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수필] 나의 명상 그리고 공(空)

지금은 시간이 아니다. 시간의 지배를 받지 않는 치외법권이다. 순서나 앞뒤, 과거나 미래가 들어갈 틈이 없는 정점이다.     또 정오(Noon)나 자정(Midnight)은 지금처럼 오전(AM)이나 오후(PM)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다. 그래서 정오를 오후 12시로 말하거나 자정을 오전 12시로 말하지 않는다.     그냥 정오, 자정일 뿐이다. 즉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유일한 지점이 지금이다. 지금은 순간의 찰나이기도 하지만 또한 영원이다. 영원은 끝없이 지속되는 미래가 아니다. 시간과 끝을 초월한 존재고 그것은 지금 이 순간, 여기에서밖에 없다.      나의 현존의 삶은 지금뿐이다. 내가 괴로움이나 추억에 물들어 있을 때는 과거의 마음에 잡혀 있는 것이고 염려나 걱정을 할 때는 미래의 마음에 잡혀 있는 것이다.     과거와 미래를 여기로 가져올 때 지금은 사라지는 동시에 괴로움과 걱정거리들로 둘러싸여 현존의 삶을 놓친다. 그럴 때 나의 마음이 시간을 살아 움직이게 하고 시간 안에 포위되어 살게 된다. 지금 여기에서 그 많은 소중한 것들을 잃는 줄 모르고 잃는다. 지금 여기 말고 외부 어디든 언제든 실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가 하는 명상은 고요와 내면에 들어 온전히 지금 여기에 있기다. 생각을 멈추고 시간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다. 과거 혹은 미래의 오가는 기억이나 생각에 마음이 붙잡히면 마음은 도시의 네거리처럼 복잡해지며 지금 여기는 밀려난다. 명상은 생각을 차단하고 번민 괴로움으로부터 자유스러워지려는 것이다. 그럴 때라야 나의 본성, 깊은 내 안의 참나에 들어 머물게 된다.      나의 밖, 에고의 세상, 다른 에고들이 만들어낸 이념이나 관념들은 믿을 게 못 된다. 사람들은 명석한 철학자나 종교에서 배운 경전 교리 등으로 자신의 삶의 목표나 의미로 답을 빌려다 쓴다. 자신이 스스로 내면으로 들어가 ‘나는 누구인가’하고 던진 치열한 의문으로부터 얻어낸 답이 아니라 들은 풍월이고 빌려온 것이라면 그들이, 혹은 많은 사람이 변하거나 틀렸다고 하면 뱉어내고 돌려주어야 한다.     그러나 그런 종교적 교리나 이념은 대부분 습관으로 받아들이고 고정불변으로 못박아두었기 때문에 나는 누구인지 혹은 진리에 대한 의문을 던질 겨를이 없다. 게다가 기존 종교들은 그런 짓(?)을 못하게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스스로 치열하게 얻어낸 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보기 힘들다.    쾌락이나 즐거움이 있어도 금방 고통이나 괴로움에 시간이 순환하듯이 마음의 자리를 내준다. 이 마음을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깊은 호흡으로 고요에 들면서 내면으로 내면으로 들어간다. 내면에 모든 문제와 답이 있다. 단 하나의 답, 비움(空)이다. 비움이라는 마스터키 하나로 모든 문을 열 수 있다. 방이든 그릇이든 비어져 공간이 있을 때라야 비로소 쓸모가 생긴다. 비어 있으므로 신성이나 불성의 속성인 고요와 평화가 피어난다. 잡동사니로 가득한 방을 치웠을 때 생겨나는 비움 공간은 어디 외부에서 온 것이 아니다. 본래 거기 있었던 것이다. 과거나 미래에 사로잡힌 수많은 기억과 생각들을 들어내면 본래 거기 있던 공간이 드러나는 것이다. 땅에 구덩이를 파도 같은 비움이 그 속 자체에서 피어난다.      예수의 첫 산상 강연(설교)이 ‘성령 안에서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라’였다. 마음 비우기를 말한 것이다.     마음을 비운자는 복이 있나니 하고 해석했더라면 간단하고 쉬웠을 것을 안타깝게도 기독교나 천주교에서는 이상하고도 어렵게 성령의 가난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중국 성경의 이 구절 번역이 제대로 됐다고 본다. 허심적인 유복료(虛心的人 有福了) ‘마음이 비어있는 사람이 복이 있다’라고 했다. 허심의 허(虛)가 비운다는 뜻 아닌가. 불교의 주된 사상도 비움-공(空)이다. 불교의 가장 중심이 되는 경전이 반야심경과 금강경이다. 모두 이 비움에 관한 경이다. 예수와 붓다가 공, 비움에서 만나고 결국 마음이라는 같은 얘기들을 하고 있었다.    나의 명상은 108배로 시작한다. 108배는 15분 정도 걸리는 절 요가인데, 15분 동안 그렇게 팔다리 허리 목 등의 전신운동이 되는 게 달리 무엇이 있겠는가? 108 배를 하고 명상을 하면 몰입이 훨씬 잘 된다.     명상은 깊은 호흡으로 시작한다. 깊고 느리게 들숨과 날숨을 한 호흡으로 하고 수를 열 호흡까지 센다. 그리고 다시 하나부터 열까지를 센다. 그렇게 열번을 하면 백 호흡이 되는데 나는 108 호흡을 한다.     이 호흡의 수를 세다 보면 생각이 끼어들 새가 별로 없다. 생각 잡념이 끼어들었다면 그 들어온 생각을 통찰하며 들여다본다. 이 108 호흡 명상도 보통 15분이 걸린다. 절수련도 108 개, 호흡도 108 개, 이렇게 하면 30분 정도가 되는데, 108 호흡 명상을 한번 추가하면 총 45 분 정도 걸린다.     이쯤 되면 대개 호흡도 사라지고 내 손이 어디 있는지 위치와 감각을 놓치고 나도 너도 없는 고요와 공의 경지, 무상 무아에 들 때가 있다.     사실 이때부터가 진짜 몰입이고 명상이랄 수 있다. 나는 때때로 이렇게 명상을 통해 과거와 미래로부터, 그리고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를 찾는다, 지금 여기에서. 김윤기 / 수필가수필 명상 호흡 명상 마음 비우기 생각 잡념

2023-01-05

[이 아침에] 잡념과 잡사를 버리면

몰입하면 잘 보인다. 건성건성 안 넘기고 정신 차리고 똑바로 눈 크게 뜨고 살피면 안 보이는 것들이 보인다. 몰입은 깊게 파고들거나 빠지는 것을 말한다. 무언가에 흠뻑 빠지고 심취해 몰입 상태에 도달하면 무아지경에 이르게 된다. 정신심리학자들은 간절히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선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몰입적 사고가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아인슈타인, 에디슨, 워런 버핏, 빌 게이츠처럼 각자의 분야에서 비범한 업적을 이룩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고도로 집중된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몰입적 사고’를 했다는 점이다.     나는 작고 허접한 일에도 목숨(?)걸고 몰두하는 허당에 속한다.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성공과 실패를 따지지 않고 일단 저지르고 만다. 몰입인지 몰두인지 헛것을 보는 건지 모르지만 어떤 일에 ‘필’이 꽂히면 밤낮 안 가리고 행군한다. 내 속에 있는 프로펠러가 한 번 돌기 시작하면 날개가 부서져도 끝까지 돌아간다. 손해도 많이 본다. 그래도 아무것도 안 저질렀을 때보다 건지는 것도 많다.   요즘 눈 뜨면 하루도 안 거르고 나무숲이 울창한 트레일 산책로로 달려간다. 수백 년 수천 년을 견디며 하늘 높이 자란 수목들은 한 그루도 서로 닮지 않았다. 처음 땅속에서 생명으로 솟아오를 땐 모양새가 비슷했을 것이다. 모진 세월 비바람과 천둥, 번개를 견디며 갈라지고 비틀어지며 다시 튼튼하게 하늘로 솟아오르면서 각자의 운명에 걸맞은 모습으로 자라났다. 수만개의 이슬로 반짝이는 잎새와 이름 없는 풀꽃들도 모양과 색깔이 각기 다르다.     오늘 산책길에 사람 형체의 조각상이 거대한 고목 앞에 앉아있는 걸 보았다. 실루엣이지만 분명히 사람 모습이다. 고목 쪽으로 다가갈수록 형태는 점차 흐릿해졌다. 바로 앞까지 왔을 때 내가 본 사람의 형태는 자라 등처럼 골이 팬 고목의 등걸에 반사된 빛의 조화라는 걸 깨달았다. 빛은 형태가 없지만 무늬 없는 그림을 그린다. 안 보이는 것을 보는 사람은 빛이 그리는 그림을 본다.     클로드 모네는 ‘빛이 만들어 내는 순간’을 그린 화가다. ‘빛은 곧 색채’라는 인상주의 원칙을 끝까지 고수했는데 수련 연작으로 동일한 사물이 빛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탐색했다. 1926년 86세를 일기로 지베르니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캔버스를 바꿔가며 종일 빛을 쫓았던 모네는 말년에 백내장으로 거의 시력을 잃게 되지만 집념과 몰입으로 우주를 품은 대작을 완성하게 된다.   몰입은 주위의 모든 잡념과 방해물을 차단하고 자신이 원하는 어느 한 곳에 모든 정신을 집중하게 한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몰입했을 때는 ‘물 흐르는 것처럼 편안한 느낌’, ‘하늘을 날아가는 자유로운 느낌’이라고 했다. 일단 몰입을 하면 몇 시간이 한순간처럼 짧게 느껴지는 시간 개념의 왜곡 현상이 일어나고 몰입하는 대상이 더 자세하고 뚜렷하게 보인다. 대상과 하나가 된 듯한 일체감을 가지며 자아에 대한 의식이 사라지게 된다. 이때 몰입은 영혼을 자유롭게 하고 삶을 구속에서 해방한다. 미술가, 음악가, 예술가들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힘은 몰입이 주는 창작의 기쁨 때문이다.     잡념과 잡사를 차단하고 원하는 것에 몰입하면 자유롭고 편안하게 살 수 있다. 이기희 / Q7 Fine Art 대표·작가이 아침에 잡념 몰입 상태 이때 몰입 몰입적 사고

2022-07-14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잡념과 잡사를 버리면

몰입하면 보인다. 잘 보인다. 건덩건덩 안 넘기고 정신 차리고 똑바로 눈 크게 뜨고 살피면 안 보이는 것들이 보인다. 몰입(沒入•flow)은 깊게 파고들거나 빠지는 것을 말한다. 무언가에 흠뻑 빠지고 심취해 몰입상태에 도달하면 무아지경에 이르게 된다. 정신심리학자들은 간절히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선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몰입적 사고가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아인슈타인, 에디슨, 워렌 버핏과 빌 게이츠처럼 각자의 분야에서 비범한 업적을 이룩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고도로 집중된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몰입적 사고’를 했다는 점이다.   나는 작고 허접한 일에도 목숨(?) 걸고 몰두하는 허당에 속한다.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성공과 실패를 따지지 않고 일단 저지르고 만다. 몰입인지 몰두인지 헛것을 보는 건지 모르지만 어떤 일에 필이 꽂히면 밤낮 안 가리고 행군한다. 내 속에 있는 프로펠러가 한 번 돌기 시작하면 날개가 부셔져도 끝까지 돌아간다. 손해도 많이 본다. 그래도 아무것도 안 저질렀을 때보다 건지는 것도 많다.   요즘 눈 뜨면 하루도 안 거르고 나무숲이 울창한 트레일 산책로로 달려간다. 수백년 수천년을 견디며 하늘 높이 자란 수목들은 한 그루도 서로 닮지 않았다. 처음 땅 속에서 생명으로 솟아오를 땐 모양새가 비슷했을 것이다. 모진 세월. 비바람과 천둥, 번개를 견디며 갈라지고 비틀어지며 다시 튼튼하게 하늘로 솟아 오르면서 각자의 운명에 걸맞는 모습으로 자라났다. 수만개의 이슬로 반짝이는 잎새와 이름없는 풀꽃들도 모양과 색깔이 각기 다르다. 슬픔처럼 고요하고 적막하게 흔들리는 잎새들의 작은 몸부림은 못다한 사랑의 세레나데인가.   오늘 산책길에 사람 형체의 조각상이 거대한 고목나무 앞에 앉아있는 걸 보았다. 실루엣이지만 분명히 사람 모습이다. 고목나무 쪽으로 다가갈수록 형태는 점차 흐릿해졌다. 바로 앞까지 왔을 때 내가 본 사람의 형태는 자라등처럼 골이 페인 고목의 등걸에 반사된 빛의 조화라는걸 깨달았다. 빛은 형태가 없지만 무늬 없는 그림을 그린다. 안 보이는 것을 보는 사람은 빛이 그리는 그림을 본다.   클로드 모네는 ‘빛이 만들어 내는 순간’을 그린 화가다. ‘빛은 곧 색채’라는 인상주의 원칙을 끝까지 고수했는데 수련 연작으로 동일한 사물이 빛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탐색했다. 1926년 86세를 일기로 지베르니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캔버스를 바꿔가며 하루종일 빛을 좇았던 모네는 말년에 백내장으로 거의 시력을 잃게되지만 집념과 몰입으로 우주를 품은 대작을 완성하게 된다.   몰입은 주위의 모든 잡념과 방해물을 차단하고 자신이 원하는 어느 한 곳에 모든 정신을 집중하게 한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 칙센트미하이는 몰입했을 때는 ‘물 흐르는 것처럼 편안한 느낌’, ‘하늘을 날아가는 자유로운 느낌’이라고 했다. 일단 몰입을 하면 몇 시간이 한 순간처럼 짧게 느껴지는 시간 개념의 왜곡 현상이 일어나고 몰입하는 대상이 더 자세하고 뚜렷하게 보인다. 대상과 하나가 된 듯한 일체감을 가지며 자아에 대한 의식이 사라지게 된다. 이때 몰입은 영혼을 자유롭게 하고 삶을 구속에서 해방시킨다. 미술가, 음악가, 예술가들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힘은 몰입이 주는 창작의 기쁨 때문이다. 잡념과 잡사를 차단하고 원하는 것에 몰입하면 자유롭고 편안하게 살 수 있다. (Q7 Fine Art 대표, 작가)  이기희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잡념 몰입 flow 이때 몰입 몰입적 사고

2022-06-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