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살며 생각하며] 한국 페미니즘의 허허실실

갈등(葛藤)은 칡 갈(葛)에 등나무 등(騰)으로 쓴다. 칡넝쿨이 등나무를 얽고 있다는 말로 목표나 이해관계의 차이로 인해 인과관계가 적대시 또는 충돌하는 형태의 부정적인 의미다.   며칠 전 어느 TV에서 초청 강사 왈, 한국은 OECD 가운데 갈등 항목 10개 중 무려 7개가 최상위국이다. 그러나 희한한 것은 이로 인한 폭동이 없는 국가로 더 유명하다는 것이다. 이유를 묻는 청중의 질문에, 한국인의 내 탓 문화가 아닐까라고 답했다. 한국 사람은 문제가 생기면 “내가 못나서, 내가 못 배워서, 내가 워낙 가진 게 없어서!” 하며 자기에게 책임을 전가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갈등이 원천적으로 봉쇄를 당한 채 표출되지 않고 삭여진다 뭐 이런 논리다. 맞는 말 같았지만 까맣게 타들어 갔을 조상들의 심정을 생각하니 씁쓸했다.   페미니즘(Feminism, 여성운동)이란? 여성이란 이유로 겪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차별을 없애야 한다는 견해로 사회 약자이자 피해자인 여성의 인권을 높이고 보살피자는 성평등 운동이다. 그런데 요즘 한국의 2030 사이에 페미니즘이 젠더 갈등으로회자하면서 50일도 채 못 남긴 대선 표심을 제대로 흔들고 있다는 보도다.   등나무에 칡넝쿨이 너무 많이 얽히다 보면 등나무인지 칡인지 분간이 어렵다. 페미니즘도 마찬가지다. 혼탁한 대선을 앞두고 여성들이 페미니즘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약자 또는 차별 일변도의 코스플레이로 간다면 오히려 남성들의 메일리즘(Malelism)을 지나치게 자극하여 등나무 대신 칡만 울창한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우를 범할 수 있음도 계산해야 한다는 말이다.   우리가 사는 미국은 인종, 성별, 나이, 차별을 법적으로 엄격하게 금하므로 표면적으로는 남녀가 평등한 나라다. 그러나 미국 또한 10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남녀 간 갈등이 엄청 심했다. 미 감리교단(UMC) 여선교회 잡지 ‘변화를 위해 연합한 여성들’을 보면, 1900년도 이전까지는 “여성은 오직 경건하고 순결하며 순종적이어야 하며 ‘가정을 여자의 장소’로 알고 지킬 때 하나님에게 받아들여진다”고 교육받고 훈련되었다고 적혀 있다. 반면 남성은 폭군처럼 행세하였다. 자고 나면 술에 취해 흥청댔고 밤낮 번 돈을 살롱에 탕진한 뒤 고주망태로 귀가, 아내들을 구타했다. 결국 1900년 초 감리교 여인들은 아예 백악관 인근의 건물을 산 뒤 합숙하며 타 여성들과 연합하여 “살롱을 몰아내자”고 밤낮 외쳤다. 술! 자체를 없애자 하면폭군 남성들의 반발심을 너무 자극해 대의를 그르칠 수도 있어 살롱이란 술을 담는 그릇을 없애자는 성동격서(聲東擊西) 전략을 펼친 것이다. 결과는 놀라웠다.   1920년 루스벨트 대통령으로부터 헌법상 유일하게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수정헌법 18조, 금주법을 여성의 참정권과 함께 끌어냈다. 이를 두고 영국의 유명 블로거이자 에세이스트 마크 포사이스도는 저서 ‘술 취한 세계사’에서 금주법은 미국 여성들이 이룬 성공한 페미니스트 운동이라 정의했다.   그렇다. 한국의 페미니즘 또한 여가부 폐지, 장병 봉급 200만원 같은 소탐에 너무 진 뺏기지 말고 후손들이 여성이란 이유로 약자가 되어 차별과 고통을 당하지 않아야 한다는 거대 담론을 통해 뭉칠 때 한국 페미니스트의 승리로 역사는 기록할 것이다. 김도수 / 자유기고가살며 생각하며 페미니즘 허허실실 한국 페미니즘 한국 페미니스트 feminism 여성운동

2022-01-21

[J 네트워크] 국민 할머니 ‘베티 화이트’

“왜들 그렇게 열심히 누군가를 미워하는 거죠? 자기 일에만 신경 써도 모자라는 게 시간 아닌가?” 지난해 마지막 날 급서한 베티 화이트가 미국 잡지 ‘퍼레이드’ 인터뷰에서 남긴 말이다. 100세를 단 18일 남기고 세상을 떠난 화이트는 코미디 전문 배우다. 미국판 ‘국민 할머니’이자 ‘방송계 퍼스트레이디’로 통했다. 별세 소식에 미국 퍼스트레이디 질 바이든이 “화이트를 사랑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고 애도했을 정도다.     그런 그가 진정한 어른으로 통했던 이유는 나이 그 이상이다. 가르치려 하기보다 배우는 자세를 취했고, 여성과 흑인, 성소수자 등 각 시대의 마이너리티를 옹호하는 최전선에 섰기 때문이다. 위의 인터뷰 역시 그런 맥락이었다.   한국은 어떤가. 새해가 됐어도 바뀐 건 달력뿐이다. 춘삼월 대선을 앞두고 해묵은 증오가 더해만 간다. 뉴욕타임스(NYT)의 올해 첫 한국 기사로 안티 페미니즘을 부르짖는 남성의 정치 세력화를 다뤘다. ‘여성의 권리 신장이 더뎠던 이 나라의 젊은 남성들, 페미니스트들이 기회를 박탈한다며 화가 나 있다’는 요지의 부제가 달렸다. 페미니즘과 안티 페미니즘 양측 시각을 균형 있게 다룬 이 기사를 읽었다면 베티 화이트는 깊은 한숨을 쉬지 않았을까.   방탄소년단(BTS)도 추천한 책 중에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가 있다. 저자 레오 버스칼리아는 누군가를 미워하는 일이란 마음속 쓰레기를 끌어안고 놓지 못하는 상태 같다고 표현했다. 갖다 버릴 생각은 안 또는 못하고, 심해지는 악취에 불평만 늘어놓는 것과 같다는 얘기다.     2022년 벽두에 생각한다. 한국 사회의 쓰레기는 어떻게 버려야 할까. 분리수거가 되기는 할까.   살며 사랑하며 배우는 데도 인생은 짧다. 누군가는 자기 인생에 다신 안 올 소중한 시간을 들여 “이런 글은 일기장에나 써라”는 악플을 달고, “너 같은 기레기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는 e메일을 보낼지 모른다. 미움을 미움으로 갚을 시간에 이탈리아어 동사변화를 암기하고, 그랑주떼 발레 점프를 실수투성이라도 계속 뛰며 2022년을 보내고 싶다. 미워하는 일은 쉽지만, 동시에 괴로운 일이라는 걸 깨달을 때도 됐으니.   화이트나 버스칼리아가 멀게 느껴진다면, 서울 목동의 한 병원에서 응급실 청소를 27년 이상 해온 이순덕씨의 말을 음미해보자. “사는 게 너무 고달팠어요. 그래서 더 힘든 사람을 생각했어요.” 이슬아 작가의 신간  ‘새 마음으로’ 인터뷰집에 나오는 글이다. 같은 책에 있는 이영애 수선집 사장님의 말도 울림이 크다. “이제는 아무도 밉지가 않아. (…) 어느새 이해가 돼. 안 미워. (…) 그들도 그렇게 살고 싶었던 게 아닐 거야.” 2022년이 미움 아닌 사랑으로 가득 차기를. 전수진 / 한국 투데이·피플뉴스 팀장할머니 화이트 베티 화이트 국민 할머니 안티 페미니즘

2022-01-16

[J네트워크] 국민 할머니 ‘베티 화이트’

“왜들 그렇게 열심히 누군가를 미워하는 거죠? 자기 일에만 신경 써도 모자라는 게 시간 아닌가?” 지난해 마지막 날 급서한 베티 화이트가 미국 잡지 ‘퍼레이드’ 인터뷰에서 남긴 말이다. 100세를 단 18일 남기고 세상을 떠난 화이트는 코미디 전문 배우다. 미국판 ‘국민 할머니’이자 ‘방송계 퍼스트레이디’로 통했다. 별세 소식에 미국 퍼스트레이디 질 바이든이 “화이트를 사랑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고 애도했을 정도다.     그런 그가 진정한 어른으로 통했던 이유는 나이 그 이상이다. 가르치려 하기보다 배우는 자세를 취했고, 여성과 흑인, 성소수자 등 각 시대의 마이너리티를 옹호하는 최전선에 섰기 때문이다. 위의 인터뷰 역시 그런 맥락이었다.   한국은 어떤가. 새해가 됐어도 바뀐 건 달력뿐이다. 춘삼월 대선을 앞두고 해묵은 증오가 더해만 간다. 뉴욕타임스(NYT)의 올해 첫 한국 기사로 안티 페미니즘을 부르짖는 남성의 정치 세력화를 다뤘다. ‘여성의 권리 신장이 더뎠던 이 나라의 젊은 남성들, 페미니스트들이 기회를 박탈한다며 화가 나 있다’는 요지의 부제가 달렸다. 페미니즘과 안티 페미니즘 양측 시각을 균형 있게 다룬 이 기사를 읽었다면 베티 화이트는 깊은 한숨을 쉬지 않았을까.   방탄소년단(BTS)도 추천한 책 중에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가 있다. 저자 레오 버스칼리아는 누군가를 미워하는 일이란 마음속 쓰레기를 끌어안고 놓지 못하는 상태 같다고 표현했다. 갖다 버릴 생각은 안 또는 못하고, 심해지는 악취에 불평만 늘어놓는 것과 같다는 얘기다.     2022년 벽두에 생각한다. 한국 사회의 쓰레기는 어떻게 버려야 할까. 분리수거가 되기는 할까.   살며 사랑하며 배우는 데도 인생은 짧다. 누군가는 자기 인생에 다신 안 올 소중한 시간을 들여 “이런 글은 일기장에나 써라”는 악플을 달고, “너 같은 기레기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는 e메일을 보낼지 모른다. 미움을 미움으로 갚을 시간에 이탈리아어 동사변화를 암기하고, 그랑주떼 발레 점프를 실수투성이라도 계속 뛰며 2022년을 보내고 싶다. 미워하는 일은 쉽지만, 동시에 괴로운 일이라는 걸 깨달을 때도 됐으니.   화이트나 버스칼리아가 멀게 느껴진다면, 서울 목동의 한 병원에서 응급실 청소를 27년 이상 해온 이순덕씨의 말을 음미해보자. “사는 게 너무 고달팠어요. 그래서 더 힘든 사람을 생각했어요.” 이슬아 작가의 신간  '새 마음으로' 인터뷰집에 나오는 글이다. 같은 책에 있는 이영애 수선집 사장님의 말도 울림이 크다. “이제는 아무도 밉지가 않아. (…) 어느새 이해가 돼. 안 미워. (…) 그들도 그렇게 살고 싶었던 게 아닐 거야.” 2022년이 미움 아닌 사랑으로 가득 차기를. 전수진 / 한국 중앙일보 투데이·피플뉴스 팀장J네트워크 할머니 화이트 베티 화이트 국민 할머니 안티 페미니즘

2022-01-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