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나는 한국말 못 해도, 내 아이는 배웠으면”

#. 뉴욕 롱아일랜드의 한인 2세 이 모 씨. 이 씨는 지난달부터 8살 딸을 데리고 매주 주말 한글학교로 향한다. 1970년대 미국으로 이민 온 이 씨의 부모님은 일하느라 바빠 이 씨에게 한국어를 가르치지 못했다. “성인이 된 후 나를 ‘코리안-아메리칸’이라고 소개했지만, 정작 한국어로는 인사 정도밖에 할 줄 모르는 스스로가 부끄러웠다”는 그는 “나는 한국말을 못 하지만, 내 아이는 제대로 배워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굳건히 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K-팝 열풍, K-드라마의 선풍적인 인기 등에 힘입어 한국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과거와 달리 자녀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한인 부모들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예전에는 누가 물어보기 전까지는 한국에서 왔다는 말도 안했어요.”     1950~1970년대 미국에 도착한 이민 1세대들은 자녀에게 한글을 가르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생계 유지 때문에 여력이 없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자녀가 주류 사회에 더 빨리 적응했으면 하는 마음에 의도적으로 한글을 가르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미주한국어재단 이광호 이사장은 “이민 초기에는 자녀를 빨리 적응시키기 위해 한국어를 쓰면 꾸중을 할 정도였다”며 “당시에는 한글학교도 몇 개 없어 멀리 사는 한인 자녀들은 의지가 있어도 한국어를 배우기 어려운 환경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2024년 현재, 뉴욕 롱아일랜드시티에서 한글학교를 운영 중인 조이스 김씨는 “아이들 반은 물론, 부모와 함께 한국어를 배우는 클래스도 마감된 상태”라며 “어릴 때 한국어를 배우지 못한 한인 2세 부모들이 자녀와 함께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부끄럽게만 느껴져 사용을 지양했던 언어에서 자랑스러운 우리의 모국어로 탈바꿈하기까지 수십년의 시간이 걸린 것이다.     미국에서 태어난 한인 2세 김 씨는 “우리 어릴 때는 몇몇 교회에서 운영하는 한글학교를 제외하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다”며 “지금은 기회가 훨씬 늘어나 많은 2세 부모들이 어릴 때부터 자녀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뉴욕한국교육원에 따르면 올해 뉴욕 일원에서 운영 중인 한글학교는 총 87개, 학생 수는 7268명에 달한다.     김 씨는 “한글학교 운영 초기에는 10명 중 3명 정도가 교포 학생이었으나, 현재는 절반 이상이 한인 2.5~3세 혹은 한국 혼혈 학생들”이라고 설명했다.   어릴 적 한글을 배운 2세 부모들 역시 자녀를 데리고 한글학교를 찾는다.     뉴저지 참지혜한글학교 권미숙 교감은 “한글학교에 오는 2세 부모들은 크게 세 가지”라며 “본인이 한국어를 못 배운 아쉬움에 자녀를 데리고 오는 경우, 어릴 적 한글학교에 가기 싫었지만 결국 배워 놓으니 성인 된 이후 취업에 도움이 되는 등 활용도가 높아 자녀도 가르치려는 경우, 배우자가 타민족이라 집에서 영어만 써서 외부 기관에서라도 한국어를 배우게 하려는 경우 등”이라고 전했다.     다만 한글학교에 보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권 씨는 “20년 넘게 미국에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지만, 예전에 비해 학생들의 한국어 수준은 떨어지는 추세”라고 밝혔다.     한국어보다 영어 사용이 편한 부모들이 많아지다 보니, 주말에 잠깐 배운다고 해도 실력 향상이 더디다는 설명이다. 권 씨는 “2세 부모들도 한국어를 함께 배운다거나, 집에서도 한국어로 대화하는 비율이 높아져야 제대로 된 한글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글·사진=윤지혜 기자한국말 훈민정음 미주한국어재단 이광호 한국어 교육 한국어 수준

2024-10-08

[아름다운 우리말] 훈민정음 게임

‘훈민정음 게임’은 ‘신서유기’나 ‘지구오락실’ 등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유명해진 게임입니다. 저 역시 대학 다닐 때 국문학과 동기들과 비슷한 게임을 한 적이 있어서 추억에 젖기도 한 게임입니다. 외래어를 우리가 얼마나 많이 쓰면서 사는지 깨닫게 되는 게임이고, 외국어 없이 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만드는 게임입니다. 도대체 게임의 진도가 안 나갑니다. 계속 외래어를 써서 원점으로 돌아오는 모습이 시청자에게 웃음을 줍니다.     이 게임은 일단 두 팀 정도로 나누어서 게임 시간 동안 외래어, 외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룰을 갖고 있습니다. 리더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피디의 신호에 따라 게임은 시작됩니다. 잠깐 게임을 소개했습니다만 벌써 여러 개의 외래어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래어나 외국어를 쓰지 않고 생활하는 것은 장난이 아닙니다.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입니다. 만약 순우리말만 쓰라고 하고, 한자어(漢字語)까지 못 쓰게 하면 미칠지도 모릅니다. 사실 순우리말이라는 말에서 순(純)도 한자어입니다.   훈민정음 게임 소개에는 외국어를 쓰지 않는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외래어도 포함해야 합니다. 외래어와 외국어는 다른 말입니다. 외래어는 이미 우리말에 들어와서 자연스럽게 쓰이는 말이고 대체 불가능한 말인 경우도 많습니다. ‘버스’나 ‘커피’가 대표적인 외래어입니다. 이 말을 다른 말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훈민정음 게임에는 외래어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더 어려운 겁니다.   외래어 중에 대체 가능한 말도 있지만 아무래도 느낌이 달라져서 어색한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컵’과 ‘잔’은 어떤가요? 많은 외국어가 한국어 속으로 들어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영어 표현과 한국어 표현은 비슷하면서도 다릅니다. ‘단순하다’와 ‘심플하다’는 같은 말이 아닙니다. ‘공책’과 ‘노트’는 같은 말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순우리말과 외래어, 외국어 사이에는 이렇게 미묘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래어나 외국어를 모두 배척해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이미 우리의 삶은 외래어 투성이입니다. 사람들에게 하루를 묘사해 보라고 하면 외래어가 쏟아져 나옵니다. 아마도 외래어 없는 일상을 써 보라고 하면 난리가 날 겁니다. 작문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그 만큼 외래어는 생활이 되었습니다. 간단히 아침에 집을 나서기 전까지의 일상 묘사의 예를 볼까요?   아침에 스마트폰의 알람소리에 잠을 깹니다. 일어나서 샤워를 합니다. 샴푸와 린스를 합니다. 샤워 후 드라이를 하고, 스프레이를 뿌리고, 로션을 바릅니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아침으로는 커피에 토스트, 약간의 셀러드를 먹습니다. 티셔츠, 니트, 스커트, 코트 등을 입고 집을 나섭니다. 아파트의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 버스나 택시를 타고 일하러 갑니다.   어떤가요? 이제는 종종 한자어보다도 외래어가 더 많아졌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엄청난 홍수입니다. 저는 외래어 사용을 반대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물론 같은 의미에서 한자어의 사용도 반대하지 않습니다. 언어는 소통의 도구라고 보기 때문에 소통에 도움이 된다면 외래어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몇 가지 생각할 점은 있습니다. 외래어나 외국어를 사용하는 게 남을 무시하거나 나의 우월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면 문제가 됩니다. 오히려 소통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순우리말이 있음에도 외래어를 굳이 쓰는 것도 그다지 좋아 보이지는 않습니다.     끝으로 한 가지 설명을 더 드리자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말이 아니라 문자입니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자면 게임명이 잘못된 것입니다. 훈민정음은 한글의 원래 이름입니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은 소통을 위해서 태어난 문자입니다. 어리석은 백성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게 훈민정음에 나타나있는 정신입니다. 쉽고 편안한 의사소통을 하기 바랍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훈민정음 게임 훈민정음 게임 외래어 외국어 외래어 사용

2023-08-06

[문장으로 읽는 책] 사람사전

두 개의 칼. 두 개의 칼이 누군가를 공격하려면 먼저 마음을 모아야 한다. 한마음이 되어야 한다. 오차 없는 동 타임에 양쪽에서 치고 들어가야 보기 좋게 상대를 두 동강 낼 수 있다. 하지만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두 개의 몸이 하나의 마음 갖는 일이다. 그래서 가위는 칼 두 개를 한몸에 붙여버렸다.   -정철 『사람사전』   ‘사람이 먼저다’라는 명 카피로 알려진 카피라이터 정철의 책이다. ‘세상 모든 단어에는 사람이 산다’란 부제와 함께다. 1234개 단어를 통해 인간과 삶을 얘기한다. 윗글은 ‘가위’ 편이다. 세상이 온통 두 동강 나서 화해를 모르는 건, 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치는 시절에도 마찬가지다. 제대로 된 가위질이 가능할까 싶다.   명 카피라이터다운 섬세한 언어 감각과 위트가 눈길을 끈다. “근육을 키우면 쥐구멍에 따라 들어갈 수 없고, 다이어트를 하면 쥐를 이긴다는 보장이 없다. 어떻게 해야 할까. 쥐를 잡지 않으면 된다. 인생은 짧다. 짧은 인생을 짧지 않게 사는 방법이 포기다.” ‘고양이’ 편이다.   첫 번째 단어는 “훈민정음 시절부터 줄곧 자신이 자음의 우두머리였음을 기억”하는 ‘ㄱ’. 저자는 여기에 “경직을 키읔이 비웃는다. ㅋㅋㅋ”이라고 덧붙였다. 맨 마지막 단어는 ‘힘’이다. “그대가 첫 페이지부터 한장 한장 넘겨 여기까지 왔다면 이런 말을 드린다. 힘드셨죠? 맨 마지막 단어는 과연 뭘까 궁금해 다 건너뛰고 여기에 왔다면 이런 말을 드린다. 힘내세요.” 서로 힘내자는 격려가 절실한 요즘이다. 양성희 /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문장으로 읽는 책 사람사전 카피라이터 정철 마지막 단어 훈민정음 시절

2022-11-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