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중앙시평] 왜 이제 와서 ‘오펜하이머 신드롬’인가

세계적 오펜하이머 신드롬에다 1980년대부터 과학사 강의를 했던 터라 간만에 영화관을 찾았다. 흑백과 천연색의 비선형적 스토리 전개에서 휙휙 바뀌는 화면을 따라잡느라 3시간 내내 긴장했다.
 
과학사에서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넘어가던 전환기, 정치·경제적으로 1930년대 대공황을 겪으며 파시즘에 대항할 이데올로기로 공산주의에 대한 향수에 젖었던 격동기, 그 시대를 산 비범한 과학자가 제2차 세계대전의 신무기 개발 주역으로 이룩한 성취, 이후 세상의 파멸에 대한 공포 때문에 냉전시대 마녀사냥에 희생된 비극의 역정은 인간성의 이중성과 과학기술문명 자체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각본의 원작은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2006년 퓰리처상)다.
 
맨해튼 프로젝트는 역사상 가장 모험적인 산학연군관 프로젝트로 뉴멕시코주 로스앨러모스 ‘원자도시’를 비롯해 테네시주 오크리지 우라늄235 생산시설, 워싱턴주 핸포드 플루토늄 생산 원자로와 분리공장, 전국 각지의 대학에서 60만 명이 참여했다. 원자도시에 모여든 6000여 명 중 90%는 자신의 임무가 원자탄 제조의 일부인지도 모르는 채 수수께끼 풀이에 몰두했다. 투입 예산은 22억 달러(현재 가치 330억 달러)였다.
 
개발 과정은 고전과 갈등의 연속이었다. 과학기술계는 자율성을 중시하고, 군은 보안 위주의 관료주의를 고수했다. 기업의 경영진과 기술진, 과학자와 엔지니어 간의 긴장도 증폭됐다. 불확실성과 혼돈의 현장을 통합으로 이끈 ‘진정한 지도자’가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오피)였다. 프로젝트의 총책 레슬리 그로브스 장군은 자신이 가장 잘한 결정이 오피를 과학 총괄의 로스앨러모스 연구소장으로 발탁한 것이라 했다.
 
영화는 1954년 오피의 안보 청문회와 1959년 루이스 스트로스 상무장관 후보의 청문회를 긴박하게 오간다. 관련 인물의 성격과 신념 차이, 수소폭탄 개발을 둘러싼 이견, FBI 기밀문서 등 정치 상황이 얽혀 모두 패자가 된다. 오피는 공산주의와 엮인 배신자로 망가졌고, 스트로스는 상원 표결에서 46대 49로 상무장관 대행으로 그쳤다. 부결표를 던진 케네디 상원의원은 1963년 4월 대통령으로 오피에게 미국 과학자 최고의 영예인 페르미상을 수여하기로 서명한다. 그러나 그는 암살되고 2주일 뒤 존슨 대통령이 시상한다.
 
1944년 연합군이 독일 원자탄 개발이 초보 단계임을 확인하게 되자, 과학계의 핵무기 반대 움직임이 가시화한다. 그때 로스앨러모스를 떠난 과학자는 영국의 조셉 로트블랫경 한 명이었다. 닐스 보어는 원자탄 개발 이후의 세계의 분열상을 경고하며 원자력의 국제적 관리를 주장했다. 1939년 아인슈타인을 찾아가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신에 서명을 받았던 시카고 그룹의 레오 실라르드도 원자탄 투하 반대에 나섰다. 그러나 투하 결정은 군부와 트루먼 대통령의 몫이었다.
 
프로젝트 초기에 제기된 질문 중 하나는 원자폭탄 폭발이 대기 중에서 계속 연쇄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었다. 영화에는 오피가 그 계산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은 아인슈타인을 찾아가는 장면이 나온다. 이는 픽션으로 실제로 만난 것은 시카고 그룹의 아서 H 콤프턴이었다. 놀런 감독은 일부러 관중이 잘 아는 아인슈타인을 택했다고 했다.
 
2022년 12월 제니퍼 그랜홀름 미 에너지부 장관은 “오펜하이머에 대한 편견과 불공정의 증거가 밝혀졌고, 그의 애국심을 확인해 스파이 혐의를 철회한다”고 했다. 핵무기 과학사학자 알렉스 웰러스타인은 이제 와서 정부가 스스로 과실을 인정하는 게 놀랍다고 했다. 이전에 출간된 책들도 다시 화제다. 냉전시대 핵무기 경쟁까지 다룬 리처드 로즈의 『원자폭탄 만들기』(1988년 퓰리처상),  맨해튼 프로젝트 이후 미국이 과학으로 세계 강국이 되는 정치·사회적 배경까지 그린 데이비드 캐시디의 『J. R. 오펜하이머와 미국의 세기』(2004년) 등이다.
 
전쟁의 조기 종식을 위한 애국심으로 원자탄 개발을 지휘했으되 수소폭탄 개발과 핵확산을 반대했던 오피, 그가 두려워했던 것은 ‘의도치 않게’ 대량살상무기 개발 경쟁이 세상을 파멸시키는 연쇄반응, 핵 홀로코스트였다. 힌두교와 인도문학에도 심취했던 그는 1965년 NBC 인터뷰에서 힌두교 경전 『바가바드기타』에 나오는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됐다”를 인용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전술핵무기 사용 가능성이 언급되고, 가장 빈곤한 국가에 속하는 북한이, 오피의 예측대로, 개발 비용이 낮아진 핵무기를 소유하게 된 상황은 그의 공포를 긴박하게 현실화하고 있다. 1962년 케네디와 흐루쇼프는 핵전쟁 종말의 공포를 경험한 세대라서 핵전쟁을 피해갔다. 그 역사적 기억은 날로 흐려지고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의 진화가 어디까지 가서 ‘의도치 않은 결과’를 빚게 될지 알 수 없는 상황, 그 잠재적 공포가 오펜하이머 신드롬의 배경이란 생각이 든다.

김명자 / 카이스트 이사장·전 환경부장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