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그 영화 이 장면] 피터 본 칸트

프랑수아 오종 감독의 ‘피터 본 칸트’는 독일의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이 1972년에 만든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이하 ‘페트라 폰 칸트’)의 리메이크다.     영화사의 천재 중 한 명인 파스빈더는 37살 나이에 요절했지만, 영화와 연극과 TV를 오가며 작품 40여 편을 남긴 다산성의 작가였고 저항적이며 도발적이었던 시네아티스트였다.   패션 디자이너였던 여성 주인공 페트라 폰 칸트가 영화감독인 남성 주인공 피터 본 칸트(드니 메도세)로 바뀌었지만, 대부분은 비슷하다. 전작의 폰 칸트가 젊은 모델에게 빠졌다면 이번엔 신인 배우 아미르(칼릴 벤 가비아)가 대상이다. 피터 본 칸트의 뮤즈였던 여배우 시도니(이자벨 아자니), 묵묵히 자기 일을 하는 어시스턴트 칼(스테판 크레폰) 등도 원작에서 왔다.     여기서 흥미로운 건 피터 본 칸트의 모습이다. 거구에 턱수염이 덥수룩한 그의 모습은 파스빈더 감독을 연상시키며, 오종 감독은 의도적으로 그와 흡사한 이미지의 배우를 캐스팅한다.   영화의 배경인 1972년은 ‘페트라 폰 칸트’가 나온 해로, 마치 ‘피터 본 칸트’는 이 시기 파스빈더에 대한 전기영화처럼 느껴지는데 특히 퀭한 눈으로 담배를 피우는 모습은 재연 화면에 가깝다. 자신에게 큰 영향을 끼친 감독의 영화를 반세기 만에 다시 만들면서, 현재의 관객들에게 위대한 감독의 초상을 다시 소개하는 프랑수아 오종. 이것은 진정한 리스펙트다. 김형석 / 영화 저널리스트그 영화 이 장면 피터 칸트 파스빈더 감독 오종 감독 프랑수아 오종

2023-02-17

[독자 마당] 대통령의 운명

 코로나19를 물리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해서 지난 한 해에 많은 사람이 세상을 떠났다. 올해에도 멈출 줄 모른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아직까지 이 질병 퇴치의 완전한 방법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호랑이띠 새해을 맞아 많은 사람들이 한 해의 복을 빌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와 한국의 대선 때문에 세월이 뒤숭숭하다.     세월이란 흘러가는 시간을 말하는데 그럼 시간이란 무엇인가? 과학적으로 말한다면 지구를 중심으로 해와 달의 운행 관계를 시계로 재는 단위이다. 철학적으로 말한다면 과거로부터 현재와 미래에 머물지 않고 같은 빠르기로 이어져 내려간다는 인식의 기본 형식이다. 삶의 길이를 재는 기본 단위임과 동시에 사물이 일어남을 아는 기준이다.     그래서 임마누엘 칸트는 시간을 이렇게 정의했다. ‘시간이란 사물이 일어 나는 것을 우리가 인식하는 기초 형식이다.’   ‘세월은 흐르는 물과 같다’는 말처럼 시간은 양보를 모르고 흘러가지만 그래도 조금은 아량을 베풀기도 한다. 바로 기회를 남겨 놓는다. 우리의 삶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두 세번 온다고 하지만 이 기회를 잡는 것도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기회도 때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금세 흘러 버리고 만다.   3월 9일 한국에서 대선이 치러진다. 현재 두 후보가 격돌하고 있다. 선거의 결과가 이들의 운명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대선 후보들은 성 토머스 아퀴나스가 말한 명언에 귀를 기울이기 바란다. “인간은 누구나 그의 삶과 행위가 지배 받는 운명을 타고 난다.” 한국의 대권 승자는 그의 통치 능력이 지배 받은 운명을 타고 났을 것이다. 하지만 그 타고난 운명은 아무 때나 실현이 되는 것이 아니라 때를 잘 만나야 한다. 그래서 옛날부터 제왕은 하늘이 낸다는 말도 있는 것 같다.  윤경중 / 연세목회자회 증경회장독자 마당 대통령 운명 대선 후보들 토머스 아퀴나스 임마누엘 칸트

2022-01-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