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고] 우영우의 ‘고래 이야기’

최근 인상 깊게 본 한국 드라마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였다. 주인공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극복하고 변호사로서의 능력을 보여주는 인간미가 물씬 풍기는 인간승리 드라마이자 사회적 약자에게 힘과 용기를 북돋워 주는 내용이었다.       그중에서도 인상적인 것이 있었다. “ 흰고래 (beluga) 무리 사이에 외뿔고래 (narwhal)가 함께 유영하고 있다”는 대목이다. 외뿔고래가 차별받지 않고 흰고래 무리 속에서 당당히 살아가고 있음을 넌지시 대변하고 있다.  필자는 잡종 (hybrid)에 대한 내용을 이전에 쓴 적이 있다. 우연도 이런 우연이 있을까 싶어서 이 칼럼을 쓰게 되었다.     원래 흰고래가 외뿔고래와 함께 유영하는 모습은 자연계에서 거의 볼 수 없는 광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두 종류의 고래가 해양에서 함께 유영하는 모습이 가끔 발견됐다. ‘태생학적으로 볼 때, 고래는 포유류로 흰고래와 외뿔고래는 비슷한 크기다. 하지만 둘의 만남은 영 어색하다. 마치 콜럼버스가 미대륙을 발견했을 당시 유럽인과 원주민인 인디언의 첫 조우 상황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서로 천연기념물을 보듯 신기함도 있었을 것이다.   100여년 전만 하더라도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 그다지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육상에는 기차와 차, 해상에는 선박이 전부였다. 하지만 시간과 함께 교통수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발달하게 되었다. ‘제3의 물결’의 저자이자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는 정보혁명을 강조하면서 인간의 활동 반경도 그만큼 넓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제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세계는 일일생활권이 되어가다시피 하고 있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활동 반경의 확대는 세계인들이 더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가족을 이루는 범주도 과거와는 달라지고 있다. 알래스카만 하더라도 그렇다. 하지만 원주민의 피가 몇 대까지 내려가더라도 원주민으로 대접받고, 알래스카 원주민으로서의 모든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의 시간과 달리, 자연계에서는 인간의 시간보다 느리게 그 변화가 찾아온 것 같다. 이 변화에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라는 단서가 내포되어 있다.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동물들의 활동 범위는 넓어지고 활동 기간도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변화된 상황으로 인해 다른 종과의 접촉 및 교류 기회도 점차 빈번해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근 들어, 육지에서는 북극곰과 그리즐리 (갈색곰)의 잡종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해양에서는 흰고래와 외뿔고래의 혼종이 발견되기도 했다. 과거 자연계에서는 이러한 잡종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었다.     유전학적 측면에서 열성인 잡종이 우성인 동종에 비해 환경 적응 능력이 훨씬 떨어진다는 것이 정설이다. 즉 열성은 점차 도태되어 간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성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뛰어난 혼종 몇몇이 살아남아, 그 종이 생존 능력을 높이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과 비유하면 오히려 이해가 쉬울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100년 후에는 순수 혈통을 찾기가 더 힘들어질지도 모른다. 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게 적용되지 않을까 싶다.     자연은 변화에 적응하는 잡종이라는 새로운 종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래서, 이 드라마는 우리에게 약자인 외뿔고래도 당당히 흰고래 무리 속에서 함께 살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김용원 / 알래스카주립대 페어뱅그스 교수기고 우영우의 이야기 고래 이야기 알래스카 원주민 열성인 잡종

2022-10-04

[전문가 기고] 지구온난화와 ‘잡종’ 곰

2006년 캐나다 북서 지역에서 사냥꾼이 북극곰으로 추정되는 동물을 사살했다. 그런데 그 동물은 이전에 야생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동물의 형체였다. 북극곰의 특징은 흰털을 가지고 있는데 그 동물은 긴 발톱, 둥근 등근육, 평평한 안면과 갈색털을 지닌 갈색곰(그리즐리 베어)의 특징을 가졌다. 전형적인 북극곰도 또는 갈색곰의 형상도 아니었다.     사냥꾼이 캘리포니아 대학의 전문가에게 그 동물의 유전자 검사를 의뢰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동물임이 밝혀졌다. 유전자 검사 결과는 북극곰도 갈색곰도 아닌 ‘잡종(hybrid)’이었다. 이는 야생에서 북극곰 암컷과 수컷 갈색곰 사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 잡종 곰은 피즐리 (pizzly: 수컷 polar + 암컷 grizzly) 또는 글로라 grolar: 수컷 grizzly + 암컷 polar)라고 하며 드물게 야생에서 발견된다. 잡종 곰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였다.     지구온난화로 극지의 기온 상승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갈색곰은 기온에 대응해 활동 영역을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다. 북미 고위도의 최북단 산맥을 기준으로 남쪽에는 한대산림, 북쪽은 툰드라로 구분된다. 이제까지 갈색곰의 최북단 활동 지역은 이 산맥의 남쪽 사면 아래였다. 그런데 눈으로 덮인 남쪽 사면에서 곰으로 보이는 동물이 자주 목격됐다. 그 곰은 흰색과 갈색의 얼룩무늬 털을 갖고 있다. 이는 월동을 할 수도 있는 갈색곰의 특징과 한겨울에도 사냥을 할 수 있는 북극곰의 특징을 지닌 잡종이다. 어떠한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잡종이다.   반면 북극곰은 극지온난화에 따른 해빙의 급격한 감소로 물범을 사냥할 기회를 잃어 버리면서 연안에서 내륙으로 사냥감을 찾는 빈도가 점차 늘어간다. 더욱이 해빙의 감소는 북극곰에게 심각한 생존 스트레스를 주어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다. 북극곰이 보호종으로 지정된 이유이기도 하다.     갈색곰의 활동 영역 확장의 증거로 북극해 연안에 고래 사체를 두는 곳에서 북극곰과 갈색곰이 목격됐다. 이들의 짝짓기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 같은 잡종의 출현은 곰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1990년 한 과학자는 북극 원주민 사냥꾼의 집 벽에 걸려 있는 이상하게 생긴 고래류의 두개골에 주목했다. 두개골은 흰돌고래(beluga)도 일각고래(narwhal)도 아닌 중간 위치의 모양이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일각고래와 흰돌고래의 잡종 두개골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북극해에서 흰돌고래 무리 속에 일각고래 한 마리가 유영하고 있는 모습이 인공위성으로 관측돼 잡종 탄생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일반적으로 잡종은 흥미로운 변형처럼 생각되지만 진화론적으로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잡종의 경우 생존 능력과 번식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서식지에서 적응한 종보다는 잡종이 대부분 더 건강해 환경변화에 더 잘 적응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모든 것들에게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극지온난화에 따른 환경변화로 육상과 해양 고등 동물에서 잡종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변화한 환경에 대한 적응 유전자가 잡종이 순수 종에 비해 휠씬 발달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지구온난화는 고등동물 활동 영역을 점차 북쪽으로 확장시켜 잡종의 탄생이라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김용원 / 알래스카주립대 페어뱅크스 교수전문가 기고 지구온난화 잡종 잡종 두개골 잡종 탄생 북극곰 암컷과

2022-05-30

[전문가 기고] 지구온난화와 ‘잡종’ 곰

2006년 캐나다 북서 지역에서 사냥꾼이 북극곰으로 추정되는 동물을 사살했다. 그런데 그 동물은 이전에 야생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동물의 형체였다. 북극곰의 특징은 흰털을 가지고 있는데 그 동물은 긴 발톱, 둥근 등근육, 평평한 안면과 갈색털을 지닌 갈색곰(그리즐리 베어)의 특징을 가졌다. 전형적인 북극곰도 또는 갈색곰의 형상도 아니었다.     사냥꾼이 캘리포니아 대학의 전문가에게 그 동물의 유전자 검사를 의뢰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동물임이 밝혀졌다. 유전자 검사 결과는 북극곰도 갈색곰도 아닌 ‘잡종(hybrid)’이었다. 이는 야생에서 북극곰 암컷과 수컷 갈색곰 사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 잡종 곰은 피즐리 (pizzly: 수컷 polar + 암컷 grizzly) 또는 글로라 grolar: 수컷 grizzly +암컷 polar)라고 하며 드물게 야생에서 발견된다. 잡종 곰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였다.     2017년 과학저널 연구논문은 이들 잡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밝혔다. 북극곰 암컷 한 마리와 갈색곰 수컷 두 마리 사이에서 8마리의 잡종 곰이 태어난 것으로 보고됐다.     지구온난화로 극지의 기온 상승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갈색곰은 기온에 대응해 활동 영역을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다. 북미 고위도의 최북단 산맥을 기준으로 남쪽에는 한대산림, 북쪽은 툰드라로 구분된다. 이제까지 갈색곰의 최북단 활동 지역은 이 산맥의 남쪽 사면 아래였다. 그런데 눈으로 덮인 남쪽 사면에서 곰으로 보이는 동물이 자주 목격됐다. 그 곰은 흰색과 갈색의 얼룩무늬 털을 갖고 있다. 이는 월동을 할 수도 있는 갈색곰의 특징과 한겨울에도 사냥을 할 수 있는 북극곰의 특징을 지닌 잡종이다. 어떠한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잡종이다.   반면 북극곰은 극지온난화에 따른 해빙의 급격한 감소로 물범을 사냥할 기회를 잃어 버리면서 연안에서 내륙으로 사냥감을 찾는 빈도가 점차 늘어간다. 더욱이 해빙의 감소는 북극곰에게 심각한 생존 스트레스를 주어 사망률이 증가하는 추세다. 북극곰이 보호종으로 지정된 이유이기도 하다.     갈색곰의 활동 영역 확장의 증거로 북극해 연안에 고래 사체를 두는 곳에서 북극곰과 갈색곰이 목격됐다. 이들의 짝짓기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 같은 잡종의 출현은 곰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1990년 한 과학자는 북극 원주민 사냥꾼의 집 벽에 걸려 있는 이상하게 생긴 고래류의 두개골에 주목했다. 두개골은 흰돌고래(beluga)도 일각고래(narwhal)도 아닌 중간 위치의 모양이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일각고래와 흰돌고래의 잡종 두개골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북극해에서 흰돌고래 무리 속에 일각고래 한 마리가 유영하고 있는 모습이 인공위성으로 관측돼 잡종 탄생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일반적으로 잡종은 흥미로운 변형처럼 생각되지만 진화론적으로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잡종의 경우 생존 능력과 번식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서식지에서 적응한 종보다는 잡종이 대부분 더 건강해 환경변화에 더 잘 적응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모든 것들에게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극지온난화에 따른 환경변화로 육상과 해양 고등 동물에서 잡종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변화한 환경에 대한 적응 유전자가 잡종이 순수 종에 비해 휠씬 발달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지구온난화는 고등동물 활동 영역을 점차 북쪽으로 확장시켜 잡종의 탄생이라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김용원 / 알래스카주립대 페어뱅크스 교수전문가 기고 지구온난화 잡종 잡종 두개골 북극곰 암컷과 잡종 탄생

2022-05-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