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LA·OC 인구 30만명 줄었다…아메리칸 커뮤니티 조사 발표

 한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LA카운티와 오렌지카카운티(OC)의 전체 인구가 30만 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스국이 최근 발표한 아메리칸 커뮤니티 조사(ACS) 2022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2년 7월 사이 LA카운티와 OC의 인구가 3%, 1%씩 줄면서 약 30만 명이 감소했다. 반면 리버사이드와 샌버나디노 카운티는 각각 2%, 0.5%의 증가를 기록했다.   카운티별 인구수는 LA가 1001만400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OC 318만6989명, 리버사이드 241만8185명, 샌버나디노 218만1654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LA카운티에서만 외국출생인구가 22만 여명이 감소해 다른 3개 카운티의 외국출생인구 총증가분을 상회했다. 하지만 LA와 OC 거주민 3명 중 1명, 리버사이드와 샌버나디노 거주민 5명 중 1명일 정도로 외국출생인구 비율이 여전히 높았다. 참고로 전국 인구 대비 외국출생인구 비율은 13.9%로 7명 중 1명꼴이다.   4개 카운티의 외국출생인구로는 멕시코계가 가장 많았으며 2010년부터 유입이 증가한 중국계, 한국계를 포함해 베트남, 필리핀계도 로컬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카운티별 중간 가구소득의 경우 OC가 10만6209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리버사이드 8만6748달러, LA 8만2516달러, 샌버나디노 7만9091달러 순이었다.   대졸 이상 학력자 비율은 OC가 43.7%로 가장 높았으며 LA 35.6%, 리버사이드 25%, 샌버나디노 23% 순으로 나타났다.   영어와 스패니시 이외에 카운티별 집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살펴보면 LA의 경우 중국어(36만9000명)가 1위를 차지했으며 타갈로그(필리핀 20만5000명) 아르메니안(17만3000명), 한국어(16만5000명) 순을 기록했다.   OC는 베트남어(19만4000명), 중국어(9만5700명), 한국어(7만3200명), 타갈로그(5만2300명)순이었다.   재택근무 비율은 OC와 LA가 17.8%, 17%인데 비해 리버사이드, 샌버나디노는 각각 11.7%, 11%에 그쳤다. 평균 통근시간은 리버사이드가 33.1분으로 가장 오래 걸렸으며 샌버나디노 32.1분, LA 30.1분, OC 26.7분 순으로 나타났다.     빈곤율은 4개 카운티에서 지난 2018년보다 개선됐지만 65세 이상 인구 빈곤율은 카운티별로 0.8%~1.3% 악화했다.   건강보험 미보유자 비율은 LA 8.2%, 샌버나디노 8.1%, 리버사이드 7.4%, OC 6.3% 순이었다. 박낙희 기자아메리칸 커뮤니티 외국출생인구 비율 카운티별 인구수 센서스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 ACS 한국어 인구 소득 학력 재택 통근

2023-12-10

[센서스국 2021년 ACS 통계] '재택근무' 한인 4배 급증

팬데믹 기간 한인들의 출퇴근 거리는 다소 짧아졌다. 또 한인 실업률이 늘어난 만큼 정부 지원금을 받는 한인도 증가했다.   연방 센서스국이 14일 발표한 ‘2021년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통계에 따르면 전국 한인들의 평균 출퇴근 시간은 27.1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의 30.3분에서 3.2분이 감소한 것이다.   캘리포니아주 한인들의 경우 평균 출퇴근 시간은 28.7분으로 전국 평균 시간보다 1.6분이 길었다. 출퇴근 시간 단축은 재택근무와도 영향이 있다. 한인 재택근무는 팬데믹이 시작되던 2019년(5.9%)보다 무려 4배 이상 늘었다.   ▶생계비 지원 급증   전체 한인 인구의 4.5%가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생계보조금(SSI)을 받고 있었다. 평균 지원금은 8303달러였다. 2019년의 경우 0.1%포인트 적은 4.4%가 혜택을 받고 있었다. 2년 전 평균 지원금은 8057달러였다.     SSI 신청자 규모는 미미하게 변했지만 주 정부나 카운티 정부 등이 지원하는 현금 지원 프로그램과 푸드스탬프를 받는 한인은 눈에 띄게 증가했다. 현금 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전체 한인의 4.4%가 받아 2019년의 1.8%에서 2배 이상 증가했다. 평균 지원금도 2019년 3412달러에서 2배가 늘어 6967달러를 받았다.   푸드스탬프 수혜자 역시 2019년 전체 한인의 6.3%였지만 지난해에는 8.7%가 지원받은 것으로 조사돼 팬데믹 기간 중 소득이 줄어 저소득층으로 전락한 한인들이 증가했음을 보였다.   지난해 가주 정부 지원 프로그램 한인 수혜자는 전국 한인 비율보다 더 높았다.     SSI 수혜자는 가주 전체 한인의 7.6%였으며 평균 7394달러의 지원금을 받았다. 또 현금 지원 프로그램 수혜자는 가주 전체 한인의 5.9%(평균 지원금 7394달러)이었으며, 푸드스탬프 수혜자는 9.9%, 10명 중 1명꼴로 파악됐다.     ▶미성년·싱글맘 빈곤율 증가   한인 빈곤율은 전체 한인의 7.7%로 2019년의 6.9%에서 11.5% 증가했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 빈곤율은 8.5%로 더 올랐다. 배우자 없이 18세 미만 자녀를 키우는 싱글맘 가정의 경우 빈곤율은 28.4%까지 뛰었다. 2019년도의 경우 이 수치는 19.1%였다.   18세 미만 미성년자의 빈곤율도 7.8%로 파악됐다. 특히 18세 미만 중 혼혈을 제외한 한인 아동의 빈곤율은 9.4%로 거의 10명 중 1명꼴로 조사됐다. 혼혈을 포함한 18세 미만 아동의 빈곤율은 7.6%였다.     반면 65세 이상 시니어들의 빈곤율은 2019년 20.3%(혼혈 제외 20.2%)에서 지난해 17.6%(혼혈 제외 17.5%)로 떨어졌다. 이는 팬데믹 기간 중 연방 정부가 추가 지원한 생계보조금과 푸드스탬프 혜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무보험자 감소   의료보험이 없는 한인 비율은 감소했다. 이는 연방 정부의 3차 경기부양법(ARP) 패키지에 따라 저소득층에게 의료보험 혜택을 확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계에 따르면 전국 한인 인구의 25.6%가 공공 의료보험(메디캘/메디케어)의 지원을 받았다. 2019년의 경우 이 비율은 22.8%였다. 특히 메디캘 프로그램 대상자격을 대폭 확대한 가주의 경우 전체 한인의 28.8%가 공공 의료보험 혜택을 받았다. 이는 2019년도의 25.8%에서 3%포인트(11.6%) 증가한 것이다.     한인 무보험자는 전국의 경우 7%, 가주는 5.8%로, 2019년의 8.9%와 9.6%에서 각각 21%, 39% 감소했다. 장연화 기자센서스국 2021년 ACS 통계 재택근무 한인 한인 재택근무 한인 빈곤율 한인 수혜자

2022-09-15

'SD 체감 한인수 산술적으로 규명' 3만3천 인구 발표한 'SNP' 박찬우 실장

한인 커뮤니티가 점차 성장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한인 인구 수 파악은 비즈니스는 물론 대외적 영향력 신장 등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사안이다. 인구관련 공식 자료는 연방센서스국 발표가 유일하나 그 수치가 발표될 때마다 한인 규모는 늘 과소평가되어 온 것이 사실. 이런 시점에 ‘SNP 마케팅’의 박찬우 실장은 샌디에이고 인구를 3만 3000여명으로 통용시켜도 무방하다는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박실장의 산출 논리는 매우 간단하다. 본국의 외교통상부 자료인 재외국민등록현황과 미국 내에서 공식 집계되는 한인 수의 차이를 근거로 샌디에이고 카운티 한인 인구수를 계산해 낸 것. 즉 미국에 나와있다고 본국에 등록하는 한인 숫자가 미국 내에서 한인으로 추산 발표되는 수치 대비 56%이상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2006년도 SD 한인인구수 발표자료에 적용해보니 계산상으로는 정확히 3만 3309명이 산출됐다. 특히 이 수치는 그동안 체감적으로 통용되던 ‘샌디에이고 한인 인구수 3만’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설득력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박실장은 “재외국민등록율 자체가 100%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추산치는 거의 거품 없는 최소 숫자라 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미국 내 인구통계자료의 기반은 10년마다 실시되는 센서스 자료이기 때문에 2010년도 연방인구센서스 조사에 적극 참여하는 것은 향후 10년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SNP 마케팅'은 마케팅 조사 및 토탈 컨설팅 전문회사로 한국의 대표 조사회사인 ‘(주)한국리서치’ 출신의 전문 연구원들이 2005년도에 설립한 회사다. 남가주 지역을 중심으로 현재 한국 대형 마켓과 은행 등의 고객만족도 조사와 다양한 비즈니스의 창업에 필요한 상권 분석 및 언론사와 제조회사의 경영진단을 수행하고 있다.

2008-10-03

'SD 한인은 3만3309명' 통계전문가 박찬우씨, ACS 결과 제기

지난해 말 현재 샌디에이고 카운티내 한인인구를 2만603명으로 추산한 연방센서스국의 '2007년도 아메리칸 커뮤니티 조사(ACS)' 결과가 현실과 너무나도 동떨어진 수치라는 주장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본지 9월27일자 A-21면> 마케팅 컨설팅 전문회사 SNP사의 대표인 통계전문가 박찬우씨는 카운티 한인인구를 3만3309명으로 추산했다. 박씨는 자신이 내놓은 추산치를 놓고 "2006년 실시된 ACS 자료와 본국 외교통상부의 자료를 취합 비교 분석해 나온 수치라 통계학적으로 상당히 신뢰할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박씨는 또 "샌디에이고 카운티는 LA 카운티 및 오렌지카운티와 인접해 있어 상대적으로 한인인구의 비중이 작아 보이는 것도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샌디에이고 카운티의 한인인구는 미 전역의 수 많은 카운티 중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절대 낮은 수준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외교통상부의 자료는 각 지역 영사관의 여권발급건수 및 발급 증가율 그리고 불법체류자 등을 감안해 추산된 것이기 때문에 ACS 결과보다 훨씬 현실성이 있다는 것이 박씨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부동산 업계에서 보는 카운티 한인인구의 규모도 ACS 조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뉴스타부동산의 오지희씨는 "매 10년마다 실시되는 인구 센서스와는 달리 이번 ACS는 표본조사를 통해 추산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따라서 ACS 결과는 실제적인 한인인구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난 수년간 (자신을) 찾는 신규 고객들이 부쩍 늘었다"고 덧붙이기도 한 오씨가 제시한 타당성 있는 한인인구는 3만명 정도. 팀스피릿 부동산의 지나 전씨는 한인인구를 4만명까지 보고 있다. 전씨는 "ACS는 2개월 이상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이 잦은 유학생이나 불법체류자들은 포함될 수 없다"고 말하고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실제적인 한인인구는 3만5000명부터 4만명 정도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류태호 기자 thryu@sdjoins.com

2008-09-30

연방센서스국 발표, SD 한인 20000명 돌파···7년새 8599명 증가

샌디에이고 카운티에 2만명이 넘는 한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방센서스국이 지난 22일 발표한 '2007년도 아메리칸 커뮤니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샌디에이고 카운티내 한인 인구를 2만603명으로 추산했다. 이 수치는 카운티 한인인구를 2만1303명으로 추산했던 2006년도 조사결과보다는 700명이 감소한 것이지만 1만2004명으로 최종 집계한 '2000년 인구센서스' 결과보다는 7년 사이 무려 8599명이 증가한 것이다. 2000년대 들어 매년 1000명 이상의 한인이 꾸준히 증가한 셈이다. 카운티 전체 인구는 297만4859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를 기준으로 할 때 한 인 인구의 비율은 0.7% 정도다. 도시 별로 보면 카운티 최대의 도시인 샌디에이고시에 전체 한인인구의 절반 이상인 1만165명이 살고 있으며 제2대 도시인 출라비스타에는 3095명이 살고 있다. 또 칼스배드에는 1303명의 한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2006년에 비해 무려 215%나 증가한 수치다. 한인인구의 뚜렷한 증가세는 가정에서 쓰는 외국어의 현황에서도 파악할 수 있다. 이 조사에 따르면 5세 이상의 인구를 기준으로 했을 때 1990년 당시 샌디에이고 카운티에서 한국어를 쓰는 인구는 4902명이었으나 17년이 지난 2007년에는 이보다 217%가 증가한 1만5540명이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조사대상이 됐던 세계 13개 언어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아시안계 인구는 30만7032명으로 카운티 전체 인구의 10.7%를 차지하고 있다. 아시안계 중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한 인종은 필리핀계로 13만913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중국계(4만1175명)와 베트남계(4만901명)가 뒤를 이었다. 일본인은 한인보다 550명이 적은 2만50명으로 조사됐다. 류태호 기자 thryu@sdjoins.com

2008-09-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