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신 영웅전] 창암 이삼만 명필

마음이 울적해 어디론가 떠나고 싶을 때면 나는 전남 구례 천은사(泉隱寺)를 찾아간다. 천주교 신자인데 불심이 깊어 그런 것은 물론 아니다. 사찰도 아름답지만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와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의 현판을 보면 마음이 평화로워지기 때문이다.   전북 전주에서 태어난 이삼만은 평생 글씨만 쓰다 보니 벼루 세 개의 밑창이 뚫어졌다. 가난해 붓이 망가지면 칡 줄기를 잘라 곱게 찧어 전분을 풀어내고 섬유질만 다듬어 붓을 만들어 썼다. 이렇게 쓴 갈필(葛筆)도 명품이다.   그의 본명은 ‘바위에 낀 푸른 이끼’라는 뜻의 이창암이었는데 자기 신세를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호가 삼만(三晩)만이었는데, 이는 공부·출세·혼인 이 세 가지가 늦었다는 자학의 뜻이 담겨 있다. 지금도 전주 재래식 집 문기둥에 ‘李三晩’을 글씨를 거꾸로 붙이는데 그의 부친이 뱀에 물려 죽어 벽사의 전통이 그렇게 남아 있다.   그토록 오연(傲然)했던 추사(秋史) 김정희가 제주로 귀양 가는 길에 창암을 찾아갔다가 창암의 글씨를 보고 “밥은 먹겠군”이라고 말했다거나, 추사가 귀양에서 풀려나 상경하는 길에 창암을 찾아갔으나 그가 이미 세상을 떠나 묘비명을 써줬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다. 내려갈 때 만났다는 말은 추사 측에서 만든 말이고, 올라올 때 비명을 써줬다는 말은 창암 측에서 만든 말이다. 창암의 비문은 추사체가 아니다.   전주 한벽당(寒碧堂) 밑 전주천 냇가에 매운탕 집이 즐비했는데, 그 길섶에 이삼만의 암각이 외롭게 서 있다. 곡성에 가면 옥과(玉果)미술관에 이삼만의 명품이 소장돼 있다. 아산(雅山) 조방원(趙邦元) 화백이 평생 심혈을 기울인 창암 컬렉션이다. 살아 있는 작가의 작품이 고인의 것보다 더 비싼 세태에 누가 그 글씨를 보려 찾아가려나. 창암의 글씨 한 점을 서재에 걸어두어 보고 싶었는데 그 꿈을 이루지 못했다.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이삼 명필 추사가 귀양 전주 한벽당 전주천 냇가

2024-12-15

냇가에 심은 한국학교, 독도 주간 수업

아틀란타 한인교회의 부설기관인 냇가에 심은 나무(TPS) 한국학교(교장 김선희)가 지난주 독도교육주간을 운영했다.   TPS 한국학교는 애틀랜타 한국교육원(원장 김현주)에 의해 독도교육주간 운영 학교로 선정되어 재외동포 학생들에 독도에 대한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 지식과 올바른 역사관 정립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김선희 교장은 "아름답고 소중한 우리 땅 독도를 알리고 기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 감사하다"며 학국교육원과 한국학교 교사들에 고마움을 전했다.     학생들은 '독도는 우리 땅' 노래를 부르고 '독도 사랑' 춤을 추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이어 학생들과 교사들은 흰색 티셔츠에 각자 독도 섬, 독도의 생물 및 자연생태, 독도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 태극기 등을 그리고 입어보는 시간도 가졌다.       이어 중급반에서는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를 역사를 되짚어 글을 작성했으며, 고급반은 현재 독도 거주민 및 군인에게 안부 인사 및 응원의 감사 편지를 썼다.     한편 TPS 한국학교 측은 독도교육주간에서 제작된 물품을 이용해 오는 22일 독도교육주간 전시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람 문의[email protected] 윤지아 기자한국학교 냇가 한국학교 독도 독도교육주간 전시회 지난주 독도교육주간

2022-10-18

[시조가 있는 아침] 냇가의 해오라비 -신흠(1566∼1628)

냇가의 해오라비   무스일 서 있는다 무심한 저 고기를   여어 무삼 하려는다 두어라 한 물에 있거니   잊어신들 어떠리   -병와가곡집   화합과 공생의 정치   냇가의 백로는 무슨 일로 서 있는가? 무심한 저 물고기를 엿보아서 무엇을 하려는가? 같은 물에 있는데 잊어버린들 어떠하겠는가?   이 시조는 신흠이 광해군 때 대북파의 모함으로 유배를 당한 후, 자신의 처지와 대북파의 횡포를 자연물에 비유하여 지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무심한 고기는 사사로운 욕심이 없는 자신의 처지를 비유한 것이고, 그 물고기를 호시탐탐 노리는 해오라기는 권력을 잡은 대북파를 빗댄 것이다. 물고기와 해오라기 모두 같은 나라의 백성이고 신하니, 증오를 잊는 것이 어떠하겠느냐는 소망을 담고 있다.   상촌(象村) 신흠은 선조로부터 영창대군을 보필하라고 부탁받은 일곱 대신 중의 한 사람으로, 1613년 계축옥사 때 유배됐다. 인조반정 후 정묘호란 때 세자를 모시고 전주에 피난 갔다가 돌아와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됐다.   윤석열 정부의 초대 내각에 대한 국회의 인사청문회가 시작됐다. 당선인 측은 청문회를 꺼리는 분위기 탓에 좋은 후보자를 초빙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한다. 자칫하면 평생 쌓아온 명예가 물거품이 될 듯한 청문회 풍경을 보며 신흠의 이 시조가 떠오른다. 과연 바람직한 청문회는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이제는 그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할 때가 됐다.   유자효 / 시인시조가 있는 아침 해오라비 냇가 청문회 풍경 해오라기 모두 윤석열 정부

2022-04-2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