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미국, '홈리스' 대란.. 사상 최대

      고정적인 소득이 있으나 주거비용을 충당할 수 없는 ‘일하는 홈리스’가 최근 크게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홈리스 기록을 세우고 있다.    각 주의 통계를 종합하면 최근 1년새 텍사스주 홈리스는 61%, 로드 아일랜드는 35%, 테네시는 20% 증가했다.   최근 새롭게 홈리스로 전락한 이들은 대부분 저임금 혹은 중산층 임금을 받고 있지만, 도심지역의 높은 주거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일정한 주거공간없이 자신의 차량 등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C 샌프란시스코에 자료에 의해 올해 미국의 홈리스는 65만3104명으로 2015년보다 23% 증가했다. 이 기간 홈리스가 크게 증가한 원인은 무엇보다도 크게 올라버린 주거비용에 있다.     최근 시카고 대학의 조사에 의하면 미국인들의 가장 큰 경제적 고민은 주거비용, 2위는 음식가격, 3위는 개스 가격, 4위는 헬스케어 비용, 5위는 학자금 융자였다.     하버드대학 연구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렌트 세입자의 1/4인 1210만명이 총소득의 절반 이상을 렌트비로 납부하면서 최소한의 인간다운 존엄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들이 언제든지 ‘돈버는 홈리스’로 전락하는 수 있는 예비군단이라고 지적했다. 2015년 전국평균 아파트 월 렌트비는 1218달러였으나 현재는 2054달러에 이른다.     평범한 중산층으로 살아가는 이들도 부실한 건강보험 플랜을 지니고 있을 경우 암 수술 경비 등으로 지니고 있던 모든 여분의 자산을 소비한 후 홈리스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하는 홈리스 대부분은 푸드 스탬프(SNAP) 수혜 기준 소득을 초과하는 소득을 올리고 있기 때문에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 아파트 렌트비나 자가주택 모기지 미납으로 퇴거조치를 당하고 크레딧 카드 연체대금 미납 등으로 크레딧 점수가 크게 낮아져 경제적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홈리스 기간 홈리스 홈리스 대부분 전국평균 아파트

2024-08-06

[한국은행 칼럼] 한국만큼 비싼 휘발유값

휘발유 가격이 크게 올랐다. 미 자동차협회(AAA) 기준 지난해말 갤런당 3달러 30센트였던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6월 10일 기준으로 사상 처음으로 5달러를 넘어섰으며 현재는 소폭 하락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5달러에 근접한 수준에서 등락하고 있다. 금년중에만 거의 50% 급등하였다.     단순하게 갤런당 5달러를 현재 원달러 환율(1299.8원/$)을 적용해서 계산해보면 대략 리터당 1700원이 넘고, 캘리포니아 같은 지역은 갤런당 6달러가 넘는데 6달러만 잡아도 리터당 2060원에 가깝다. 한국의 전국평균 휘발유 가격이 2128원 정도이니, 셰일오일로 유명한 전세계 원유 1위 생산국 미국이 원유 수입에 거의 의존하는 한국과 휘발유 가격이 비슷한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이처럼 미국내 휘발유 가격이 급등한 것은 아무래도 국제유가가 크게 오른 데 주로 영향받았다. 작년말 배럴당 75달러였던 국제유가(WTI 기준)는 금년중 40% 이상 급등하여 현재 108달러 수준에서 등락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유가 급등을 수요측 요인과 공급측 요인으로 구분해보면, 역시 공급측 요인이 큰 영향을 미쳤다. 2.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사회는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의 수입 금지를 추진해왔다. 전세계에서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원유생산이 많은 러시아(전세계 생산량의 11% 차지, EIA)를 대체할 원유수입선 다변화가 불가피했으며 이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다.     또한 OPEC 국가들도 팬데믹 직후 원유 생산을 큰 폭으로 줄인 이후 생산량을 확대하고 있으나 점진적인 증산에 그치는 데다 일부 회원국의 경우 시설제약 등으로 증산 할당량도 다 못 채우는 실정이다. 이란과의 핵협상도 교착상태이고 리비아는 국내정치 불안으로 원유수출이 대폭 줄어든 상황이다.   한편 국제유가가 급등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셰일오일 공급확대를 기대하였으나 이 또한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팬데믹 기간 유가 급락에 따른 기업파산 등으로 향후 유가 변동에 따른 투자 실패 우려와 증산보다는 부채관리 및 주주 배당금 지급 우선 경영 등으로 적극적인 투자 등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증산이 점진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수요측 요인을 보면 코로나 진정 등으로 경제활동이 신속하게 재개되면서 여행 등 이연수요가 급증하고 산업수요도 증가하였다. 특히 최근 중국이 상하이 등의 봉쇄를 해제하고 방역조치를 완화하면서 원유수요의 추가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바이든 정부는 유가 및 휘발유 가격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전략비축유를 방출하고 의회에 연방 유류세 3개월 면제를 요청하는 한편 정유사들에게도 휘발유 생산 확대를 촉구하고 있다. 또한 7월에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하여 원유 증산을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도 휘발유 가격 자체를 타겟으로 하지는 않지만 L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하여 6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는 등 긴축을 강화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는 유가 안정을 위해서는 장기화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해결되면서 공급충격이 완화되거나 경기침체를 통한 수요둔화 밖에 없다고 평가한다. 실제 연준의 긴축 강화 등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하면서 최근에 유가도 다소간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모쪼록 경제적 비용이 큰 경기침체라는 수요충격보다는 공급요인의 해소로 국제유가가 안정되기를 기대해본다. 윤창준 / 한국은행 뉴욕사무소 차장한국은행 칼럼 휘발유값 한국 국제유가 급등 전국평균 휘발유 원유수입선 다변화

2022-07-05

워싱턴지역 고용 회복세 전국평균 이하

워싱턴지역 고용 회복세가 팬데믹 이전과 비교했을 때 전국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50개주 가운데 뉴욕주보다 일자리 회복속도가 느린 곳은 관광산업 비중이 절대적으로 큰 하와이 뿐이다.   연방노동부 노동통계국(BLS) 데이터 분석 자료에 의하면, 작년 12월 워싱턴D.C. 민간고용 일자리는 2020년 2월 수준보다 8.2%나 적었다.     전국 일자리는 빠르게 회복돼 팬데믹 이전보다 2% 정도 모자란 상황이지만, 워싱턴D.C.는 연방정부 정상출근 일정이 계속 연기돼 하청용역 업체 일자리 증가폭이 둔화됐다.   또한 워싱턴D.C.의 주요산업 중의 하나인 관광산업이 멈춰서면서 고용시장에 궤멸적 타격을 가했다.   오미크론 변이의 전세계적인 확산이 영향을 미치면서 관광산업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워싱턴D.C.를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 메릴랜드와 북버지니아 지역도 동일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메릴랜드 -3.5%, 버지니아 -2.4% 분포를 보였다.   유타(4.9%), 아이다호(2.6%), 애리조나(1.3%),텍사스(1%), 몬태나(0.5%), 아칸소(0.1%)는 이미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으며, 조지아는 팬데믹 이전과 동일한 고용실적을 보였다.   하지만 관광산업 의존도가 큰 하와이와(-13.6%), 구조적인 침체기를 맞고 있는 뉴욕(-8.1%)은 아직도 심각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워싱턴지역 전국평균 워싱턴지역 고용 민간고용 일자리 전국평균 이하

2022-02-11

4년제 주립대, VA 전국평균보다 20% 이상 비싸

버지니아 주립대학 학비(비용 포함)이 전국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칼리지보드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2022학년도 전국 대학 평균 학비는 4년제 주립대 인스테이트 학생 기준 1만740달러, 아웃오브스테이트는 2만7560달러로 전년도 대비 1.6% 상승했다.     버지니아의 주립대 평균은 인스테이트가 1만3400달러, 아웃오브스테이트가 3만6달러였다.   메릴랜드는 각각 9345달러와 2만6543달러였다.     4년제 사립대 평균 학비는 전년도 대비 2.1% 오른 3만8070달러였다. 2년제 주립대의 경우 1.3% 오른 3800달러였다. 버지니아의 2년제 주립대학은 4650달러, 메릴랜드는 4300달러였다.     현재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평균 등록금 통계를 보면 2021-2022학년도 평균 등록금은 오히려 전년도 대비 저렴해졌다.   물가인상률을 반영해 계산하면, 4년제 주립대의 경우 전년도 대비 2.2%, 4년제 사립대는 1.7%, 2년제 공립대는 2.3% 낮아졌다.   보고서에서 10년 단위 통계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4년제 사립대의 경우 2011-2012학년도 기준 평균 등록금이 3만3320달러, 2001-2002학년도 기준 2만6380달러, 1991-1992학년도 기준 1만9360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수치로, 10년마다 각각 7020달러(1991-1992학년도에서 2001-2002학년도), 6940달러(2001-2002학년도에서 2011-2012학년도), 4750달러(2011-2012학년도에서 2021-2022학년도)씩 등록금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10년 단위로 봤을 때 대학 등록금 인상폭이 꾸준히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0-2021학년도 평균 학자금 보조는 1만4800달러로 나타났다. 이 중 1만50달러는 그랜트(grant)로, 3780달러는 연방 학자금 대출, 880달러는 교육 세액공제, 90달러는 근로 장학금(Work Study) 형태로 지급됐다.   덕분에 4년제 주립대 학생(In-state) 당 평균 학비 지출액(net price)은 2640달러, 4년제 사립대 학생 평균 학비 지출액도 1만4990달러로 2006~2007학년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제니퍼 마 칼리지보드 정책 연구원은 “팬데믹 이후 등록학생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학들이 등록금을 동결하거나 낮추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전국평균 주립대 버지니아 주립대학 2012학년도 기준 2002학년도 기준

2021-10-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