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사바나항 또 '파업' 불안

공급망 혼란·물류비 상승 초래   대서양 연안 항만노조(ILA)의 2차 전면파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작년 10월 첫 파업이 봉합되는 과정에서 합의를 미뤄놨던 ‘항만 자동화’에 대해 노사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탓이다.   지역 매체 WTOC는 ILA 전면 파업이 사실상 확실시된다고 7일 보도했다. ILA는 일부 해운사가 앨라배마주에서 물류 자동화 설비를 사용한 점을 들어 사측 연합인 미국해양협회(USMX)와의 노사협약 갱신을 거부하고 작년 10월 47년만의 공동파업에 돌입한 바 있다. 다만 사측이 62% 임금 인상안을 내놓으며 파업은 3일만에 종료됐다. 당시 노사는 항만 자동화에 대한 합의를 90일 후인 오는 15일까지 마칠 것을 약속했는데 불과 8일 앞둔 7일 현재도 협상이 진행 중이다.   물류업계는 파업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물류비 상승 부담을 우려하고 있다. 사바나에 거점을 둔 ILA에는 조지아주에만 2500여명의 노동자가 가입돼 있다. 파업에 돌입할 경우 사바나항, 브런즈윅항 등 전국 36개 항만이 영향을 받는다. 케넌 카터 EMO트랜스 해안운송 담당자는 "전자제품 업체와 자동차 부품업체에 타격이 집중될 것"으로 전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달 23일 2025년 글로벌 해상운임 전망 설문조사를 발표하며 올해 운임 상승의 요인으로 '미국 동부 항만파업 가능성'을 지목하기도 했다.   CNN방송은 "만약 파업이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20일) 이후로 길어지더라도 트럼프는 노동자들의 강제 복귀 명령을 내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작년 12월 ILA와의 만남 이후 "항만 자동화 하역 장비는 부두 노동자를 대체할 수 없다"며 노조의 입장을 공식 지지한 바 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사바나 재파업 사바나 항만 동부 항만파업 사바나항 브런즈윅항

2025-01-07

동부 지역 항만파업 사태 종료

동부 지역의 항만파업이 3일 종료됐다.     뉴욕타임스 등이 4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국제항만노조(ILA)는 사측과의 잠정 합의에 도달함에 따라 4일부터 업무를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물류의 중요한 축인 동부 지역 항만파업으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던 미국은 물론 세계 각국의 주요 수출입 기업들이 큰 시름을 덜게 됐다.     이날 노조는 선사, 터미널 운영사, 항만 당국을 대표하는 미국해사동맹(USMX)과 6년 간 매년 시급을 4달러씩 인상하는 임금 계약에 합의했다.     발표에 따르면 첫해 인상률은 기존 최고임금인 시급 39달러의 10%가 조금 넘는다. 이후 5회의 임금 인상을 통해 6년 간 임금은 62%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파업이 종료된 데 대해 정치권도 환영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팬데믹 기간 동안 항구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희생을 치른, 강력한 계약을 맺을 자격이 있는 ILA의 부두 노동자들에게 축하를 보낸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아직 변수는 남아 있다. ILA의 조합원들의 합의안 비준은 이뤄지지 않았기에 앞으로 파업은 다시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잠정 합의안이 조합원 비준 투표를 통해 거부된 사례는 있기 때문에 100% 파업이 종료될 것으로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양 측은 지난달 임단협 과정에서 ILA는 시급 77% 인상, USMX는 시급 50% 인상을 주장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지난 1일부터 파업을 벌였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항만파업 동부 동부 지역 사태 종료 잠정 합의안

2024-10-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