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메멘토 모리! 카르페 디엠! 아모르 파티!
한국어의 세계화가 눈부시다. 세종대왕께서 얼마나 기뻐하실지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세계 여러 곳에서 대접을 받는다고 하니 어깨가 으쓱 올라간다.엄청난 K-팝 열풍 덕분에 한국어를 배우는 젊은이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유네스코가 제정한 문맹 퇴치 공로상 이름이 ‘세종대왕 문해상’이고,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은 한글을 모국어로 채택했고 등등…. 이런 예를 들자면 정말 많다. 자랑스럽다.
하지만, 내가 지금 말하려는 한글의 세계화는 그런 것이 아니라, 한국어에 들어와 세력을 펼치고 있는 외래어에 관한 것이다. 영어가 우리말처럼 천연덕스럽게 쓰인 지는 벌써 오래되었고, 지금은 불어나 이태리말, 스페인어 등도 많이 쓰이는 모양이다. 게다가 일본말 찌꺼기도 아직 많이 남아 있다. 그야말로 국제적으로 화려하다.
이상야릇한 콩글리시에, 홍수처럼 발명되는 신조어에, 한없이 밀려오는 외래어…. 정말 복잡다단하다. 상업 제품 이름, 가게 상호, 고급 아파트 이름에 사용되고, 언론이 거르지 않고 마구 쓰고, 드디어는 보통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도 저항 없이 사용된다. 그중에는 미국에 사는 나도 모르는 영어도 적지 않다.
죽은 언어(死語)인 라틴어도 있다. 흔히 쓰이는 말 중에 메멘토 모리, 카르페 디엠, 아모르 파티 같은 멋쟁이(?) 말은 라틴어다. 이제 한국 사람들은 라틴어까지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그야말로 세계인이 된 것이다. 라틴어는 소멸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오래전 죽은 언어다. 라틴어를 모국어로 삼은 나라는 이제 없다. 그런데 대한민국에서 부활할 조짐이 보이는 것이다. 얄궂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는 ‘죽음을 기억하라’는 말로 고대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가 지은 시에 나오는 명언으로 유명하고, 이어령 선생이 생전에 강조하던 생명의 진실이기도 했다.
카르페 디엠(Carpe diem)은 ‘현재를 즐겨라’ 또는 ‘이 순간에 충실해라’로 번역되는데, 로빈 윌리엄스가 주연으로 열연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덕분에 널리 알려졌다.
아모르 파티(Amor fati)는 ‘운명을 사랑하라(運命愛)’로 흔히 번역되는데, 철학자 니체의 책 ‘즐거운 학문’에 나오는 유명한 말이라고 한다. 우리에게는 가수 김연자의 노래 덕에 널리 알려졌다.
하나같이 심오한 뜻의 말씀들이다. 라틴어로 말하면 한결 멋있고 의미심장하고, 뭔가 그럴듯하게 보인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즐겨 사용하는 모양이다.
라틴어를 아는 분에 따르면, 이것 말고도 상당히 많은 라틴어가 우리말처럼 쓰이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코로나(왕관), 아쿠아(물), 아모르(사랑), 디바(여신), 페르소나, 호모 사피엔스, 보너스, 유비쿼터스, 무시카 등등….
그런데, 이걸 꼭 라틴어로 해야 하는 건지 의심스럽다. 메멘토 모리나 생자필멸(生者必滅)이나 그게 그거고, 이 순간에 최선을 다하라, 운명을 사랑하라는 우리말로도 충분히 통하는데 구태여 라틴말을 써야 하나?
언어는 우선 의사소통의 수단이지만, 생각과 영혼을 담는 그릇이기도 하다. 한 사람이나 나라의 품격을 상징하기도 한다. 말이 곧 정신이다. 그러니까, 민족정신을 올곧게 지키려면 지나친 외국어 사용을 절제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지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세종대왕께 아부하자는 게 아니다.
어디선가 근엄한 꾸짖음 소리가 들려온다.
“여보슈, 그런 걱정할 시간 있으면 영어공부나 하슈. 재미동포 주제에!”
“아, 소생은 영포중생이 올시다.”
“영포중생? 그건 또 뭐요?”
“영어를 포기한 중생!”
장소현 / 시인·극작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