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살며 생각하며] 비슷하면서 전혀 다른 두 이야기

오늘이 입춘, 내일은 정월 대보름이다. 뉴욕·뉴저지는 아직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도 안 되었다 싶은데 벌써 입춘? 헛발질하는 음력을 무안케 하려 함인지 연일 이상기온이 계속 중이다. 아무튼 내일은 상원(上元) 또는 오기일(烏忌日)이라 부르는 계묘년 정월 대보름날이다. 정월 대보름을 오기일(烏忌日) 즉 ‘까마귀 제삿날’로 지킴은 삼국유사가 아래와 같이 그 기원을 설명하고 있다.   신라 소지왕이 정월 대보름날, 궁을 나와 천천정으로 행차를 하는데 갑자기 까마귀와 쥐떼가 나와 시끄럽게 울더라는 것이다. 그런 뒤 쥐 한마리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 가는 곳을 따라가 보라” 하자 왕이 하도 신기하고 놀라워 한 신하에게 눈짓으로 그렇게 하라고 명한다. 명을 받은 신하가 까마귀를 따라 어느 연못에 이르자 돼지 두 마리가 싸우고 있는데 그 모습을 구경하다 아차! 까마귀 행방을 놓쳐버렸다. 당황해하는 신하 앞에 한 노인이 연못에서 올라와 봉투 하나를 건네며 “만약 봉투를 열어 내용을 읽으면 둘이 죽고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는 이상한 말을 남긴 뒤 사라졌다.   궁으로 돌아온 신하가 왕에게 노인이 남긴 말과 함께 문제의 봉투를 건넸다. 이에 임금은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며 편지 읽기를 주저하는데 옆에 있던 일관이 “전하! 두 사람이라 함은 일반인이고 한 사람이라 함은 전하를 말함이니 편지를 읽어심이 좋을 듯하나이다” 하는 것 아닌가. 왕이 옳게 여겨 봉투를 열어 보니 “사금갑(射琴匣) 즉 거문고 갑(케이스)을 쏘세요” 라고 적혀 있다. 왕이 활을 집어 온 힘을 다해 쏘니 화살이 거문고 갑을 관통하였고 시신 둘이 나왔는데 왕비와 인근 사찰의 중이었다. 왕비가 중과 간통한 것도 모자라 이날 밤 왕을 시해코자 거문고 갑 속에 몸을 숨기고 있었다. 이후 정월 대보름이 되면 신라에서는 찰밥을 지어 까마귀를 제사(烏忌日)하는 풍습이 생겼다.   성경에도 까마귀가 등장하는 흥미로운 대목이 있다. 북왕국 왕 아합이 눈이 멀어 이방여자이세벨을 왕비로 삼고 그녀가 가져온 바알을 위해 신당을 세워 제사하는 등 언약 백성의 도를 배반하자 이에 격노하신 하나님이 선지자 엘리야를 아합에게 보내 수년 동안 극심한 가뭄이 올 것을 경고케 하신다. 그런 뒤 엘리야에게는 “요단 앞 그릿 시냇가에 숨어 그곳 시냇물을 마시라. 내가 까마귀들을 명하여 거기서 너를 먹이게 하리라” 하셨고, 실제로 까마귀들이 아침과 저녁에 떡과 고기를 물어와 그를 공궤케 함으로 훗날 갈멜산에서 하나님이 그를 통해 바알이 가짜 신임을 증명케 하신 뒤 바알선지자 450명을 몰살케 하시는 통쾌한 이야기다.   소지왕 이야기는 까마귀의 영험함이 불의한 두 사람을 죽이고 지고지순한 왕의 목숨을 건졌음을 들어 까마귀 제사의 당위성을 말하는 것이라면 엘리야는 오병이어의 기적을 이루시는 하나님의 전지전능하심이 까마귀 같은 미물일지라도 당신 사람의 목숨을 보전케 하는 도구로 사용하실 수 있음을 선보인 사랑 이야기라 할 수 있다.   비슷한 이야기 같지만 의미는 전혀 다르다. 전자가 까마귀를 주연 삼아 ‘임금의 목숨은 하늘이 보호한다’ 같은 뭐? 세뇌성이야기라면, 후자는 창조주 하나님이 우주 만물의 주인 되시니 ‘예배는 하나님 한 분으로 족하다’는 기독교 신앙의 기본을 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김도수 / 자유기고가살며 생각하며 이야기 정월 대보름날 소지왕 이야기 까마귀 제사

2023-02-03

[독자 마당] 새소리로 맞는 아침

어렸을 적 겨울 아침이면 창 밖에서 참새들의 재잘거렸다. 새 볏짚으로 이은 초가 지붕의 낱알을 찾고 있었던 것 같다. 나이든 지금도 동이 틀 무렵, 새들의 명랑하고 맑은 소리를 들으면 마음이 밝아진다. 창밖을 내다보지 않고도 ‘오늘은 날씨가 좋겠구나’ 생각한다. 새 소리가 나지 않으면 이불 속에서 ‘날씨가 흐렸나, 비가 오려나?’하며 바깥 날씨를 짐작한다.     요즈음 집 뒤뜰에 오는 새가 없다. 겨울이 되면서 과일도 야채씨도 사라졌다. 새들이 먹을 만한 것이 없는데다가 새로 이사 온 옆집에는 두 마리 개까지 있다.     뒷골목 팜트리에 까마귀 한 가족이 조용한 동네를 아침마다 시끄럽게 했었다. 그런데 어제 아침 조용해졌다. 웬일인가 했더니 집 주인이 큰 팜트리를 정리해 까마귀가 지어 놓은 집이 없어졌다. 홈리스 까마귀 가족들은 어디로 갔을까?     한국 겨울 텃새인 까치는 아름답다. 겨울날 앙상한 큰 나무 또는 지붕에 날아와 까치가 지저귀면 엄마는 “오늘 누가 찾아오려나?”하셨다. 아침에 까치가 집 가까이 와 지저귀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었다.     까치는 까마귀보다 작지만 새 모양도 흑백의 조화로 아름답고 깨끗하다. 눈 내린 아침, 맑은 햇살에 큰 나무 위에서 울리던 까치 소리는 맑고 청량했다.     새가 사는 곳에는 늘 자연이 있어 좋다. 산에는 산새들이, 물가에는 물새들이 있다. 내린 비에 벌써 가을에 저절로 떨어진 상추, 케일, 들깨의 씨들이 싹을 틔우고 있다. 뒤뜰이 푸르러지면 새들은 먹을 것을 찾아 다시 온다. 벌레들도 생긴다.     그러고 보면 자연의 질서는 공존이다. 식물과 벌레가 있어야 새들이 찾아온다. 또 찾아온 새들은 맑은 소리로 인간에게 즐거움을 준다.     새해에는 까치가 좋은 소식을 전해주기를 기대한다.   박영혜·리버사이드독자 마당 새소리 까치 소리 홈리스 까마귀 지저귀면 엄마

2022-01-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