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남가주 은퇴자 인기 커뮤니티 어디?

[한인 은퇴자 "어디서 살까?"]
<3>실비치 vs 라구나우즈 vs 라미라다
레저월드, 남가주 최대 규모
라구나우즈 90%가 은퇴 주택
라미라다, 한인상권 10분 거리
평균 입주 연령 70대 초중반

남가주에는 은퇴 후 안전하고 여유롭게 노년의 삶을 보낼 수 있는 시니어 리빙 커뮤니티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다.  
 
이중 한인 시니어들이 선호하는 대표적인 은퇴촌은 실비치 ‘레저월드’, 라구나우즈 ‘라구나우즈 빌리지’, 라미라다 ‘랜드마크’다. 시니어 커뮤니티는 이민생활이라는 공통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한인 시니어들과 함께 노후를 보낼 수 있어 인기가 높다. 최근 랜초 미션 비에호 등에도 새로운 은퇴단지가 계속 건설되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대부분 한인 시니어는 다운사이징으로 시니어 리빙 커뮤티니 주택을 찾는다. 대부분 코옵 스타일로 80~90%는 현금으로 주택을 구입한다. 부부 중 한 사람이 55세 이상이면 입주가 가능하지만, 평균 입주 나이는 70대 초중반이다.    
 
▶실비치 ‘레저월드’  
실비치 레저월드

실비치 레저월드

남가주 최대 규모의 시니어 커뮤니티인 레저월드는 은퇴를 앞두고 다운사이징을 하면서 자금을 확보하려는 시니어들 사이에서 인기다.  



일단 위치가 좋다. 실비치에서 1.5마일로 바닷가가 인접해 있고 풀러턴 한인상권 25분, LA한인타운은 35분 거리에 있다.  

공기가 맑고 환경이 쾌적한 데다 24시간 시큐리티 서비스가 가동되는 게이트 커뮤니티다.  

9홀 골프코스, 헬스케어센터, 우체국, 은행, 도서관, 수영장, 대형 야외극장, 피트니스센터에 이르기까지 생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와 시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런 편리한 서비스로 인해 6400세대, 9000명이 거주하는 대규모 단지에 거주하는 한인 시니어는 1000명 이상이나 된다.  

레저월드에 거주하는 버크셔 헤서웨이 박윤택 에이전트는 “2011년 입주 당시 300여명이었던 한인 시니어들이 2019년부터 1000명 이상으로 폭증했다”며 “입소문이 나고 한인 신문에 시니어 커뮤니티 기사가 자주 나오면서 전국에서 문의가 쏟아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한인 시니어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지만, 막상 ‘레저월드’ 입주는 상당히 까다롭다.  

재정 서류는 2년간 세금보고 사본, 2만5000달러 혹은 5만 달러 이상 6개월 동안 은행 및 금융기관 예치 사본 등이 필요하다.  

주택 가격은 4~5년 전만 해도 20만 달러대였지만 지금 1베드룸 22~28만 달러, 2베드룸은 30~40만 달러대로 주택 가격을 일시불로 지불해야 한다.  

50만 달러 주택 기준 월 HOA 300~400달러, 월 재산세 400달러, 총 700~800달러의 4배 정도 소득이 필요하다.  

좌쉬아 김 뉴스타부동산 가든그로브 명예부사장은 “은퇴 후 수입 및 자산 증명이 생각보다 쉽지 않아 은퇴단지 구입에 제약이 있었다”며 “레저월드는 양도성예금증서(CD), 홈에퀴티 등을 정규 수입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마련해 자격 요건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라구나우즈 ‘라구나우즈 빌리지’
라구나우즈 '라구나우즈 빌리지'

라구나우즈 '라구나우즈 빌리지'

남가주의 대표적인 시니어 커뮤니티 중 하나인 라구나우즈 빌리지는 총 1만2736채로 프라이빗 게이트 내 있다. 90% 이상 주택이 라구나우즈 빌리지에 있어 라구나우즈를 시니어의 도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구나비치에서 10분 거리에 2개의 골프코스를 비롯해 수영장, 피트니스, 테니스코트, 승마장, 도서관 등 편의시설이 가득하다.  

클레어 나 서테르프로퍼티 에이전트는 “뉴저지, 뉴욕, 시카고 등 추운 동부에서 따뜻한 지역을 찾아 남가주로 이주한 한인 시니어들이 많다”며 “단지가 커서 한인 동호회 280여개가 활발하게 활동 중”이라고 말했다.  

주택을 구매하려면 55세 이상이어야 하고 연 4만~4만5000달러 소득과 자산 12만5000달러를 증명해야 한다. 주택을 구입을 할 때 GRF 비용으로 5000달러를 내야 하는데 시니어타운 내 많은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이곳 시니어 주택은 콘도, 코옵, 타워 3가지 유형이 있다. 콘도인 서드 라구나힐스 가격은 30만~110만 달러, HOA는 680달러 정도다.  

코옵 형태인 유나이티드 라구나 우즈는 캐시 구매만 가능하며 HOA는 600달러 정도다. 한국 실버타운과 유사한 타워는 HOA가 1인 기준 2200달러인데 공과금, 저녁식사, 청소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  

 
▶라미라다 ‘랜드마크’
라미라다 ‘랜드마크’

라미라다 ‘랜드마크’

풀러턴과 부에나파크 한인 상권에서 1.5마일, 차로 10분 정도 거리여서 한인 시니어들의 선호도가 높다.  

55세 이상 입주가 가능하고 1~3베드룸 주택 가격은 40~70만 달러, HOA는 440~700달러 정도다. 총 521가구 중 330가구가 한인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해 자체 한인회도 운영되고 있다.  

제니 배 뉴스타부동산 가든그로브 명예 부사장은 “콘도지만 단층 구조라서 시니어들의 선호도가 높다”며 “코옵이 다른 시니어 커뮤니티와 다르게 일반 매물이어서 주택구입 때 융자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은영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