감이며 2위는 14세기에 발생한 흑사병으로 7500만 명이 사망했다. 지금의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693만 명으로 3위에 있으며 또한 계속 진행 중이다.     지금의 상황에서는 분산 투자를 권하는데 주식을 30가지로 분산하라는 것이 아니고, 주식, 현금, 부동산, 사모펀드 등인데 지금 같은 인플레이션에는 금과 원자재가 잘 된다는 것이다. 추천할 것은 현금을 자산의 30%로 갖고 있어야 하며 그 이유는 그때 그때 선택적 가치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금을 자산의 10%로 갖고 있기를 바란다고 한다. 지금의 현상은 30년을 예상한다.   현재의 인플레이션 상항에 대해 여러 학자들의 의견이 있는데 대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지금 4차 산업 혁명의 버블은 2015년에 형성되어 1차 버블이 계속 진행 중이다. 2차 버블이 터지면 과거 닷컴 버블과 같이 몰락한다. 나스닥 특히 테슬라를 비롯해 다수가 엄청나게 하락하는데 쉽게 이야기하면 살아남는 기업만이 재정비해 부활한다. 현재는 역대 버블의 최고로 쌓인 시점이다. 연준은 항상 죽일 기업은 죽여 털어낸다. 그래야 기업은 스스로 구조조정을 하고 경비 절감을 한다. 실물 시장이 무너지며 몇 년을 가면서 이렇게 버블이 해소돼야 다시 경제가 올라간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은 연준은 그렇게 할 수 없어, 정크 폰드까지 전부 다 사주었다. 연준은 2020년에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많은 돈을 쏟아부었다. 2021년부터는 버블이 폭발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하였는데 앞으로 3년간은 계속될 것이며 연준의 긴축도 빨라질 것이다. 다음 차례는 버블이 계속 부풀어지다 터지는 순간이데 그 방아쇠는 지금 계속 올릴 예정인 기준 금리 후반기일 것이다. 대폭락이 온다면 다우는 40%, 나스닥은 70%, 암호 화폐는 90%, 부동산 시장은 30% 각각 하락할 것이다. 그래서 우량주를 갖고 있으라는 것이며 그 후 2~3년간은 상승을 할 것이다. 오늘은 으스스 한 이야기뿐이다. (hanhongki45@gmail.com)  한홍기한홍기의 시카고 에세이 대공황 세계 금융인들 역대 버블 부동산 시장

2022-04-28

전국 인구 증가율, 대공황 이후 최저

미국의 인구 증가율이 대공황 이후 최저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스국은 4월1일 현재 미국의 인구가 3억874만5538명이라고 21일 발표했다. 이 수치는 2000년의 인구 2억8천140만명에 비해 9.7% 증가한 것으로 대공황 이후 10년간 인구증가율로는 최저치에 해당한다. 대공황 발발 후 10년간의 인구 변화를 추적한 1940년 센서스 때 미국의 인구 증가율은 7.3%였으며 이후 1950년 14.5% 1960년 18.5% 1970년 13.3% 1980년 11.5% 1990년 9.8% 2000년 13.2% 등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센서스국은 출산율 저하와 이민규제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지난 10년간 인구증가율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텍사스와 라스베이거스의 인구가 눈에 띄게 늘어난 반면 자동차산업의 중심지로 경기침체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지역인 미시간은 유일하게 인구가 줄었고 로드아일랜드와 오하이오 루이지애나 등은 인구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남부 지역은 14.3%가 늘었고 서부지역도 13.8% 증가했지만 북동부와 중서부는 증가폭이 각 3.2%로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한편 이번 센서스 결과를 토대로 선거구를 새로 획정할 경우 텍사스에서 연방 하원의원 의석수가 4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플로리다는 2석 애리조나 네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유타 워싱턴 등이 각 1석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오하이오와 뉴욕은 각 2석이 줄고 일리노이 아이오와 루이지애나 매사추세츠 미시간 미주리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등은 1석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연방 하원의석수가 늘어나는 지역은 대부분 공화당 우세지역인데 비해 의석수가 감소하는 곳은 민주당 우세지역이다. 특히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08년 대선 당시 패했던 주의 대부분이 인구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데 비해 승리했던 주에서는 인구증가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나 센서스 결과를 토대로 대선 선거인단이 재편되면 2012년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는 오바마에게는 매우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2010-12-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