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시니어, 장기요양 선제적 대비 필수

#. 퀸즈 플러싱에 거주하는 한 한인 시니어는 갑작스럽게 몸이 좋지 않아지면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뇌졸중 진단을 받은 남편은 이미 너싱홈(요양원)에서 지내고 있고, 배우자인 본인은 자택에 직접 거주하고 있어 집(재산)이 있어도 메디케이드(Medicaid) 혜택을 받고 있었지만, 본인마저 너싱홈에 입주하게 된다면 향후 메디케이드 재산 환수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는 “나중에 아들에게 물려줄 것이 하나도 남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했다.     한인 시니어들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가 메디케이드인 이유는 바로 장기요양비용 때문이다. 뉴욕·뉴저지주 너싱홈 비용은 매월 최소 1만 달러 수준인데, 메디케이드가 없는데 너싱홈에 거주해야 할 일이 생긴다면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질 수밖에 없다. 만약 메디케이드가 있다 하더라도, 향후 ‘메디케이드 린(Lien)’ 또는 ‘메디케이드 재산 환수(Estate Recovery)’ 조치를 받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도 많다. 노인법, 장기요양보험 등 전문가들은 한인 시니어들이 선제적인 상담·준비 과정을 거쳐 계획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좋다고 입을 모았다.     몸이 건강할 때엔 본인이 너싱홈이나 홈케어 시설에 있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상상하지 못한다. 하지만 장기요양에 대한 계획은 은퇴시점에 함께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미국은퇴자협회(AARP)에 따르면 여성 시니어의 58%, 남성 시니어의 47%가 장기요양서비스를 받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이 비율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또 카이저패밀리재단(KFF)에 따르면, 장기요양이 필요한 시니어가 파산 상태로 사망하게 되는 비율(23%)이 장기요양이 필요하지 않은 이들(2%)에 비해 크게 높았다.   전문가들은 메디케이드를 받기 위해 미리 룩백 기간(메디케이드 신청시 재산 옮긴 내용 등을 검토하는 기간)을 고려해 본인들의 자산을 정리하는 등 전문가 상담이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장기요양 비용이 보장되는 롱텀케어 보험에 가입하는 것도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노인법 전문 김지아 변호사는 “장기요양에 대한 대책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며 “몸이 아프기 시작한 후 대책을 세우려 하면 늦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젊은 층들의 경우에도, 장기요양 비용이 보장되는 롱텀케어 보험을 미리 들어두는 것을 추천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장기요양 시니어 한인 시니어들 시니어 장기요양 노인법 장기요양보험

2023-12-29

장기요양 필요한 노인 재정난 심각

#. 퀸즈 플러싱 너싱홈(요양원)의 한 한인은 매월 1만~1만3000달러 수준의 비용을 자비로 부담하고 있다. 메디케이드 적용 대상자가 아닌데다, 몸이 아프기 직전에 거주하던 집을 팔았던 터라 집을 판 뒤 들어온 돈을 고스란히 너싱홈 비용으로 쓰고 있다. 주택을 처분해 받은 돈을 다 소진할 때까지 메디케이드 적용을 받기 어려운데, 그렇다고 거동이 불편한 지금 요양원을 벗어날 방법도 없는 상황이다. 또다른 한인은 60대에 갑자기 치매가 와 요양시설에 입소했는데, 역시 메디케이드가 없어 매월 1만 달러 수준의 요양원 비용을 감당해야 했다. 결국 그는 고민 끝에 뉴욕을 떠나 한 달 비용이 4000달러 가량 싼 조지아주 요양원으로 옮겼다.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이 높은 비용 때문에 재정난을 겪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수명이 늘었음에도 시니어들은 장기요양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메디케이드가 없으면 비용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한인들도 예외는 아니다.   15일 뉴욕타임스(NYT)가 카이저패밀리재단(KFF) 데이터를 분석해 보도한 데 따르면, 장기요양이 필요한 시니어가 파산 상태로 사망하게 되는 비율(23%)이 장기요양이 필요하지 않은 이들(2%)에 비해 크게 높았다. NYT는 “장기요양비용이 중산층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치솟았다”며 “정부의 요양서비스를 받으려면 재산이 부족해야만 한다”고 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65세 이상 미국 노인 약 800만명이 치매나 목욕, 식사 등 기본적인 일상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그 중 300만명은 전혀 도움을 받지 못했다.     퀸즈 사파이어재활양로센터의 민 간호사는 “메디케이드가 없어 본인이 평생 모은 돈을 요양비용으로 모두 쓰는 경우를 보면 정말 안타깝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메디케이드가 없는 시니어들은 메디케어로 보장되는 90일만 요양원에 있다 퇴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전언이다. 그는 “많은 한인들이 메디케이드 혜택을 받기 위해 재산을 미리 상속하려 하지만, 갑자기 몸이 아플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뉴욕 일원 요양원 비용은 평균 한 달 1만 달러, 하루 300달러 이상 수준이다. 김한석 뉴욕라이프 재정설계사는 “장기요양 비용이 보장되는 롱텀케어 보험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며 50대를 가입 적기로 봤다. 그는 “예상과 달리 요양시설에 가지 않게 돼 베니핏을 받지 못할까봐 아까워하는 분들도 있는데, 생명보험에 옵션을 넣는 등 다양한 설계 방법이 있으니 알아보는 것을 권한다”고 덧붙였다.   김은별 기자장기요양 재정난 장기요양 비용 노인 재정난 요양원 비용

2023-11-15

[재정설계] CLTC 자격증

미국에서 ‘서티파이드(certified)'라는 뜻은 특정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 기술, 능력을 갖춘 개인을 나타내는 용어다. 이 용어는 해당 분야에서 공인된 교육, 교육과정, 시험 등을 통과한 개인에게 부여되며, 해당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나타내는 역활을 한다.     Certified로 인증된 개인은 고객이나 대중의 해당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기에 그 의미는 크다.   지난 주말 내내 CLTC(Certification in Long Term Care) 교육을 이수하느라 바쁜 시간을 보냈다. CLTC 자격증은 장기 요양보험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을 인증하기 위한 자격증이다. 이는 장기요양 보험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며, 고객들에게  전문적인 정보와 조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직면한 문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장기요양 간호(Long-Term Care, Extended Care)다. 지금 세계는 고령화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고령화 인구 증가로 인해 만성 질환 및 노화로 인한 건강 문제, 장기요양이 필요한 사람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65세 이상 캘리포니아 주민 6명 중 1명은 알츠하이머병을 앓게 되며, 5명 중 1명은 치매에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40년까지는 지금의 2배로 그 발병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보도도 나온다.   노년에는 치매나 알츠하이머 이외 뇌졸중, 노화로 인한 관절 문제, 근육약화, 골다공증, 고혈압,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누군가로부터 꾸준한 의료관리와 돌봄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교육과정 내내 흥미로운 사실 하나가 내 눈길을 끌었다. 그건 바로 코그니티브 디소넌스(cognitive dissonance), 한국말로는 인지 부조화라고 하는 것이다. 이는 심리학 용어로, 개인의 믿음, 태도, 행동이 서로 어긋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내부적 불일치와 불편한 감정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우리의 신념이 실제로 보이는 것들이나 우리가 행하는 것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것을 말한다.   장기간호 요양 서비스(LTC, Extended Care)에 대해서도 인지 부조화가 있다. 노화에 따른 건강 문제와 관련하여 예상치 못한 의료 및 간병 비용이 발생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보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매달 보험료를 내면서 실제로 그 가치를 느끼지 못하거나 보험금 지급 시점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보험을 들어야 하는지 꺼리게 된다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크게 인지 부조화가 나타나는 경우는 지금 현재 건강한 사람일수록 더 그렇다는 것이다. 본인은 늘 건강했고 앞으로도 건강할 것이기에 장기간호 서비스에 대한 준비는 절대적으로 필요치 않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내내 알게 된 현실은 이런 장기간호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 가장 큰 타격과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자식들이라는 것이다. 자녀들이 부모의 장기간호를 전담하게 되면 갑작스럽게 변화된 역할과 책임 때문에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증가하고 감정적으로 큰 부담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     또한 간병 및 돌봄 일을 맡으면서 그들의 일과 가정, 사회활동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어렵고 생활패턴의 변화도 생긴다고 한다.     무엇보다 제대로 된 장기간호 플랜이 없을 경우에는 자식들끼리 서로 미루거나 혹시나 금전적인 필요가 생길 경우에는 의견의 차이나 갈등, 다툼까지 생기게 된다고 한다. 이런 상황들이 생기면 결국에는 서로 다시는 보지 않는 극한 상황까지 간다는 것이다. 안타깝지만 현실이라는 것이다.   더는 코그니티브 디소넌스(cognitive dissonance), 인지 부조화처럼 혹시 모를 내 미래의 장기간호 서비스를 뒤로 미뤄두거나 제쳐두며 자녀들에게 전가할 수 없다.     이런 상황들을 지금부터라도 바로 인지하고 자녀들과 미리 소통하고 협력하고 상의해서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문의: (213)284-2616 클라우디아 송/Financial Advisor·아메리츠 에셋재정설계 자격증 전문가 장기간호 요양 장기요양 보험 인지 부조화

2023-08-30

연방정부 '새 장기요양 지침 표준안' 발표

 연방정부가 캐나다 장기요양원에 대해 인증 및 검사, 운영 등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안을 발표했다.   새로운 장기요양원 지침 표준안 작업을 진행한 HSO(Health Standards Organization)의 사미르 신하 기술 위원회 의장은 "주민들을 위한 장기요양시스템을 개선할 새로운 표준안을 발표한다"며 "코로나 대유행기간 동안 1만명이 넘는 희생자가 발생한 장기 요양시스템을 개선하고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 대유행이 시작된 지난 2020년 3월부터 2021년 8월 15일까지 장기요양원 거주자 1만 4천명이 코로나 감염으로 사망했으며 이는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의 약 43%를 차지한다.   사미르 신하 의장은 "코로나 대유행 동안 장기요양원 직원들은 열약한 근무 조건에서 근무했으며 결국 계속적인 인력 부족 현상을 부채질했다"라며 "이러한 현상이 누적되어 요양원 거주자들 간의 감염확산을 부축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새로운 표준안을 통해 장기 요양원 거주자가 더 행복하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개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표준안을 살펴보면 장기 요양원 거주자의 만족도와 관리수준을 향상시키고 요양원 종사자들의 작업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요양원 종사자에 대한 공정한 급여와 복지혜택, 근무 편의시설 확충, 거주자의 전염병 감염예방 및 통제조치 수준을 병원과 동일하게 향상시키도록 했다.   또한 사회 변화에 뒤떨어져 있던 요양원 인증 및 감사 체계도 새롭게 개편됐다.   HSO는 지난 2012년에 제정된 지침의 경우 요양원 관리 및 자격기준은 고작 35개에 불과헤 캐나다 전체 요양원의 61%가 이 기준에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번 새로운 지침을 통해 장기요양원 관리 및 자격기준을 35개에서 183개로 대폭 증가했다.   추가된 내용에는 요양원 거주자 관리계획, 거주시설 품질, 재난대비계획, 내부고발자 보호정책 등이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간병인' 등과 같은 장기 요양원 관련 용어도 대폭 수정한다.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 장기요양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5년에 걸쳐 90억을 배정했으며 새로운 표준안의 빠른 시행을 위해 30억 달러를 우선 투자할 예정이다.   연방 정부가 새로운 표준안을 제시했으나 각 주가 이를 적용하는 데는 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새로운 표준안을 각주에서 받아들이는 데는 연방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며 "각 지역에 공식적으로 적용될 때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에 발표된 표준안은 빠르면 올해 말 공식적으로 확정될 예정이다. 김원홍 기자연방정부 장기요양 장기요양원 거주자 캐나다 장기요양원 장기요양원 직원들

2022-01-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