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중앙칼럼] ‘노예해방 기념일’, 휴일이 된 이유

직장인에게 법정 공휴일(Federal Holidays)은 ‘꿀’이다. 업무에 지친 상태에서 유급휴일(Paid Holiday)은 심신의 여유를 주고, 돈 못 번다는 걱정도 덜어준다. 2021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별 연평균 노동시간을 보면 미국 노동자는 일벌레에 속한다. 36개국 연평균 노동시간은 1716시간. 미국 노동자는 1791시간으로 OECD 평균보다 일 년에 약 9일을 더 일한다. 한국 노동자는 1915시간으로 약 25일을 더 일하니 말 다 했다.   연방 정부 인사관리처(OPM)에 따르면 2023년 6월 기준 연방 정부 법정 공휴일은 총 12일. ▶1월 1일 ‘새해’ ▶대통령 취임식(1월 20일 4년에 1번)▶마틴 루터 킹 데이(1월 셋째 주 월요일) ▶프레지던트 데이(2월 셋째 주 월요일) ▶메모리얼 데이(5월 마지막 주 월요일) ▶독립기념일(7월 4일) ▶노동절(9월 첫째 주 월요일) ▶콜럼버스 데이 또는 원주민의 날(10월 둘째 주 월요일) ▶재향군인의 날(11월 11일) ▶추수감사절(11월 셋째 주 목요일) ▶성탄절(12월 25일)이다. 2021년 6월부터는 ‘노예해방 기념일(6월 19일-준틴스)’이 추가됐다.   연방 의회와 대통령은 미국 400년 역사 중 사회의 변혁과 발전을 이끈 의미 깊은 순간을 공휴일로 지정했다. 모두가 역사적 순간과 의미를 기억하자는 계승정신인 셈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끝판왕이라 불리는 미국, 공휴일도 예외가 아니다. 나랏님이 법정 공휴일을 선포해도 유급휴일은 보장하지 않는다. 고용주 ‘마음’이다. 민간 영역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미국 산업현장의 단면이다.   직장인들은 아쉽다. 고용계약에 따라 일하지만, 고용주에게 공휴일이니 쉬고 싶다고 말하긴 어려운 게 현실. 유급 휴가와 공휴일 유급휴일 제공 여부는 고용주의 철학과 배려가 결정한다.   12번째 연방 공휴일로 지정된 6월 19일 노예해방 기념일. 직장인들 사이에서 휴무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한인 고용주를 포함, 중소업체 상당수가 유급휴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인 직장인 등은 프레지던트 데이와 콜럼버스 데이 일하는 건 그렇다 쳐도 노예해방 기념일은 외면하지 말자고 입을 모은다. 미국 소수계 권익과 인권, 자랑스러운 유산인 ‘자유의 정신’을 상징해서다.   노예해방일은 1865년 6월 19일 텍사스주에서 마지막 흑인 노예가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에이브러햄 링컨 당시 대통령은 1863년 노예해방을 선언했지만, 남부연합 소속으로 연방과 맞선 텍사스주는 2년여가 지난 1865년 6월 19일에야 마지막으로 노예해방을 선포했다. 이날 이후 미국 역사에서 노예제도는 사라졌다.   16~19세기 아프리카 출신 노예 약 1200만 명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팔려갔다.  알렉스 헤일리가 쓴 소설 ‘뿌리(Roots)’는 흑인사회의 바이블과 같다. 흑인 노예 킨타 쿤테의 미국 정착기부터 5세대까지 이어지는 절망과 희망이 담긴 이야기는 미국에 사는 구성원 모두가 읽어볼 만하다.   미국이 백인 중심 사회에서 다문화·다양성을 수용한 역사적 순간이 노예해방이다. 노예해방에는 ‘인간은 태어나면서 자유롭고 평등한 인격, 행복을 누릴 권리를 가진다’는 천부인권사상도 담겼다. 1948년 채택된 세계인권선언 4조는 노예제도와 노예매매를 어떤 형태이건 금지하고 있다.   오늘날 소수계가 보장받는 평등과 자유의 시작은 노예제도와 맞서 싸운 수많은 사람의 투쟁과 헌신이다.     특히 한인사회 등 소수계는 흑인 민권운동에 빚을 지고 있기도 하다. 1950년대부터 시작된 흑인 민권운동 이후 소수계 이민자의 권익이 제도적으로 보장된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한인 고용주라면 노예해방 기념일에 인색할 필요 없다. 노동자가 하루 쉬면서 오늘이 무슨 날인지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소수계 이민자 사회가 노예해방 기념일을 반기지 않을 이유가 없다.   김형재 / 사회부 부장중앙칼럼 노예해방 기념일 노예해방 기념일 공휴일 유급휴일 법정 공휴일

2023-06-18

[열린광장] ‘노예 해방의 날’의 영적 의미

미국 역사에서 링컨 대통령의 1863년 ‘노예 해방 선언(Emancipation Proclamation)’은 의미가 깊다. 그리고 1865년 6월19일은 텍사스주에서 마지막 노예해방이 있던 날이다. 이를 기념하는 것이 ‘흑인 노예해방 기념일(Juneteenth)’이다.  노예해방은 현재 시점에서 보면 너무도 당연한 명제지만 당시의 역사적 사회적  굴레의 무게는 무거웠다.        ‘노예 해방 선언’ 100주년을 맞은 1963년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유명한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 연설을 통해 진정한 노예해방은 진행 중임을 강조했다.     21세기의 미국은 교육, 직업, 의료 등 모든 분야에서 인종,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평등하게 대우받는 정의를 성취하기 위한 큰 비전을 안고 있다.      병원에서 활동하는 목사 입장에서 의료계의 발전하는 모습은 희망을 갖게 한다. 하지만 고정관념과 편견은 아직 많은 진전이 필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시니어 혹은 장애를 가진 환자를 방문하는 경우 인지적 판단 능력, 혹은 참을성이 부족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은 환자의 영혼을 치유하는 ‘스피리추얼 케어(spiritual care)’의 효과를 약화한다.  이는 임상목회 교육(CPE)시 강조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미국의 역사는 시민의 자유로운 삶이 얼마나 중요하고, 이를 지키기 위해 많은 희생이 따른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나아가 인류의 역사 또한 과거의 여러 가지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자유의 발걸음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전해주고 있다.     ‘영적 자유(Spiritual Liberation)’도 함께 성취하기 위한 마음이 간절하다. 돌아보면, 과연 출애굽기 430년간의 노예생활로부터의 자유,  복음서에 “주께서 온갖 질병과 병든 자를 낫게” 하심,  그리고 사도행전 사도들이 보내심의 사명을 이루어 낸 그 모든 자유함의 영적 의미는 무엇일까.   성서의 기록을 본다. “그들이 다 같이 한 곳에 모여 한마음으로 기도” 할 때 영적 자유의 마음을 경험하고 지금껏 가졌던 가치관과 바라던 것보다 오히려 인종과 언어를 넘어 소외된 자와 불우한 자, 애통해 하는 자와 병든 자를 향한 새 돌봄이 시작되었다.     ‘노예 해방의 날’의 다른 한 면인 영적 자유함이 이민의 순례 여정을 가는 우리에게도 더욱 공감되어 서로의 돌봄이 확장되기를 기원한다.   김효남 / HCMA 디렉터·미주장신 교수열린광장 노예 해방 흑인 노예해방 마지막 노예해방 노예 해방

2023-06-18

연방공휴일 ‘준틴스’…현실은 선택적 휴일

“우리 회사는 ‘준틴스’ 안 쉬나요?”   2021년 6월부터 12번째 연방 법정 공휴일로 지정된 노예해방 기념일(6월 19일)을 앞두고 직장인 사이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연방 정부는 노예해방을 기억하고 축하하기 위해 6월 19일을 공휴일로 삼았지만, 민간업체는 선택적 수용을 하고 있어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21년 6월 17일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노예 해방일인 6월 19일을 연방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6월(June)과 19일(Nineteenth)을 뜻하는 단어를 합쳐 흔히 ‘준틴스(Juneteenth)’라 불리는 노예해방일은 1865년 6월 19일 텍사스에서 마지막 흑인 노예가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에이브러햄 링컨 당시 대통령은 1863년 노예 해방을 선언했지만, 남부연합 소속으로 연방과 맞선 텍사스주는 2년여가 지난 1865년 6월 19일 마지막으로 노예 해방을 선포했다.   준틴스가 12번째 연방 공휴일로 지정된 후 우정국, 법원 등 연방 공무원은 기념일 휴식을 취한다. 휴일을 쓰지 못할 경우 대체휴일도 제공한다.     하지만 법조계에 따르면 민간업체(Private Sector)가 연방 공휴일 당일 직원에게 휴일을 제공할 의무는 없다.     김윤상 변호사는 “민간업체 등에서는 공휴일 직원에게 일을 시키면 평소처럼 급여처리만 하면 된다”며 “만약 고용주가 공휴일 (유급) 휴가를 제공하고 싶다면 미리 직원에게 공지하면 된다. 꼭 직원핸드북에 명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현재 한인 중소업체 상당수는 준틴스를 유급휴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은행, 중견기업 이상만 공휴일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반면 한인 직원 대부분 준틴스를 공휴일로 인정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뱅크오브호프 한 직원은 “준틴스 공휴일 지정 첫해부터 대체휴일을 쓸 수 있었고, 이듬해부터는 연휴처럼 쉬고 있다”며 “직원들 모두 6월에는 연휴나 쉬는 날이 없었는데 새 휴일이 생겨서 좋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인 배모씨는 “회사 직원만 1600명인데 인사과(HR)에서 준틴스 휴일 여부도 알려주지 않고 있다”며 “준틴스를 맞아 하루 쉰다면 노예해방 역사에 대해 다들 생각해볼 수 있지 않나. 의미 있는 날은 다 같이 쉬면서 축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9일 LA시의회는 준틴스를 시 공휴일 겸 영구 유급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이에 따라 시 공무원과 시와 계약을 맺은 24개 노동조합 소속 노조원은 유급휴일을 누릴 수 있게 됐다. 앞서 지난해 6월 에릭 가세티 전 LA시장은 준틴스 공휴일 지정 선언문에 서명한 바 있다.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노예해방 기념일 노예해방 기념일 공휴일 직원 공휴일 지정

2023-06-12

[살며 생각하며] 노예해방보다 더 큰 링컨의 업적

250년 46대에 이르는 미국 대통령 중 존경받는 대통령 셋을 꼽으면 국부 격인 조지 워싱턴, 2차대전 승리를 이끈 프랭클린 루스벨트, 에이브러햄 링컨을 꼽는데 그중에 제일은 링컨 대통령이라 할 수 있다. 그가 남북전쟁이라는 험한 대가를 통해 흑인들을 노예에서 해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더 큰 그의 업적은 지금의 통일된 미합중국(USA)이라는 국가형태의 완성과 연방 구성원으로서 각 주(state)의 위치와 사명을 힘과 제도로 명확하게 확립한 대통령이어서다.   사실 초대 조지 워싱턴 대통령부터 16대 링컨까지의 미국은 The United States are America 즉 복수형 시대로 ‘주’는 이해관계에 따라 언제든지 해체 또는 연방탈퇴가 가능한 느슨한 연합체 국가였다면 링컨 이후 오늘날 미국은 The united States is America. 단수형으로 ‘주’는 미국이라는 국가를 이루는 운명공동체이자 연방을 지탱하는 기둥이자 주체가 됨을 명확히 자리매김한 대통령이 링컨이다.     그런 링컨에 대한 이야기는 풍성하고 이력 또한 화려하지만 전체 삶에서 아픔과 실패가 많았다. 두 번의 사업 실패로 빚을 갚는 데만 17년이 소요된 것은 차치하고라도 개인사적으로 그는 9살에 어머니를 잃었는가 하면 19살에는 시골 외딴 통나무집에서 외롭게 살며 엄마처럼 의지하며 친구처럼 지냈던 누이를, 26살에는 약혼녀를, 41살에는 차남 에드워드를, 53살에는 삼남 윌리엄을 먼저 하늘나라로 보내는 안타까움이 있었다.   정치 여정도 불운했다. 20세가 되던 1832년 도전한 일리노이주 의원 선거에서 13명 중 8위로 낙선한 뒤 2년 뒤 주의원에 당선, 정계 입문이 무난하나 했으나 1840년 대통령 선거인단 선거에 낙선한다. 그리고 1844년 연방하원에 도전하였으나 공천 관문에서 좌절을 맛보았고 1846년 37살에 간신히 연방하원에 당선, 워싱턴 중앙 정치 무대에 무난히 등단하나 했다. 그러나 1855년 상원의원 낙선, 1856년 부통령 후보 경선에서 낙선, 1858년 상원선거에 낙선하는 등 10번의 선거에서 무려 7번이나 실패하므로 ‘낙선의 아이콘’으로 회자하기도했다.   그러나 1860년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미국을 반석 위에 세우라는 창조주 하나님의 엄명을 받는다. 실패의 아픔과 설움을 통해 정금 같이 다듬어지고 주옥같이 빛나는 진가를 유권자들이 알아봤던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일까? 한국 정치인 중 당선이 불확실한 곳을 찾아 도전하므로 ‘바보’ 소리를 듣곤 했던 고 노무현 대통령은 링컨을 가장 존경하는 롤모델로 삼았고 그의 저서를 손에서 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란 ‘자신과 다른 사람의 부조화와 부정적인 요소를 바로잡아 극복하는 행위다’라고 적혀있기도 하다. 성경에서 아모서라는 이스라엘을 향해 ‘오직 정의를 물같이,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같이 흐르게 할지어다’라고 훈계하였다. 종합하면 좋은 정치는 조화하며 순리 지향적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1860년대 미국은 정치 부재의 시대다. 남에서 시작된 물은 파도처럼 역류했고 북에서 흐르는 물은 정의를 빙자한 탁수로 오염되고 치열했다. 이 마른 대지 같은 미국에 링컨이 어떻게 물을 대고 평온한 지류를 형성케 했는지는 다음 회에 나열해보고자 한다. 김도수 / 자유기고가살며 생각하며 노예해방 링컨 링컨 대통령 대통령 선거인단 워싱턴 대통령

2023-06-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