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바다 사자들의 독백

최경애 수필가
본래의 주인이신 하느님께서 인간 관리인에게 우리를 잘 보호하도록 임시로 위탁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도 너무하는 관리인의 폭력을 더 이상 보고만 있을 수가 없어서 창조주 하느님께 고발하려고 합니다.
우리 동료 중의 하나가 처참히 맞아 죽어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서글서글한 눈망울과 수염 난 주둥이가 피투성이 되도록 우리 물개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거든요. 왜, 무참히 살해 당했는지 우리는 영문을 모릅니다. 들리는 말로는 우리가 물고기를 너무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관리인 어부의 밥숟갈을 빼앗는다고 분풀이를 했다는군요.
하느님! 이래도 되는 겁니까? 인간들은 우리 물개들을 잡아서 기름을 짜내어 영양제와 화장품을 만드는 것도 부족해 우리 생식기까지 탐냅니다. 멸종될 뻔 했던 우린 자연보호 운동가들 덕분에 생존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이 바다도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우리는 끼니만 채우면 물 밖으로 나와 따뜻한 햇빛에 일광욕을 즐기지만 다른 물고기들은 플라스틱인지 뭔지 하는 쓰레기 때문에 내장이 터져서 죽어 간다고 합니다.
생명의 창조자이신 하느님, 도와주세요. 멋지게 만드신 대양의 참 모습을 파괴와 폭력으로부터 지켜주세요.
저희 물개들이 다른 물고기들과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을 인간 관리인들이 인정해 주면 오죽 좋으련만 그렇지 않은 현실이 염려 됩니다.
지구의 속사정을 알아채는 일은 우리 물개들이 인간 관리인 보다 훨씬 앞서 있습니다. 인지능력이라고 하는데, 능력으로 부르기엔 우리는 그저 자연의 일부일 뿐이지요. 자연에 동화될 수 있었던 비결은 경외심이었습니다. 우주를 창조한 하느님의 존재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풍랑이 이는 바다 한가운데에서도 평화롭게 생존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 물개들의 눈에도 물 밖의 세상이 험악하게 보입니다. 아니, 보일 뿐만 아니라 우리한테도 불똥이 튀어 바다 깊은 곳으로 숨어들게 합니다.
우리는 바다의 보호를 받고 있지만 인간 관리인들의 사정이 딱해보입니다. 안전한 곳이 없는 것 같아서지요.
그런데 자기들의 거주지를 보존하려는 의지도 없어 보입니다. 물고기들은 쓰레기 때문에 숨이 막힙니다만 우리가 물고기를 많이 잡아먹는다고 우리 동료를 때려 죽일 것이 아니라, 정신을 차리고 청지기의 사명을 쇄신해야 하지 않나요.
지구가 괴로워하고 있는데 어찌 그리 눈 하나 깜빡이지 않는 것인지 우리들은 울화가 터집니다.
우리도 지구 공동체의 일원인지라 마음 같아서는 일손을 보탰으면 합니다. 그러나 아시다시피 저희는 바다를 벗어날 입장이 아니지 않습니까. 지구의 이변은 모든 생명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옵니다. 생사의 갈림길에 서있다는 사실을 그들은 모르고 있습니다.
최경애 / 수필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