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서민에 주도권' 새 정치 약속

‘삼세번 만의 행운’을 꿈꾸는 데이비드 김(사진) 후보는 일관된 공약으로 같은 당 소속의 현역에 세 번째 도전 중이라 주목을 끈다.     LA 한인타운이 포함된 연방하원 가주 34지구는 63%의 라틴계 주민 파워에 힘입어 80년대부터 줄곧 라틴계 의원을 배출해온 곳이다. 아시안의 비율은 2022년 기준으로 19%다. 김 후보의 지난 득표는 사실 기적같은 일에 가까운 이유다.       김 후보는 진보성향이 강하며 성소수자에다가 법정에서 이민자 가정과 아이을 돕는 변호사다. 목회자 가정에서 태어났고 80~90년대를 포함해 한인 이민자 가정을 잘 이해하고 있다. 이런 그의 호소가 민심을 파고드는 증거는 지난 두 번의 선거에서 얻은 표의 비율이다. 2020년에는 결선에서 현역에 맞서 47%를 얻었다. 표차이는 1만2238표. 두 번째 도전인 2022년 11월에는 이를 3021표로 줄였다. 1500여 표만 더 끌어냈으면 승패가 뒤바뀌는 셈이었다.     34지구는 LA 다운타운 북쪽으로 글렌데일과 패서디나 남쪽, 버논 북쪽, 몬테벨로 서쪽까지 포함하는 넓은 도시 지역이자 서민 주거지다.     김 후보는 생명 존중의 정책, 주민 참여 행정, 사람 중심의 정치를 표방하고 있다. 새로운 정치를 통해 조명받지 못했던 서민들에게 주도권을 돌려주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는 보건, 제약, 무기 제조 대기업과 정치 로비 후원회들의 돈으로 정치를 하고 있는 현역 의원에게 더이상 일을 맡기면 안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 후보는 당선되면 로비 기업들의 돈을 절대로 받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캠페인 정보:davidkimforca.com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주도권 서민 정치 약속 정치 로비 라틴계 주민

2024-02-27

"SM 경영권 전쟁 K팝 주도권 결정"…LAT, SM엔터 분쟁 보도

한국의 SM엔터테인먼트를 둘러싸고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경영권 전쟁을 LA타임스도 주목했다.   LA타임스는 22일 ‘K팝 시장을 뒤흔드는 불화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이 기사는 LA타임스의 팝뮤직 전문 기자인 어거스트 브라운 기자가 작성했다.   브라운 기자는 ▶하이브(HYBE)와 SM은 어떠한 회사인가 ▶분쟁은 어떻게 시작됐나 ▶이 분쟁이 왜 K팝 업계에서 문제를 불러일으키는가 ▶왜 이수만 전 SM 총괄 프로듀서가 SM과 갈등을 빚게 됐는지 등을 일문일답 형식을 통해 상세하게 보도했다.   브라운 기자는 ”기업의 지배 구조, 유튜브 콘텐츠 등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한국의 대형 엔터테인먼트사들이 벌이는 전쟁은 글로벌 K팝 시장의 주도권을 결정지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LA타임스는 SM 이성수 대표이사의 성명 발표 영상까지 기사에 함께 게재했다.   한편, SM의 경영권 분쟁은 SM 주주들이 지배 구조 개선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비롯됐다. 이후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와 SM 현 경영진 간의 갈등으로 격화됐다.   이 전 총괄 프로듀서는 갈등이 심화하자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손을 잡았다. 이에 이성수 SM 대표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과 함께 SM 보유 지분을 일부 확보하면서 싸움이 커졌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경영권 주도권 경영권 분쟁 경영권 전쟁 주도권 결정

2023-02-23

'부모 노력'-'자녀 성취' 꼭 일치 안해…자녀 교육 주도권 자녀에 넘겨야

 자녀에게 무엇이든지 해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을 누가 탓하랴. “사랑은 내리사랑”이라고 한다. 부모로서 우리는 정작 우리들의 부모에게는 해 드리지 못하는 것들과 스스로 자신에게는 도무지 허용하지 못할 정도의 것들을 자녀들을 위해서만은 아낌없이 베풀고는 한다. 이러한, 어쩔 수 없는 부모들의 무조건적인 사랑은, 많은 한국인들에게는 그 정도가 조금은 심한 거로 보이기까지 하는 하해와 같은 사랑은 배우는 걸까, 타고나는 걸까. 어떤 이들은 부모에게 걸쳐 배웠을 수도 있고, 타고난 품성과 기질로 가지고 있기도 하며 경험과 결심, 노력을 통해 습득했을 수도 있겠다.     우리의 자녀들은 이러한 부모의 내리사랑에 대해, 부모의 소원 일부분이라도 해낼지는 의문이다. 우리 자녀들은 내가 애타며 지원하며 원하는 공부를 안 하는 걸까, 못하는 걸까. 어떤 부모의 눈에는 시간 낭비를 펑펑하고, 자기 놀 것 다 놀고, 시간에 쫓길 때까지 안 하는 걸로 보이기도 하고 어떤 부모의 눈에는 밤잠을 설쳐가면서 뭔가 열심히 노력하는 것 같은데 도무지 능력이 안 따라줘서 못하는 거로 보이기도 한다. 과연, 이들은 안 하는 걸까, 못하는 걸까.   어느 경우든지, 자녀의 공부에 대한 태도와 성과는 부모의 궁금증과 애타는 마음과는 큰 상관이 없어 보인다는 데 대부분의 부모가 공감한다. 안 하는 것처럼 보이는 자녀의 부모나,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부모나, 애는 썼으나 뜻대로 되지는 않는 것이 자녀교육이라고 느끼는 건 매일반이다.   그런데, 또 다른 부류의 부모들이 눈에 들어온다. 그 집 부모들은 내가 내 자식을 위해 애쓰는 것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은 노력을 하는 것 같은데 스스로 알아서 열심히 하고 높은 성취를 내는 신기하고 부러운 아이들의 부모들이다. 그 부모들은 심지어 “그렇게 좀 쉬엄쉬엄하라고 하는 데도 지가 스스로 알아서 하니 어떻게”라고 한다. 이들도 자기 뜻과는 무관하게 아이가 한다고 하니 의지로서 자녀교육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는 점은 못하거나 안 하는 자녀의 부모들과 유사하다. 어느 쪽이든, 부모의 노력 여하와 마음졸임, 아이의 성취는 별개의 문제처럼 보인다.   결국, 자녀교육의 주체는 열심히 서포트하는 부모가 아니라 학생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자녀들이라는 평범한 진리(사실)가 핵심이다. 부모는 자녀교육의 환경일 뿐이며 실제로 자녀보다 더 노력하고 희생해도 자녀교육의 화룡점정은 오직 자녀의 몫이다. 이 깨달음을 풍자적으로 표현하면 “부모는 노력할 뿐, 부모의 책임은 아니다”라는 것이고, 다르게 표현하면 “부모는 조건 없이 보살핌과 책임을 다하되, 자녀인생은 자녀의 몫”이라는 것이다.     그렇게, 너무나도 당연한 진리의 깨달음이 바로 해법의 시작이다. 물론 해법이 모두 최상의 원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도 아니다. 이런 깨달음은 사실, 누구에게나 올 수 있고,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어떤 사람은 자신의 부족함을 일찍 깨닫고, 일찍 포기하면서 깨닫고 어떤 사람은 최선의 노력을 장기간 하고서 깨닫는다는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일찍 깨달았다고 잘난 게 아니고 장기간 노력했다고 잘난 게 아니라 그저 그런 식으로 사람마다 깨달음의 기회들이 다른 시점과 다른 경험 후에 찾아온다는 것이다.   문제는 부모의 깨달음과 자녀의 성취에 그리 큰 연관관계가 없는 바에는 모든 애씀과 애끓음의 수고를 덜어내고 오직 자녀의 성취에 유의미한 도움을 그나마 더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의 마음가짐과 행동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보는 게 좋겠다. ‘안 하는 경우’라면 어떻게 해 주면 ‘하고 싶어질까’를,‘못하는 경우’라면 뭘 도와주면 ‘더 잘하게 될까’를 생각하는 것이다. 어차피 하는 건 학생이고 하고자 하면 할 것이고 하고자 할 때만 잘할 것이다. 자녀교육의 주도권을 어서 빨리 학생에게 돌려주어 자기 일로 만들어 주고 그 결과의 상벌, 득실, 성패를 온전히 받는 주인공이 되게 해야 하겠다. 주도권 돌려주기를 조금이라도 일찌감치 부모가 연습하고 실천하기 시작하면 처음엔 실수가 잦겠지만 점차로 달인이 될 것이고 그 결실은 고스란히 자녀 몫이 될 터이지만,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문의: (213)738-0744                   www.dryang.us 양민 박사 / DrYang. US자녀 주도권 자녀 성취 깨달음과 자녀 부모 노력

2022-02-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