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낯섦’이 낯설다고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새로운 곳에서 느끼는 ‘낯설음’은 나를 항상 설레게 만든다”와 같은 게시 글이 많이 올라와 있다. 이처럼 ‘낯설다’를 명사형으로 만들 때 ‘낯설음’이라고 쓰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므로 주의해 써야 한다.   우리말에서는 용언(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동사, 형용사)을 명사형으로 만들 때 받침의 유무에 따라 ‘-ㅁ’이나 ‘-음’을 붙인다. 용언의 어간에 받침이 없을 땐 ‘-ㅁ’을 붙이고, 받침이 있을 땐 ‘-음’을 붙여 명사형을 만든다.   예를 들어 ‘설레다’는 어간 ‘설레-’가 받침 없이 끝나므로 ‘-ㅁ’을 붙여 ‘설렘’이라고 명사형을 만들면 된다. ‘귀찮다’의 경우엔 어간 ‘귀찮-’이 받침 있는 말로 끝나므로 ‘-음’이 붙어 ‘귀찮음’이 명사형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용언의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날 땐 ‘-음’이 아닌 ‘-ㅁ’을 붙여야 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 써야 한다. 한글맞춤법 제19항에는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따라서 ‘만들다→만듦’ ‘줄다→줆’ ‘힘들다→힘듦’ 등과 같이 원형을 밝혀 적는다.   ‘낯설다’는 어간이 ‘낯설-’로, ‘ㄹ’ 받침으로 끝난다. 따라서 명사형을 만들 때 ‘-음’이 아닌 ‘-ㅁ’을 붙여야 하므로, ‘낯설음’이 아닌 ‘낯섦’이라 해야 바른 표현이 된다.우리말 바루기 한글맞춤법 제19항 동사 형용사

2024-07-16

[아름다운 우리말] 형용사 명령형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우리말의 특징을 이야기하라고 하면 몇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우선 제일 많이 이야기하는 높임법의 발달이 있습니다. 물론 정확히 말하자면 ‘상대높임법’의 발달입니다. 즉, 듣는 사람이 누구인가에 따라 하는 말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하는 말과 어른에게 하는 말, 가까운 사람에게 하는 말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 하는 말, 윗사람에게 하는 말과 아랫사람에게 하는 말, 공식적인 말과 비공식적인 말은 다 다릅니다. 이렇게 상대에 따라 말이 달라지는 언어는 거의 없습니다. 특징이라고 할 만합니다.   의태어의 발달도 특이한 점입니다. 모양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말이 발달한 언어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는 많은 언어에 있습니다만, 의태어의 발달은 특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걷는 모습만 해도 엄청나게 많습니다. 아장아장, 어슬렁어슬렁, 터벅터벅, 성큼성큼, 뚜벅뚜벅, 어기적어기적, 살금살금, 슬금슬금 등 당장 떠오르는 말만 해도 많습니다. 의태어는 변화하는 모습을 잘 관찰하는 우리의 태도를 보여줍니다. 의태어는 단순히 흉내 내는 말이라기보다는 ‘묘사’하는 말입니다.   변화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생긴 또 다른 우리말의 특성은 바로 형용사의 발달입니다. 형용사는 기본적으로 상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 상태가 항상 그대로인 것이 아닙니다. 계속 바뀝니다. 대표적인 것이 색깔이지요. 색깔은 그대로 멈추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날씨에 따라, 바람에 따라, 빛에 따라, 내 마음에 따라 조금씩 변해 갑니다. 어제의 색이 오늘의 색이 아니고, 오늘의 색이 내일의 색이 아님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말에서는 색깔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엄청나게 발달합니다. 붉다, 빨갛다, 뻘겋다, 붉으스레하다, 발그레하다, 붉으죽죽하다, 새빨갛다, 시뻘겋다 등 금방 떠오르는 표현도 많습니다. 노랗다도 마찬가지죠. 누르다, 누렇다, 노르스름하다, 노릇노릇하다, 누리끼리하다, 샛노랗다, 싯누렇다 등 단어가 줄을 잇습니다.   그런데 단어의 모양으로만 보면 우리말은 형용사가 동사와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먹다와 좋다, 공부하다와 조용하다’를 보세요. 영어나 일본어는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이 형태나 문법으로도 명확합니다. 의미까지 따지지 않아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말에서는 형태로는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의미로도 혼동이 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몇 가지 구별 방법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구별법이 형용사에는 관형사형 어미인 ‘-는’을 쓸 수 없다는 겁니다. 조용하다와공부하다의 경우 둘 다 같은 품사로 보이지만 공부하다는 ‘공부하는 사람’이라는 표현이 가능한 반면, 조용하다는 ‘조용하는’ 사람이라는 표현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조용하다는 형용사인 겁니다. 깨끗하다, 맑다 등을 생각해 봐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형용사는 주로 명령형이 안 된다는 점을 이야기합니다. 보통은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기 때문에 명령에 쓰기가 어렵습니다. 명령은 주로 동작에 쓰입니다. ‘가다 - 가라, 먹다 - 먹어라, 공부하다 - 공부해라’처럼 동사는 명령이 쉽습니다. 그런데 형용사 중에도 명령이 가능한 경우가 있어서 흥미롭습니다. 분명 상태이지만 그 상태를 화자가 좋아하면 명령이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위에 언급한 조용하다의 경우도 ‘조용해라’라는 표현이 가능합니다. 물론 ‘조용히 해라’가 더 자연스러울 수는 있겠습니다.   형용사의 명령형이 자주 쓰이는 장면은 그래서 기원을 하는 경우입니다. 상대에 대한 나의 기원을 표할 때는 자연스럽게 형용사에 명령형을 붙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최근 들어 더 늘어나고 있는 듯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말에서 ‘행복하다’는 형용사입니다. 당연히 ‘행복하는’이라는 표현은 어색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행복하세요.’라는 표현을 자주 씁니다. ‘건강하다’도 마찬가지입니다. ‘건강하기 바랍니다.’가 더 자연스러울 수 있겠지만 요즘은 ‘건강하세요.’라는 명령형도 자주 쓰입니다. 이렇듯 명령이 아니라 기원을 담은 형용사가 점점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형용사 명령형 형용사 명령형 형용사가 동사 구별 방법

2024-02-11

[번역기도 모르는 영어] Hellbound

‘오징어 게임’에 이어 ‘지옥’이 다시 한번 전 세계적인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지난달 19일 공개된 지옥은 최근까지 1위를 지키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인도, 대만 등 30여 개국에서 1위를 기록 중이다.   ‘지옥’의 영어 제목은 Hellbound. 지옥이라는 뜻의 hell과 ‘~로 가는’ ‘~로 향하는’이라는 뜻의 접미사 bound를 합친 말이다. 따라서 헬바운드(Hellbound)는 ‘지옥으로 가는’ 정도의 의미다. 연상호 감독의 전작 ‘부산행’에 빗대 ‘지옥행’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bound는 다양한 용법으로 쓰인다. 여기서 bound는 접미사다. 명사 뒤에서 ‘~로 향하는’ 또는 ‘~ 때문에 움직일 수 없는’이라는 뜻을 만든다. 홈바운드(homebound)라고 하면 ‘집으로 가는(on the way home)’이라는 뜻일 때도 있고, ‘병이나 고령 때문에 집을 떠날 수 없는(unable to leave one’s house)’이라는 뜻일 때도 있다. 둘 중 어떤 뜻인지는 문맥에 따라 해석한다. Paris-bound plane은 파리행 비행기, fog-bound airport는 안개 때문에 비행기 이착륙이 어려운 공항을 말한다.   bound는 명사나 형용사, 때로는 동사로도 쓰인다. 단수형 명사일 때는 ‘이 뛰어오름’, 복수형일 때는 ‘한계’라는 뜻이다. ‘within bounds’는 ‘한계 안에서’, ‘out of bounds’는 ‘닿을 수 없는’이라는 뜻이다.   형용사 bound는 ‘~할 것 같은’이나 ‘반드시 ~해야 하는’이다. 동사 bound는 ‘높이 뛰어오르다’ 또는 ‘한계 짓다’라는 의미다.   외신들은 드라마 ‘지옥’에 대해 다양하게 묘사하고 있다. CNN은 지난 23일 ‘South Korean dramas are killing it this year’(올해 한국 드라마 정말 끝내준다)라며 지옥을 ‘dark fantasy’라고 묘사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지옥’을 fantasy horror라고 소개했다. ‘넷플릭스의 또 다른 한국 판타지 호러 헬바운드가 세계적 현상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연상호 감독은 지난달 언론 인터뷰에서 ‘지옥’을 “거대한 우주적 공포와 그것을 맞닥뜨린 인간의 모습을 다루는 코스믹 호러 장르”라고 말했다. 코스믹(cosmic)은 ‘우주의, 어마어마한’이라는 뜻이다. 코스믹 호러는 미국 작가 H P 러브크래프트(1890~1937)를 원조로 꼽는 현대 공포문학 장르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영화 ‘에일리언’도 러브크래프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박혜민 / 한국 코리아중앙데일리 기자번역기도 모르는 영어 형용사 bound 접미사 bound bound airport

2021-12-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